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기원전 2세기 집정관]][[분류:로마 공화국 집정관]][[분류:로마 출신 인물]] [include(틀:역대 로마 집정관/기원전 2세기)] ||||<#800080> {{{#ffffff {{{+3 '''가이우스 포필리우스 라이나스'''}}}[br]{{{-1 [[라틴어]]: Gaius Popilius Laenas }}} }}} || ||<#800080> {{{#ffffff '''생몰년도'''}}} ||미상 ~ 미상 || ||<#800080> {{{#ffffff '''출생지'''}}} ||[[이탈리아]] [[로마]] || ||<#800080> {{{#ffffff '''사망지'''}}} ||[[이탈리아]] [[로마]] || ||<#800080> {{{#ffffff '''지위'''}}} ||[[노빌레스]] || ||<#800080> {{{#ffffff '''국가'''}}} ||[[로마 공화정]] || ||<#800080> {{{#ffffff '''가족''' }}} ||푸블리우스 포필리우스 라이나스(조부)[br]가이우스 포필리우스 라이나스(아버지)[br][[마르쿠스 포필리우스 라이나스(기원전 173년 집정관)|마르쿠스 포필리우스 라이나스]](형제)[br]가이우스 포필리우스 라이나스(아들)[br][[푸블리우스 포필리우스 라이나스]](아들) || ||<#800080> {{{#ffffff '''직업'''}}} ||[[로마 공화정]] [[집정관]] || ||||<#800080> {{{#ffffff '''로마 공화정 집정관'''}}} || ||<#800080> {{{#ffffff '''임기'''}}} || 기원전 172년 || ||<#800080> {{{#ffffff '''전임'''}}} || [[루키우스 포스투미우스 알비누스(기원전 173년 집정관)|루키우스 포스투미우스 알비누스]][br][[마르쿠스 포필리우스 라이나스(기원전 173년 집정관)|마르쿠스 포필리우스 라이나스]] || ||<#800080> {{{#ffffff '''동기'''}}} || [[푸블리우스 아일리우스 리구스]] || ||<#800080> {{{#ffffff '''후임'''}}} ||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기원전 171년 집정관)|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br][[가이우스 카시우스 롱기누스(기원전 171년 집정관)|가이우스 카시우스 롱기누스]] || ||<#800080> {{{#ffffff '''임기'''}}} || 기원전 158년 || ||<#800080> {{{#ffffff '''전임'''}}} ||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돌라벨라(기원전 159년 집정관)|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돌라벨라]][br][[마르쿠스 풀비우스 노빌리오르(기원전 159년 집정관)|마르쿠스 풀비우스 노빌리오르]] || ||<#800080> {{{#ffffff '''동기'''}}} ||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기원전 158년 집정관)|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 || ||<#800080> {{{#ffffff '''후임'''}}} || [[섹스투스 율리우스 카이사르(기원전 157년 집정관)|섹스투스 율리우스 카이사르]][br][[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오레스테스(기원전 157년 집정관)|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오레스테스]]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마 공화국]] [[집정관]]. [[셀레우코스 제국]]의 [[안티오코스 4세]]의 주위에 원을 그리고 협박한 것으로 유명한 인물이다. == 생애 == 포필리우스 씨족은 평민들이 집정관에 한 자리를 무조건 차지하게 한 리키니우스-섹스투스법이 통과된 기원전 367년 이후 집정관에 여러 차례 이름을 올린 [[노빌레스]] 가문이다. 코그노멘인 라이나스(Laenas)는 포필리우스 가문 인사들이 전형적으로 사용한 별칭이었다.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에 따르면, 이 용어는 [[유피테르]] 신전의 [[플라멘|플라멘 디알리스]](Flamen Dialis)가 입는 외투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반면 19세기 독일의 고고학자 프리드리히 뮌처는 이 이름은 [[에트루리아]]에서 기원했다고 주장했다. [[파스티 카피톨리니]]에 따르면, 조부는 푸블리우스 포필리우스 라이나스이고 아버지는 가이우스 포필리우스 라이나스라고 한다. 형제로 기원전 173년에 집정관을 역임하고 기원전 158년에 감찰관을 맡은 [[마르쿠스 포필리우스 라이나스(기원전 173년 집정관)|마르쿠스 포필리우스 라이나스]]가 있었다. 기원전 175년 [[법무관]]을 역임했으며, 기원전 172년 [[푸블리우스 아일리우스 리구스]]와 함께 집정관에 선출되었다. 두 집정관이 모두 평민에 속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두 집정관은 [[페르세우스(마케도니아)|페르세우스]]와의 [[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에서 군공을 세울 기회를 얻기를 희망했지만, 그는 추첨을 통해 리구리아를 맡았다. 당시 리구리아는 그의 형제인 마르쿠스 포필리우스 라이나스가 속주민을 상대로 잔혹행위를 서슴지 않아서 민심이 안 좋았다. 그는 형제의 기소를 막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였고, 원로원의 허락을 받지 않고 포 강 북쪽 땅에 리구리아인 일부를 정착시켜서 그들을 달래려 애썼다가 원로원의 비판을 받았다. 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이 진행되던 기원전 169년 [[그나이우스 옥타비우스(기원전 165년 집정관)|그나이우스 옥타비우스]]와 함께 그리스 도시 국가들을 잇따라 방문해 "로마 관료들의 자의적인 강탈로부터 보호해주겠다는 원로원의 결의가 있었으니 페르세우스와 손잡지 마라"고 권고했지만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후 가이우스 호스틸리우스, 가이우스 데키무스와 함께 이집트를 침략한 [[셀레우코스 제국]]의 [[안티오코스 4세]]를 찾아가 이집트에서 철수하라고 요구하는 임무를 맡았다. 하지만 안티오코스 4세가 페르세우스와 동맹을 맺는 불상사를 초래할 수는 없었기에, 사절단은 [[델로스]]에서 얼마 동안 기다렸다. 기원전 168년 6월 페르세우스가 [[피드나 전투]]에서 패망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포필리우스 등은 이집트로 향했다. 당시 안티오코스 4세는 키프로스와 하이집트 전역을 공략하고 [[알렉산드리아]] 외곽에 진을 치는 등 이집트를 거의 석권했다. 포필리우스는 그런 왕 앞으로 나아가 이집트와 키프로스에서 즉시 철수하지 않으면 전쟁을 선포하겠다고 경고했다. [[폴리비오스]]에 따르면, 안티오코스 4세가 생각할 시간을 달라고 하자, 그는 지팡이로 왕 주위에 원을 그리고는 답을 하기 전에는 원에서 한 발자국도 나올 수 없다고 협박했다. 안티오코스 4세는 지난날 로마에 인질로 가 있으면서 로마가 얼마나 강한지 파악했기에, 요구에 응하기로 했다. 대신, 셀레우코스 제국이 남부 시리아를 계속 영유하는 건 인정되었다. 기원전 158년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기원전 158년 집정관)|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와 함께 두 번째로 집정관을 역임했다. 그의 형제 마르쿠스는 같은 해에 감찰관을 역임했다. 이후의 행적은 전해지지 않는다. 그는 두 아들 가이우스 포필리우스 라이나스와 [[푸블리우스 포필리우스 라이나스]]를 낳았다. 가이우스는 기원전 133년 법무관을 역임했고 기원전 130년 집정관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푸블리우스는 기원전 132년에 집정관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