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로마 공화국 집정관]][[분류:기원전 1세기 집정관]][[분류:라치오 주 출신 인물]] [include(틀:역대 로마 집정관/기원전 1세기)] ||||<#800080> {{{#ffffff {{{+3 '''가이우스 폰테이우스 카피토''' }}}[br]{{{-1 [[라틴어]]: Gaius Fonteius Capitō }}} }}} || ||<#800080> {{{#ffffff '''생몰년도''' }}} ||미상 ~ 미상 || ||<#800080> {{{#ffffff '''출생지''' }}} ||[[로마 공화국]] 투스쿨룸 || ||<#800080> {{{#ffffff '''사망지''' }}} ||[[로마 공화국]] [[로마]] || ||<#800080> {{{#ffffff '''지위''' }}} ||노부스 호모(Novus Homo: 신참자) || ||<#800080> {{{#ffffff '''국가''' }}} ||[[로마 공화국]] || ||<#800080> {{{#ffffff '''가족''' }}} ||가이우스 폰테이우스 카피토(아버지)[br]가이우스 폰테이우스 카피토(아들) || ||<#800080> {{{#ffffff '''직업''' }}} ||[[로마 공화정]] [[집정관]] || ||||<#800080> {{{#ffffff '''로마 공화정 집정관''' }}} || ||<#800080> {{{#ffffff '''임기''' }}} || 기원전 33년 || ||<#800080> {{{#ffffff '''전임''' }}} || [[루키우스 아우트로니우스 파이투스]][br][[루키우스 볼카티우스 툴루스(기원전 33년 집정관)|루키우스 볼카티우스 툴루스]] || ||<#800080> {{{#ffffff '''동기''' }}} || [[루키우스 플라비우스]]→[[마르쿠스 아킬리우스 글라브리오(기원전 33년 집정관)|마르쿠스 아킬리우스 글라브리오]] || ||<#800080> {{{#ffffff '''후임''' }}} || [[루키우스 비니키우스(기원전 33년 집정관)|루키우스 비니키우스]][br][[퀸투스 라로니우스]]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마 공화국]] [[집정관]]. == 생애 == 투스쿨룸 출신의 [[플레브스]] 가문인 폰테이우스 씨족 출신으로, [[파스티 카피톨리니]]에 따르면, 아버지는 그와 같은 이름이었다고 한다. 그는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의 측근이었다. 기원전 39년 [[호민관]]을 맡았으며 사제단의 일원이기도 했다. 기원전 38년 동방의 속주들 중 하나의 총독으로 부임한 뒤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와 아내 [[소 옥타비아]]의 이미지가 새겨진 동전을 주조했다. 기원전 37년 안토니우스의 대변자로서 이탈리아에 온 그는 타라키나에서 브룬디시움으로 향하는 동안 [[옥타비아누스]]와 동행해 안토니우스와 옥타비아누스가 브룬디시움 협약을 맺고 화해하도록 유도했다. 그 후 안토니우스에 의해 이집트에 보내진 그는 [[클레오파트라 7세]]를 안티오키아로 모셔왔다. 기원전 33년 5월 1일 [[루키우스 플라비우스]]와 함께 보결 집정관이 되었다가 [[퀸투스 라로니우스]]에게 직임을 넘겼다. 이후의 행적은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서기 12년 집정관 가이우스 폰테이우스 카피토는 그의 아들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