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기원전 2세기 집정관]][[분류:로마 공화국 집정관]][[분류:기원전 180년 사망]] [include(틀:역대 로마 집정관/기원전 2세기)] ||||<#800080> {{{#ffffff {{{+3 '''가이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 }}}[br]{{{-1 [[라틴어]]: Gaius Calpurnius Piso }}} }}} || ||<#800080> {{{#ffffff '''생몰년도''' }}} ||미상 ~ 기원전 180년 || ||<#800080> {{{#ffffff '''출생지''' }}} ||이탈리아 로마 || ||<#800080> {{{#ffffff '''사망지''' }}} ||이탈리아 로마 || ||<#800080> {{{#ffffff '''지위''' }}} ||[[노빌레스]] || ||<#800080> {{{#ffffff '''국가''' }}} ||[[로마 공화정]] || ||<#800080> {{{#ffffff '''가족''' }}} ||가이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조부)[br]가이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아버지)[br]루키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형제)[br]호스틸리아 콰르타(아내)[br][[퀸투스 풀비우스 플라쿠스(기원전 180년 집정관)|퀸투스 풀비우스 플라쿠스]](의붓 아들)[br]루키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 카이소니누스(양자) || ||<#800080> {{{#ffffff '''직업''' }}} ||[[로마 공화정]] [[집정관]] || ||||<#800080> {{{#ffffff '''로마 공화정 집정관''' }}} || ||<#800080> {{{#ffffff '''임기''' }}} || 기원전 180년 || ||<#800080> {{{#ffffff '''전임''' }}} ||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케테구스]][br][[마르쿠스 바이비우스 탐필루스]] || ||<#800080> {{{#ffffff '''동기''' }}} || [[아울루스 포스투미우스 알비누스 루스쿠스]] || ||<#800080> {{{#ffffff '''후임''' }}} || [[아울루스 포스투미우스 알비누스 루스쿠스]][br][[퀸투스 풀비우스 플라쿠스(기원전 180년 집정관)|퀸투스 풀비우스 플라쿠스]]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마 공화국]] [[집정관]]. == 생애 == 로마의 전설적인 두번째 왕 [[누마 폼필리우스]]의 아들 칼푸스를 시조로 둔 [[노빌레스]] 집안인 칼푸르니우스 씨족의 일원이다. [[파스티 카피톨리니]]에 따르면, 조부와 아버지 모두 가이우스라는 프라이노멘을 사용했다고 한다. 학자들은 기원전 211년 [[법무관]]이었던 가이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가 그의 아버지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형제로 기원전 198년 [[레가투스(로마)|레가투스]]를 역임한 루키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가 있었다. 기원전 186년 법무관에 선임되어 먼 히스파니아 속주를 다스렸다. 그는 가까운 히스파니아 총독 루키우스 퀸크티우스 크리스피누스와 함께 카페타니족을 공격했다. 처음에는 톨레도 인근에서 패배했지만, 타구스 강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티투스 리비우스 파타비누스]]에 따르면, 그가 기병대를 친히 이끌고 적군의 측면을 요격해 승리를 거두었다고 한다. 이후 총독으로서 수년간 먼 히스파니아 속주를 다스린 그는 크리스피누스와 함께 로마에 군대와 함께 들어가게 해달라고 요청했지만, 기원전 184년 법무관인 푸블리우스 셈프로니우스 롱구스와 아울루스 테렌티우스 바로의 반대에 부딪쳐 결국 실패했다. 이후 로마에 홀로 돌아온 뒤 루시타니아인과 켈티베리아인들을 대상으로 승리를 거둔 것을 기념하는 [[개선식]]을 거행했다. 리비우스에 따르면, 개선식에 전시된 전리품은 83개의 황금 화환과 12,000파운드 상당의 은이었다고 한다. 기원전 181년 기원전 184년 집정관을 역임했던 [[푸블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풀케르(기원전 184년 집정관)|푸블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풀케르]], 기원전 182년 법무관 가이우스 테렌티우스 이스트라와 함께 [[에트루리아]]의 그라비스카 시를 건설하는 임무를 맡은 위원회의 일원이 되었다. 기원전 180년 [[아울루스 포스투미우스 알비누스 루스쿠스]]와 함께 집정관에 선임되었고, 동료 집정관과 함께 리구리아로 부임할 예정이었다. 그런데 그는 취임 직후 갑작스럽게 사망했고, 의붓 아들 [[퀸투스 풀비우스 플라쿠스(기원전 180년 집정관)|퀸투스 풀비우스 플라쿠스]]가 보결 집정관에 선임되었다. 리비우스에 따르면, 플라쿠스의 어머니이자 피소의 아내였던 호스틸리아 콰르타는 자기 아들이 집정관 선거에서 피소에 밀려 낙선한 것에 앙심을 품고 피소를 독살했다. 이 사실이 발각되면서 법정에 기소되어 처벌되었지만, 플라쿠스는 그럼에도 집정관으로 남았다고 한다. 피소는 생전에 양자로 루키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 카이소니누스를 들였다. 이 인물은 기원전 148년 집정관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