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악마족]][[분류:유희왕/OCG/카드군/지정되지 않는 경우]] [목차] == 설명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일련의 테마로, '가젯트'라는 이름을 공유하는 어둠 속성 / 악마족 몬스터 시리즈. 한국어 발매판에서는 원래 '가제트'로 나왔으나, 이후 [[가제트(유희왕)|가제트]] 카드군이 정착되면서 에라타되었다. 별도의 카드군으로 묶인 것은 아니지만 공통적으로 [[라의 익신룡|릴리스한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 다만 해당 링크의 카드는 [[고대의 주문|별도의 지원 카드]]가 따로 생겨나기 전엔 해당되지 않았다.]과 관련된 효과를 내장하고 있는 것이 특징.[* 6레벨의 위대한 마수 가젯트를 제외한 모든 가젯트 몬스터들이 릴리스한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의 합계에 따라 공격력이 결정된다.] 거기다 8레벨 이상의 두 가제트는 그나마 최신 카드라 그런지 릴리스 후 '''특수 소환'''으로 취급되어 좀 더 사용이 용이해졌다. 기본적으로 '릴리스한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에 따라 공격력이 결정되므로 [[스킬 드레인|스드]]덱의 메인 몬스터들과 궁합이 좋다. 문제는 이 카드의 카운터도 스드라는 것. 그리고 카드에서 말하는 '원래 공격력'은 '''묘지로 갔을 때의 원래 공격력'''이다. 때문에 필드에서 원공이 결정되는 카드들을 릴리스해서 뽑으면 '''그 카드에 적힌 공격력'''에 따라 공격력이 계산되지, 해당 몬스터들이 필드에서 가지던 원래 공격력으로 계산되지 않는다. 대표젹인 예가 '저주받은 하인 킹'. 때문에 저주받은 하인 덱에서 조커로 기용하는건 불가능하다. 가장 큰 단점은 카드 특성상 효과를 무효화시키는 각종 카드들에게 매우 취약하다. 결정되는게 원공이 아니라서 효과가 무효화되면 그대로 쓰래기가 되기 때문에 유의해야한다. 그리고 파괴내성 및 효과내성도 없어서[* 마수카이저 가젯트가 배틀페이즈 한정으로 효과발동을 틀어막는게 전부다.] 힘들게 뽑아놓고도 철거당하기 쉽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가장 호궁합인 카드는 위에서 말한대로 원래 공격력이 높지만 [[신수왕 바르바로스|릴리스 없이]] [[가변기수 간나드래곤|일반/특수]] [[열차(유희왕)#s-2.3.3|소환이]] [[Sin(유희왕)|가능한]] [[세그멘탈 드래곤|카드들]]이 있다. ~~찾아보면 더 많다.~~ 게다가 저런 카드들 대다수가 [[스킬 드레인]]과 함께 쓰이며, 가젯트는 반대로 스드가 없는 상황에서 날뛸 수 있으므로 스드덱과 상호 보완적인 관계라 스드 덱에 조커용으로 기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외에 [[클리포트(유희왕)|클리포트]] 덱에서 쓰는 것도 가능하지만 클리포트 공통의 펜듈럼 효과 때문에 진마수 가젯트나 마수카이저 가젯트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위대한 마수 가젯트 정도가 쓰일 수 있다... 지만 클리포트 덱은 이걸 넣느니 딴걸 넣는게 나아서 안쓰인다. 여러모로 잘 쓰면 상당히 강력할 수 있지만, 아쉽게도 메타와 맞지 않아서 자주 기용되진 않는다. 요즘 메타의 상급 몬스터는 열의 일곱 정도가 효과 내성, 파괴 내성, 효과 지정 내성 중 하나나 둘 이상을 달고 나오는게 보통인데 이놈들은 내성따윈 하나도 없어서 온갖 마함에 갈려나간다. 애니메이션에선 극장판 [[빛의 피라미드]]에서 단역이 합성마수를 쓰는 것으로만 짧게 등장한다. == 카드 목록 == === [[합성마수 가젯트]] === === [[위대한 마수 가젯트]] === === 진마수 가젯트 === [[파일:真魔獣 ガーゼッ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특수 소환=, 한글판명칭=진마수 가젯트, 일어판명칭=真魔獣(しんまじゅう) ガーゼット, 영어판명칭=Legendary Maju Garzett,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레벨=8, 공격력=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자신 필드 위의 몬스터를 전부 릴리스했을 경우에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력은\,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하기 위해 릴리스한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을 합계한 수치가 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만 전투 데미지를 준다.)] [[더 시크릿 오브 에볼루션]]에서 정말 오랜만에[* 위대한 마수 가젯트의 첫 수록 이후 무려 '''11년'''만.] 등장한 신형 가젯트. 외형도 진정한 마수에 걸맞게 더 흉악해졌다. 일반 소환 시 릴리스한 몬스터의 공격력을 얻는 다른 가젯트들과 달리 필드의 몬스터를 릴리스해 특수 소환하고 그 공격력을 얻는 형태의 특수 소환 몬스터로 나왔다. 1번 효과는 원작판 [[라의 익신룡]]의 공격력 상승 효과. 릴리스하는 조건의 몬스터가 3장이 아니라 전부로 바뀐 것이 차이점이지만 특수 소환 몬스터이기에 원작의 라보다 훨씬 편하게 높은 공격력을 얻을 수 있는 무지막지한 효과를 달고 나왔다. 2번 효과는 관통 데미지, 상대 수비 몬스터를 공격해 원턴킬을 노릴 때 유용하다. 다만, 전부라는 텍스트에 맞춰 이 카드를 소환하는 플레이어는 릴리스 용도로 사용할 몬스터를 조절할 수가 없으며, 릴리스 소재를 줄이고 싶다면 자기가 알아서 필드를 치워야 하는 수고를 동반한다. 그리고 [[이펙트 뵐러]] 등의 무효화계 카드를 맞으면 매우 아프니 주의. 일반 소환권을 쓰지 않고 필드의 몬스터를 릴리스해서 특수 소환이 가능한 만큼 [[성각]]과 같이 사용해서 신룡의 성각인과 함께 랭크 8 엑시즈 소환에 사용할 수도 있고 게다가 이젠 최초의 드래곤족 레벨 8 일반 / 튜너인 [[용핵의 주령자]]가 나와 패 2장만으로 [[궁극환신 얼티메틀 비시바르킨]], [[얼티마야 촐킨]][* 물론 이쪽은 [[래브라도라이드래곤]]이 있을 때도 됐지만], 랭크 8 엑시즈 소환이라는 폭넓은 선택지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마수 가젯트 시리즈 답게 모티브는 [[마징가 Z(진 마징가 충격! Z편)|진 마징가]]. ||<-5>수록 시리즈 || ||<(> 2014-11-1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ECE-JP042 | '''[[더 시크릿 오브 에볼루션|THE SECRET OF EVOLUTION]]''' || ||<(> 2018-03-1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R06-JP009 | [[암흑의 주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R - 闇黒の呪縛 -]] || ||<(> 2015-01-1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ECE-EN042 | '''[[더 시크릿 오브 에볼루션|SECRETS OF ETERNITY]]''' || ||<(> 2018-04-2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R06-EN009 | [[암흑의 주박|Structure Deck: Lair of Darkness]] || ||<(> 2015-02-13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ECE-KR042 | '''[[더 시크릿 오브 에볼루션]]''' || ||<(> 2018-06-1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R06-KR009 | [[암흑의 주박|스트럭처 덱 R - 암흑의 주박 -]] || === 마수카이저 가젯트 === [[파일:魔獣皇帝ガーゼッ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특수 소환=, 한글판명칭=마수카이저 가젯트, 일어판명칭=魔獣(まじゅう)皇帝(カイザー) ガーゼット, 영어판명칭=Emperor Maju Garzett,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레벨=9, 공격력=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자신 필드의 몬스터 3장을 릴리스했을 경우에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력은\,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하기 위해 릴리스한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을 합계한 수치가 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상대는 배틀 페이즈 중에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이름의 유래는 [[마징카이저]]. '황제'라고 쓰고 '카이저'라고 읽게 되어 있다. 그 외에도 같은 황제의 이름을 쓰는 [[마징엠페러 G]]의 비주얼도 따온 듯. 진마수와는 달리 모든 몬스터를 릴리스할 필요는 없는 대신 반드시 3장만을 릴리스해야한다. 진마수와 마찬가지로 [[라의 익신룡]]의 원작 공격력 상승 효과를 가져왔다. 2번 효과는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배틀 페이즈 중 상대의 카드 발동을 막는 강력한 효과. 3장이나 릴리스하고 특소되었다면 이 카드의 공격력도 상당할 터인데 거기에 배틀 페이즈 중 카드 발동을 막으니 그야말로 마수 가젯트의 죽창이 따로없다. 자신이 전투할 때 그것도 데미지 스텝 종료시까지만 막는 [[SNo.39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만 해도 강력한 축에 드는 걸 생각하면 아예 배틀 페이즈 중 모든 발동을 막는 이 효과가 얼마나 강한지는 더 설명이 필요없을 것이다. 모티브가 된 마징카이저나 황제라는 이명에 걸맞는 강력한 효과. ||<-5>수록 시리즈 || ||<(> 2019-01-1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ANE-JP027 | '''[[다크 네오스톰|DARK NEOSTORM]]''' || ||<(> 2019-04-1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ANE-KR027 | '''[[다크 네오스톰]]''' || ||<(> 2019-05-0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ANE-EN027 | '''[[다크 네오스톰|Dark Neostorm]]''' || ||<(> 2020-08-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P20-EN062 | 2020 Tin of Lost Memorie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관련 카드 == === [[썬더 브레이크(유희왕)|썬더 브레이크]] ===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그레이트 마징가]]의 필살기 중 하나가 [[썬더 브레이크]]라는 점에서 관련 소재가 존재한다. === [[붉은 마수 다 이자]] === 문서 참조. 역시 직접적인 관련은 없는데다 사용할만한 덱은 좀 다르지만, 위의 카드의 맥락을 이어 [[그렌다이저]]를 패러디한 카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