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태풍 명칭)] [목차] == 개요 == [[카지키|가지키]](Kajiki, カジキ)는 [[일본]]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황새치]]를 의미한다. [[황새치자리]]를 고려하고 이름을 따왔다고 한다. == 2001년 제24호 태풍 == [include(틀:2001년 태풍)] || [[2001년|{{{#FFF '''2001년'''}}}]] [[태풍|{{{#FFF '''태풍'''}}}]] || || 제23호 [[링링(태풍)#s-2|링링]] → '''제24호 가지키''' → 제25호 [[파사이#s-2]] || |||||| '''{{{+5 {{{#!html 2001년 제24호 태풍 가지키}}}}}}''' || ||<#3594D3> {{{#ffffff 위성사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 {{{#ffffff 진로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 {{{#ffffff 활동 기간}}} ||||<:> 2001년 12월 5일 ~ 2001년 12월 8일 || ||<#3594D3> {{{#ffffff 영향 지역}}} ||||<:> [[필리핀]], [[베트남]] || || {{{#white 태풍 등급}}} ||<-2><:> {{{#000 '''열대폭풍'''}}}[*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열대폭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 '''중형(직경 740km)''' || ||<#3594D3> {{{#ffffff 최저 기압}}} |||| '''996hPa'''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1분 평균 || '''18m/s''' || ||<:>10분 평균 || '''18m/s''' || == 2007년 제19호 태풍 == [include(틀:2007년 태풍)] || [[2007년|{{{#FFF '''2007년'''}}}]] [[태풍|{{{#FFF '''태풍'''}}}]] || || 제18호 [[링링(태풍)#s-3|링링]] → '''제19호 가지키''' → 제20호 [[파사이#s-3]] || |||||| '''{{{+5 {{{#!html 2007년 제19호 태풍 가지키}}}}}}''' || ||<#3594D3> {{{#ffffff 위성사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 {{{#ffffff 진로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 {{{#ffffff 활동 기간}}} ||||<:> 2007년 10월 19일 ~ 10월 22일 || ||<#3594D3> {{{#ffffff 영향 지역}}} ||||<:> 괌, 일본 오가사와라 제도, 미국 알래스카 주 || || {{{#white 태풍 등급}}} ||<-2><:> {{{#000 '''4등급'''}}}[*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매우 강한 태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 '''소형(직경 550km)''' || ||<#3594D3> {{{#ffffff 최저 기압}}} |||| '''945hPa'''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1분 평균 || '''59m/s''' || ||<:>10분 평균 || '''46m/s''' || == 2014년 제2호 태풍 == [include(틀:2014년 태풍)] || [[2014년|{{{#FFF '''2014년'''}}}]] [[태풍|{{{#FFF '''태풍'''}}}]] || || 제1호 [[링링(태풍)#s-4|링링]] → '''제2호 가지키''' → 제3호 [[파사이#s-4]] || |||||| '''{{{+5 {{{#!html 2014년 제2호 태풍 가지키}}}}}}''' || ||<#3594D3> {{{#ffffff 위성사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 {{{#ffffff 진로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 {{{#ffffff 활동 기간}}} ||||<:> 2014년 1월 31일 9시 ~ 2014년 2월 1일 21시 || ||<#3594D3> {{{#ffffff 영향 지역}}} ||||<:> 팔라우, 필리핀 || || {{{#white 태풍 등급}}} ||<-2><:> {{{#000 '''열대폭풍'''}}}[*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열대폭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 '''소형(직경 500km)''' || ||<#3594D3> {{{#ffffff 최저 기압}}} |||| '''1000hPa'''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1분 평균 || '''18m/s''' || ||<:>10분 평균 || '''18m/s''' || == 2019년 제14호 태풍 == [include(틀:2019년 태풍)] || [[2019년|{{{#FFF '''2019년'''}}}]] [[태풍|{{{#FFF '''태풍'''}}}]] || || 제13호 [[링링(2019년 태풍)#s-1|링링]] → '''제14호 가지키''' → 제15호 [[파사이#s-5]] || |||||| '''{{{+5 {{{#!html 2019년 제14호 태풍 가지키}}}}}}''' || || {{{#ffffff 위성사진}}} |||| [[파일:가지키사진.jpg|width=100%]] || || {{{#ffffff 진로도}}} |||| [[파일:640px-Kajiki_2019_track.png|width=100%]] || || {{{#ffffff 활동 기간}}} ||||<:>2019년 9월 2일 21시 ~ 2019년 9월 3일 21시|| || {{{#ffffff 영향 지역}}} |||| [[베트남]], [[라오스]], [[중국]] 하이난 성 || || {{{#white 태풍 등급}}} ||<-2><:> {{{#000 '''열대폭풍'''}}}[*JTWC] || || [[템플릿:태풍#s-2.2.3|{{{#white 10분 등급}}}]] ||<-2><:> {{{#000 '''열대폭풍'''}}}[*JMA] || || {{{#ffffff 태풍 크기}}} |||| '''중형(직경 800 km)''' || || {{{#ffffff 최저 기압}}} |||| '''996 hPa''' || ||<|2> {{{#ffffff 최대 풍속}}} ||<:>1분 평균 || '''18 m/s''' || ||<:>10분 평균 || '''18 m/s''' || === 태풍의 진행 === [[8월 31일]] 21시경, 일본 기상청에서 필리핀 북부 해상의 열대저압부의 감시를 시작하였다. 이 열대저압부는 베트남 쪽으로 계속 서진하였으며, 9월 2일에는 중국 [[하이난성]]을 통과하였다. 이후 9월 3일 새벽 베트남 [[다낭]] 북쪽의 트어티엔후에 지역에 상륙하였다. 그리고 9월 2일 21시에 일본 기상청에서 태풍 '가지키'의 발생을 선언하였다. 세력은 중심기압 996hPa, 10분 풍속 18m/s이다. 일본 기상청은 가지키가 동진을 시작하여 대만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한국 기상청 또한 일본과 비슷한 예보를 내었다. 반면, 미국 JTWC는 9월 3일 5시 예보에서 베트남 내륙으로 계속 진행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일본 기상청의 9월 3일 15시 발표문에 따르면, 가지키가 베트남 내륙에서 다시 동진을 시작하여 베트남 동쪽 해상으로 빠져나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전형적인 태풍과는 달리 구름이 넓게 퍼져, 세력은 중심기압 996hPa, 10분 풍속 18m/s로 약하지만 북동쪽으로 치우친 넓은 강풍역을 보여주고 있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 '대형'으로 분석되고 있다.미국 JTWC의 18시 발표문에서는 아직 베트남 내륙에 중심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중심이 불분명하여 해석의 차이가 있는 듯 보인다. 일본 기상청의 15시 예보에서는 가지키가 대만 방향으로 계속 동진할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18시 발표문을 통해 24시간 후에 열대저압부로 약화될 것이라고 예보를 수정하였다. 이후 21시에는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공식 발표하면서 가지키는 태풍으로서의 삶을 마감하였다. JTWC에서는 해당 태풍을 '''열대저기압'''[* 18m/s 미만]으로 관측하였다. 한국, 일본 기상청의 관측보다 한 단계 약하게 관측한 것이다. 이후 2020년 사후해석에서 태풍 가지키의 세력을 '''열대폭풍'''으로 승격하여 한국, 일본 기상청과 해석 세력이 동등해졌다. === 여담 === 35kt로 약한 태풍이나 91W가 더 빨리 발생했다면 [[링링(2019년 태풍)|92W]]가 이 이름이 되어서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졌을 수도 있다. [[분류:2001년 태풍]][[분류:2007년 태풍]][[분류:2014년 태풍]][[분류:2019년 태풍]][[분류:나무위키 태풍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