[[분류:비보스아속]][[분류:가축]] ||<-2><#F60> '''{{{#FFF {{{+1 가얄}}}[br]Gayal, Drung ox, Mithun}}}''' || ||<#F93> '''학명''' || ''' ''Bos frontalis'' '''[br]Lambert, 1804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포유류|포유강]]^^Mammali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우제목]]^^Artiodactyl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소과^^Bov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소속^^''Bos''^^||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가얄^^''B. frontalis''^^'''|| [목차] [clearfix] == 개요 == [[인도]] 북동부와 [[방글라데시]], [[미얀마]], [[중국]] 남부까지 분포하는 [[가축]] 소의 일종. == 특징 == 인도들소와 닮았지만 몸집이 좀 더 작고[* 수컷은 어깨 높이 1.55m, 암컷은 1.4m.] 팔다리가 더 짧으며 뿔이 덜 구부러져 있다. 가얄은 기원은 인도들소가 가축화되었거나 [[소]]와 인도들소 사이의 잡종 후손이라는 주장이 있다.[* Simoons, F. J. (1984). Gayal or mithan. In: Mason, I. L. (ed.) Evolution of Domesticated Animals. Longman, London. Pages 34–38.][* Payne, W. J. A. (1970). "Breeds and Breeding VI". Cattle Production in the Tropics: General introduction and breeds. London: Longman Group Ltd.] 2017년에 가얄의 게놈 분석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Zhang, Y.-P.; Wu, D.-D.; Dong, Y.; Wang, W.; Yang, M.-M.; Yan, S.-Q.; Qu, K.-X.; Wang, S.; Xiong, Z.-J. (2017). "Draft genome of the gayal, Bos frontalis". GigaScience. 6 (11): 1–7. doi:10.1093/gigascience/gix094. PMC 5710521. PMID 29048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