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기원전 1세기 집정관]][[분류:로마 공화국 집정관]][[분류:로마 출신 인물]] [include(틀:역대 로마 집정관/기원전 1세기)] ||||<#800080> {{{#ffffff {{{+3 '''가이우스 카시우스 롱기누스''' }}}[br]{{{-1 [[라틴어]]: Gaius Cassius Longinus }}} }}} || ||<#800080> {{{#ffffff '''생몰년도''' }}} ||미상 ~ 미상 || ||<#800080> {{{#ffffff '''출생지''' }}} ||[[로마 공화국]] [[로마]] || ||<#800080> {{{#ffffff '''사망지''' }}} ||[[로마 공화국]] [[로마]] || ||<#800080> {{{#ffffff '''지위''' }}} ||[[노빌레스]] || ||<#800080> {{{#ffffff '''국가''' }}} ||[[로마 공화국]] || ||<#800080> {{{#ffffff '''가족''' }}} ||가이우스 카시우스 롱기누스(조부)[br]루키우스 카시우스 롱기루스 라빌라(아버지)[br]루키우스 카시우스 롱기누스(형) || ||<#800080> {{{#ffffff '''직업''' }}} ||[[로마 공화정]] [[집정관]] || ||||<#800080> {{{#ffffff '''로마 공화정 집정관''' }}} || ||<#800080> {{{#ffffff '''임기''' }}} || 기원전 96년 || ||<#800080> {{{#ffffff '''전임''' }}} ||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기원전 97년 집정관)|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br][[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기원전 97년 집정관)|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 || ||<#800080> {{{#ffffff '''동기''' }}} ||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기원전 96년 집정관)|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 || ||<#800080> {{{#ffffff '''후임''' }}} || [[루키우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br][[퀸투스 무키우스 스카이볼라(기원전 95년 집정관)|퀸투스 무키우스 스카이볼라]]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마 공화국]] [[집정관]]. == 생애 == 기원전 2세기부터 로마 정계에서 활약한 [[노빌레스]] 가문인 카시우스 씨족의 일원이다. [[파스티 카피톨리니]]에 따르면, 아버지는 루키우스를 사용했다고 한다. 학자들은 그의 조부가 기원전 171년 집정관 가이우스 카시우스 롱기누스 또는 기원전 164년 집정관 퀸투스 카시우스 롱기누스 중 한 명이고 아버지는 기원전 127년 집정관 루키우스 카시우스 로이군스 라빌라였다고 추정한다. 형으로 기원전 107년 집정관 [[루키우스 카시우스 롱기누스(기원전 107년 집정관)|루키우스 카시우스 롱기누스]]가 있었다. 그는 경력 초기에 동전 주조관을 역임했다고 전해지지만 정확한 연대는 아려지지 않았다. 그가 주조한 동전에는 물방울 모양의 귀걸이를 한 로마 여신의 이미지가 새겨졌고, 자유의 여신이 퀴드리가(말 네 마리가 모는 이륜 전차)에 탑승한 것으로 묘사한 [[데나리우스]]를 주조했다. 이후 [[호민관]] 선거에 출마했지만 낙선했고, 기원전 99년 이전에 법무관을 역임한 뒤 기원전 96년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기원전 96년 집정관)|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와 함께 집정관에 선임되었다.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는 그가 [[조영관]]을 맡지 않은 채 집정관으로 선출된 인물로 거론했다. 그러나 두 사람이 집정관으로서 어떤 행적을 보였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서기 2세기에 활동한 로마 역시가 그나이우스 리키아누스에 따르면, 기원전 87년 이탈리아에서 [[가이우스 마리우스]]와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킨나]]를 따르는 무리가 [[그나이우스 옥타비우스(기원전 87년 집정관)|그나이우스 옥타비우스]]가 이끄는 술라파 로마 정부와 내전을 치르고 있을 때, 옥타비우스의 편에 서서 마리우스를 대적하던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스트라보]]가 중병에 걸렸다. 이에 원로원은 '가이우스 카시우스'가 스트라보를 대신해서 사령관을 맡게 했다. 그러나 스트로바의 군대는 대부분 마리우스에게 귀순했고, 로마는 곧 항복했다. 학자들은 이 가이우스 카시우스가 기원전 96년 집정관 카시우스와 동일인물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하지만 이 인물이 어찌 되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