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로마 공화국 집정관]][[분류:기원전 4세기 집정관]][[분류:독재관]][[분류:로마 공화국 감찰관]][[분류:로마 출신 인물]] [include(틀:역대 로마 집정관/기원전 4세기)] [include(틀:역대 로마 독재관 및 기병장관)] [include(틀:역대 로마 감찰관)] ||||<#800080> {{{#ffffff {{{+3 '''가이우스 유니우스 부불쿠스 브루투스''' }}}[br]{{{-1 [[라틴어]]: Gaius Iunius Bubulcus Brutus }}} }}} || ||<#800080> {{{#ffffff '''생몰년도''' }}} ||미상 ~ 미상 || ||<#800080> {{{#ffffff '''출생지''' }}} ||[[로마 공화국]] [[로마]] || ||<#800080> {{{#ffffff '''사망지''' }}} ||[[로마 공화국]] [[로마]] || ||<#800080> {{{#ffffff '''지위''' }}} ||[[노빌레스]] || ||<#800080> {{{#ffffff '''국가''' }}} ||[[로마 공화국]] || ||<#800080> {{{#ffffff '''가족''' }}} ||가이우스 유니우스 부불쿠스 브루투스(조부)[br]가이우스 유니우스 부불쿠스 브루투스(아버지)[br][[가이우스 유니우스 부불쿠스 브루투스(기원전 291년 집정관)|가이우스 유니우스 부불쿠스 브루투스]](아들) || ||<#800080> {{{#ffffff '''직업''' }}} ||[[로마 공화국]] 집정관 || ||||<#800080> {{{#ffffff '''로마 공화정 집정관''' }}} || ||<#800080> {{{#ffffff '''임기''' }}} || 기원전 317년 || ||<#800080> {{{#ffffff '''전임''' }}} || [[마르쿠스 포슬리우스 플라키나토르(기원전 318년 집정관)|마르쿠스 포슬리우스 플라키나토르]][br][[루키우스 플라우티우스 베녹스(기원전 318년 집정관)|루키우스 플라우티우스 베녹스]] || ||<#800080> {{{#ffffff '''동기''' }}} || [[퀸투스 아이밀리우스 바르불라]] || ||<#800080> {{{#ffffff '''후임''' }}} || [[스푸리우스 나우티우스 루틸루스(기원전 316년 집정관)|스푸리우스 나우티우스 루틸루스]][br][[마르쿠스 포필리우스 라이나스(기원전 316년 집정관)|마르쿠스 포필리우스 라이나스]] || ||<#800080> {{{#ffffff '''임기''' }}} || 기원전 313년 || ||<#800080> {{{#ffffff '''전임''' }}} || [[마르쿠스 포에텔리우스 리보]][br][[가이우스 술피키우스 롱구스]] || ||<#800080> {{{#ffffff '''동기''' }}} || [[루키우스 파피리우스 쿠르소르]] || ||<#800080> {{{#ffffff '''후임''' }}} ||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br][[푸블리우스 데키우스 무스(기원전 312년 집정관)|푸블리우스 데키우스 무스]] || ||<#800080> {{{#ffffff '''임기''' }}} || 기원전 311년 || ||<#800080> {{{#ffffff '''전임''' }}} ||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br][[푸블리우스 데키우스 무스(기원전 312년 집정관)|푸블리우스 데키우스 무스]] || ||<#800080> {{{#ffffff '''동기''' }}} || [[퀸투스 아이밀리우스 바르불라]] || ||<#800080> {{{#ffffff '''후임''' }}} ||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룰리아누스]][br]가이우스 마르키우스 루틸루스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마 공화국]] [[집정관]], [[독재관]], [[감찰관]]. == 생애 == 기원전 4세기 초반부터 로마 정계에서 활약한 [[노빌레스]] 가문인 유니우스 씨족의 일원이다. [[파스티 카피톨리니]]에 따르면, 조부와 아버지 모두 가이우스라는 프라이노멘을 사용했다고 한다. 기원전 317년 퀸투스 아이밀리우스 바르불라와 함께 집정관에 선임되었다. [[티투스 리비우스 파타비누스]]에 따르면, 그가 아풀리아의 포룬툼을 공략했다고 한다. 반면 [[디오도로스 시켈로스]]에 따르면, 포룬툼 함락은 이듬해에야 이뤄졌다고 한다. 기원전 313년 [[루키우스 파피리우스 쿠르소르]]와 함께 집정관에 선임되었다. 이 시기에 로마군이 삼니움인들이 점령했던 식민도시 프레겔라스를 탈환하고 놀라를 습격했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에 따르면, 이 공적은 독재관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룰리아누스]]가 세운 것이며, 두 집정관은 적의 주력군을 묶어놓고 로마와 동맹을 맺은 도시들을 보호했다고 한다. 리비우스가 전하는 일부 기록은 독재관 가이우스 포에텔리우스 리보 비솔루스가 그 공적을 세웠다고 전하며, 또다른 기록은 쿠르소르와 브루투스가 프레겔라스 탈환과 놀라 습격을 주도하고 독재관은 [[유피테르]] 신전의 벽에 못을 박는 종교 의식을 수행하기 위해 선출되었다고 전한다. 19세기 독일의 역사가 프리드리히 뮌처는 독재관이 유피테르 신전의 못을 박는 의식을 위해 선출되었다는 기록의 신빙성은 매우 낮지만 나머지 이야기 중 어느 쪽이 사실인지는 판단하기 어렵다고 평했다. 기원전 311년 [[퀸투스 아이밀리우스 바르불라]]와 함께 집정관에 선출되었다. 리비우스에 따르면, 브루투스는 당해 감찰관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카이쿠스]]가 해방노예의 아들을 원로원 의원에 선출한 것에 대해 비난을 퍼부었다고 한다. 하지만 뮌처는 이 기록의 신빙성은 거의 없으며 다른 가문들이 [[클라우디우스]] 가문을 공격하기 위해 창작한 이야기일 것이라고 추정한다. 이후의 이야기에 대해 디오도로스 시켈로스와 리비우스의 설명이 다르다. 디오도로스에 따르면, 두 집정관은 아풀리아에서 삼니움군을 격파한 뒤 여러 도시를 공략했다고 한다. 반면 리비우스에 따르면, 브루투스는 삼니움을 상대했고 바르불라는 에트루리아를 상대했다. 삼니움군이 크루발레 시를 공략하고 사로잡은 로마 수비대를 채찍질하는 사건이 벌어지자, 브루투스는 크루발레로 곧장 진군해 탈환한 뒤 주민들을 무참히 학살했다. 이후 삼니움 족이 거주하는 가장 큰 도시인 보비아눔을 습격해 주변 지역을 약탈했다. 삼니움인들은 접근하기 힘든 산간 초원에 양떼가 많다는 거짓 정보를 줘서 브루투스가 그곳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한 뒤 매복 공격하려 했으나, 이를 눈치챈 브루투스가 병사들을 비탈길로 올려보내 매복한 적병을 공격하게 하는 바람에 또다시 패배했다. 파스티 카피톨리니의 <개선장군 목록>에 따르면, 그는 로마로 귀환하여 개선식을 거행했으며, 살루스 여신을 위한 사원을 건설하겠다고 맹세했다고 한다. 기원전 309년 독재관 루키우스 파피리우스 쿠르소르 휘하 [[기병장관]]에 선임되었다. 리비우스에 따르면, 두 사람은 삼니움족과의 전쟁에서 승리를 거뒀다고 한다. 그러나 파스티 카피톨리니에 따르면, 기원전 309년에는 전쟁이 벌어지지 않았으며 집정관은 세워지지 않았다고 한다. 기원전 307년 감찰관에 선임된 그는 이전에 맺은 서약을 지키기 위해 살루스 신전 건설에 착수했다. 또한 동료 감찰관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와 함께 도로를 건설했으며, 이유없이 아내와 이혼한 루키우스 안니우스를 원로원에서 축출했다. 리비우스에 따르면, 그는 기원전 302년 [[독재관]]에 선임되었으며 로마에 반란을 일으킨 아이퀴족을 물리친 뒤 로마로 돌아와서 살루스 신전을 봉헌했다고 한다. 하지만 프리드리히 뮌처는 아이퀴족은 이미 기원전 304년에 로마군에 결정적으로 패배하여 굴복했기 때문에 이 기록은 믿을 수 없다고 간주한다. 리비우스가 소개한 또다른 기록에 따르면, 스파르타의 왕자 클레오니무스(Κλεώνυμος)가 남부 이탈리아의 대도시 타라스(현재 [[타란토]])에 기용되었다가 이곳에 정착하여 세력을 키우려 했다가 집정관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파울루스 또는 독재관 브루투스의 로마군이 접근하자 배를 타고 도주했다고 한다. 뮌처는 브루투스가 클레오니무스를 잡으려 했으나 실패한 후 로마로 돌아와서 성전 봉헌만 했다고 추정했다. 이후 브루투스의 행적은 전해지지 않는다. 기원전 291년, 기원전 277년 집정관 [[가이우스 유니우스 부불쿠스 브루투스(기원전 291년 집정관)|가이우스 유니우스 부불쿠스 브루투스]]는 그의 아들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