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2> {{{#fff {{{+1 '''가자시티 포위전'''[br]'''Siege of Gaza City'''[br]'''[[히브리어|{{{#ffffff קרב שדרות}}}]]'''}}}}}} || ||<-2> {{{#fff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fff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일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1.11. 기준 북부 가자 전선 지도.jpg|width=100%]]}}} || ||<-2> {{{#fff '''기간'''}}} || ||<-2> [[2023년]] [[11월 2일]] ~ [[2024년]] [[1월 6일]] || ||<-2> {{{#fff '''장소'''}}} || ||<-2> [[팔레스타인]] [[가자시티]] || ||<-2> {{{#fff '''교전국 및 교전 세력'''}}} || ||<^|1>'''[[하마스]]''' ||<^|1>'''[include(틀:국기, 국명=이스라엘, 출력=, 크기=27)] [[이스라엘]]''' || ||<-2> {{{#fff '''지휘관'''}}} || ||<^|1>[[야히야 신와르]][br][[모하메드 데이프]] ||<^|1>불명 || ||<-2> {{{#fff '''병력'''}}} || ||<^|1>[[이즈 앗딘 알카삼 여단]] ||<^|1>[[이스라엘군]]|| ||<-2> {{{#fff '''피해'''}}} || ||<^|1>불명 ||<^|1>불명 || ||<-2> {{{#fff '''결과'''}}} || ||<-2> '''이스라엘의 승리 [br] [[가자시티]] 점령 '''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pjEdnkVg89A)] [[2023년]] [[11월 2일]]부터 [[2024년]] [[1월 6일]]까지 [[이스라엘군]]이 [[가자(도시)|가자시티]]를 상대로 진행한 포위전. == 전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 10 29 전선.png |width=100%]] }}} || || '''10.29.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 || * 10월 29일, '''이스라엘군이 가자 지구에 진입했다.''' *이스라엘군이 해안을 따라 3킬로미터 쯤 진격했다고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 10 30 전선.png |width=100%]] }}} || || '''10.30.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 || * 이스라엘군은 가자시티에 진입했다. 또한 가자지구의 주요 고속도로 살라 알딘 도로에 도달해 도로를 봉쇄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 11 01 전선.png |width=100%]] }}} || || '''10.31.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 || * 북쪽 해안 방면에서도 이스라엘군이 가자시티에 진입했다. 이스라엘군은 북동쪽 방면으로도 진격, 베이트 하눈에 진입했다. * 가자시티의 남쪽에서는 이스라엘군이 살라 알딘 도로 넘어 해안으로 진격중에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 11 02 전선.png |width=100%]] }}} || || '''11.01.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 11 01 가자지구.jpg|width=100%]] }}} || || '''11.01. 기준 가자지구 전선 지도''' || * 이스라엘군은 가자시 남쪽 해안을 향해 계속 전진했다. 가자 지구를 가로지르는 데까지 800m도 남지 않았다. 또한 북쪽 해안을 따라 진전을 이루었고 베이트 하눈 내에서도 진격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 11 02 전선(2).png |width=100%]] }}} || || '''11.02.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 11 02 위성 전선.jpg|width=100%]] }}} || || '''11.02.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위성 전선 지도''' || * 이스라엘군은 가자 시 남쪽 해안에 도달하여 가자 지구 남부와 연결하는 마지막 경로를 끊었다. '''이로써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의 핵심도시 가자 시티를 완전히 포위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 11 05 전선.png |width=100%]] }}} || || '''11.05.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 || * 이스라엘군은 계속해서 해안을 따라 진격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 11 06 전선.png |width=100%]] }}} || || '''11.06.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 11 09 전선.png |width=100%]] }}} || || '''11.09.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 || * 이스라엘군이 무려 10시간의 교전 끝에 가자지구 북부 자발리아 서쪽에 있는 하마스의 요새를 장악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 11 11 전선.png |width=100%]] }}} || || '''11.11.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오전 전선 지도'''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 11 11 전선 -2.png |width=100%]] }}} || || '''11.11.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오후 전선 지도''' || * 이스라엘군이 베이트 하눈의 대부분을 장악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3.11.15.이스라엘하마스지도.jpg|width=100%]] }}} || || '''11.15.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오전 전선 지도''' || * 이스라엘 군이 가자지구 최대 병원인 알시파 병원을 심야에 급습해 작전을 펼쳤다. 이 병원은 이스라엘이 줄곧 하마스의 근거지로 지목해 왔던 곳이다. * 이스라엘군이 알 샤티 난민촌에 대해 완전한 통제권을 얻었다. * 이스라엘군이 가자 시티에 인접한 모든 해안을 점령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11.17.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jpg|width=100%]] }}} || || '''11.17.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 || * 이스라엘군이 가자시티에서 점점 더 깊숙히 전진하고 있다. * 베이트 하눈과 베히트 라히야에서도 이스라엘군이 진전을 이루어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11.22.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jpg|width=100%]] }}} || || '''11.22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 || * 이스라엘군이 가자시티의 동남부에서 중심부로 깊숙히 진격했다. * 또한 이스라엘군이 자발라야 난민촌 북쪽과 인도네시아 병원까지 진격했다. 2023년 11월 24일, 이스라엘군과 하마스사이에서 교전이 일시 중단되었다. 12월 1일, 하마스가 휴전협정을 위반하고 이스라엘에 까삼 로켓을 발사함에 따라 다시 교전이 재개됐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12.02.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jpg|width=100%]] }}} || || '''12.02.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 || * 이스라엘군이 베이트 하눈을 완전히 점령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12.06.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jpg|width=100%]] }}} || || '''12.06.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 || * 한국 시간으로 7일 오전 8시 22분, @War_Mapper가 전황 지도를 업데이트했다.[[https://twitter.com/War_Mapper/status/1732540948553343093|#]] * 이스라엘군이 가자시티와 자발리야 난민촌에서 추가적인 진전을 얻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12.11.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북부 가자 지도.jpg|width=100%]] }}} || || '''12.11.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북부 가자 지도''' || * 이스라엘군이 가자시티와 자발라야에서 더욱 깊숙히 전진하고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12.22.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북부 가자 지도.jpg|width=100%]] }}} || || '''12.22.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북부 가자 전선 지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12.26.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북부 가자 지도.jpg|width=100%]] }}} || || '''12.26.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북부 가자 지도''' || * 이스라엘군이 가자시티에서 크게 진격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12.31.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북부 가자 지도.jpg|width=100%]] }}} || || '''12.31.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북부 가자 지도''' || * 이스라엘군이 가자시티의 대부분을 통제하고 있으며, 도시의 북쪽 외곽에서 하마스 잔당들을 처리하고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01.11. 기준 북부 가자 전선 지도.jpg |width=100%]] }}} || || '''01.11. 기준 이스라엘-하마스 전선 북부 가자 지도''' || * 이스라엘군이 가자시티 전체를 점령하는데 성공하면서, 2개월에 걸친 '''가자시티 포위전은 이스라엘의 승리로 끝났다.''' == 전투 목록 == * 베이트 하눈 전투[* 이스라엘의 승리] * 알시파 병원 전투[* 이스라엘의 승리] * 자발라야 전투[* 이스라엘의 승리] == 결과 == 2023년 11월부터 시작된 가자 포위전은 2024년 초가 되자 이스라엘군이 가자시티를 완전히 점령하면서 마무리되었다.[[https://twitter.com/War_Mapper/status/1745348301858259231|#]] 게다가 11월부터 시작된 전투가 1월 1일 대략 60일간 시가전이 진행되었고 성과를 어느정도 올렸지만 민간인 사망자 수가 높아지면서 이스라엘은 미국을 비롯해 서방에게 '저강도 정밀타격'으로 전환하라며 촉구 및 경고를 받았다. 게다가 전쟁 발발 이후 4개월간 진행, 이스라엘 경제 산업에 지체가 되면서 이스라엘은 서방의 거세지는 압박에 일단 수용하는 모습을 보여줄 겸 장기전을 대비해 휴식시킬 5개 여단을 철수, 예비군 일부를 소집해제를 시켜 경제활동에 복귀시켰고 저강도 정밀타격을 선언했다.[* 단, 친러/반미/반유대주의를 보이는 음모론자와 일부 사람들은 "이스라엘이 메르카바 전차 다수 잃었고 병력 손실이 컸다. 이스라엘이 5개 여단을 철수시킨 것은 이스라엘이 졌다는 증거"라며 네이버나 다음 뉴스 댓글에 도배하는 중이다.] [[분류:2023년 전투]][[분류: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분류:가자(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