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로마 공화국 집정관]][[분류:기원전 3세기 집정관]][[분류:로마 출신 인물]] [include(틀:역대 로마 집정관/기원전 3세기)] ||||<#800080> {{{#ffffff {{{+3 '''가이우스 아퀼리우스 플로루스'''}}}[br]{{{-1 [[라틴어]]: Gaius Aquillius Florus}}}}}} || ||<#800080> {{{#ffffff '''생몰년도'''}}} ||미상 ~ 미상 || ||<#800080> {{{#ffffff '''출생지'''}}} ||이탈리아 로마 || ||<#800080> {{{#ffffff '''사망지'''}}} ||이탈리아 로마 || ||<#800080> {{{#ffffff '''지위'''}}} ||노부스 호모(Novus Homo: 신참자) || ||<#800080> {{{#ffffff '''국가'''}}} ||[[로마 공화정]] || ||<#800080> {{{#ffffff '''가족'''}}} ||마르쿠스 아퀼리우스 플로루스(아버지) || ||<#800080> {{{#ffffff '''참전'''}}} ||[[제1차 포에니 전쟁]] || ||<#800080> {{{#ffffff '''직업'''}}} ||[[로마 공화정]] [[집정관]] || ||||<#800080> {{{#ffffff '''로마 공화정 집정관'''}}} || ||<#800080> {{{#ffffff '''임기'''}}} || 기원전 259년 || ||<#800080> {{{#ffffff '''전임'''}}} || [[스키피오 아시나]][br][[가이우스 두일리우스]] || ||<#800080> {{{#ffffff '''동기'''}}} ||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기원전 259년 집정관)|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 ||<#800080> {{{#ffffff '''후임'''}}} || [[아울루스 아틸리우스 카이아티누스]][br][[가이우스 술피키우스 파테르쿨루스]]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마 공화국]] [[집정관]]. == 생애 == [[파스티 카피톨리니]]에 따르면, 그의 아버지는 마르쿠스라는 프라이노멘을 사용했다고 한다. 기원전 259년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기원전 259년 집정관)|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와 함께 집정관에 오르기 이전의 행적은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두 집정관은 [[제1차 포에니 전쟁]]에 투입되었고, 스키피오가 코르시카 원정에 나서는 동안 그는 시칠리아 섬으로 진격했다. 그는 병력을 둘로 나눠서 한 부대는 카르타고의 지배를 받다가 밀레 해전 후 로마의 편에 섰고 현재 카르타고군의 공격을 받고 있는 마켈라 시를 구원하는 임무를 맡았고, 다른 부대는 테르마에 시로 진격했다. 그러나 테르마에 시로 진군하던 부대는 파노르무스(현재 [[팔레르모]])에 주둔하고 있던 [[하밀카르(제1차 포에니 전쟁)|하밀카르]]의 기습 공격을 받고 4,000 내지 6,000명이 궤멸되고 나머지는 패주하는 참패를 당했다.([[테르마에 전투]]) 그래도 그는 다른 부대를 이끌고 미티스트라티온 시의 주요 고지를 점거하는 데 성공했다. 기원전 258년 전직 집정관으로서 지휘권을 계속 맡은 그는 하밀카르의 공세를 저지하려 했다. 그러나 하밀카르는 가까운 곳부터 되찾으려 들 거라는 로마군의 예상과는 달리 시칠리아의 중심부인 엔나를 급습해 내부의 호응에 힘입어 가볍게 함락시켰다. 하밀카르는 여세를 몰아 시라쿠사 남동쪽 해안 도시인 카마리나로 진격해 역시 손쉽게 공략했다. 카마리나는 전쟁 발발 때 카르타고와 연합해 로마를 대적했다가 로마의 편으로 돌아선 [[시라쿠사]]의 통치를 받고 있었다. 하밀카르는 아마도 시라쿠사를 압박해 카르타고와 손잡게 하려고 카마리나를 공략했던 것으로 보이나, 시라쿠사 참주 [[히에로 2세]]는 끝까지 로마를 지지했다. 이후 플로루스의 행적은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