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대학별 캠퍼스)] ---- [include(틀:가톨릭대학교)] ---- [include(틀:가톨릭대학교의 교정별 시설)] [목차] == 개요 == 가톨릭대학교 성신교정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296-12 ([[혜화동]])에 위치해 있다. 소위 [[대학로(서울)|대학로]]라 하는 곳에 위치해 있는데, 캠퍼스의 특성상 평소에는 통학생을 제외한 일반인의 출입이 금지되어 있다. == 캠퍼스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songsin.catholic.ac.kr/key26_img.jpg|width=100%]]}}}|| || '''1''' || '''도서관''' || || '''2''' || '''진리관''' || || '''3''' || '''대학본부''' || || '''4''' || '''대성당''' || || '''5''' || '''대건관(기숙사)''' || || '''6''' || '''사목관(사제평생교육원)''' || || '''7''' || '''강학관(기숙사)''' || || '''8''' || '''수덕관(기숙사)''' || || '''9''' || '''성신관(전례박물관)''' || || '''10''' || '''이내수관(지혜관)''' || || '''11''' || '''양업관(기숙사)''' || || '''12''' || '''기관실''' || || '''13''' || '''운동장''' || || '''14''' || '''강성삼관(주교관)''' || || '''15''' || '''대학 정문''' || === 도서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성신교정_도서관 2.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성신교정_도서관.jpg|width=100%]]}}}|| || '''도서관''' || --[[성심교정]] [[도서관]]보다 성신교정 도서관이 훨씬 좋아 보인다면 그건 기분 탓-- === 진리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성신교정_진리관.jpg|width=100%]]}}}|| || '''진리관''' || 강의실과 강당 등으로 이루어진 건물. === 대학 본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성신교정_대학본부.jpg|width=100%]]}}}|| || '''대학 본부''' || === 대성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mariasarang.net/%EA%B0%80%ED%86%A8%EB%A6%AD%EB%8C%80%ED%95%99%EA%B5%90%EC%84%B1%EB%8B%B9_%EC%99%B8%EB%B6%80_SH108530(0).jpg|width=100%]]}}}|| || '''대성당'''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hoto.catholic.or.kr/th2_%EC%8B%A0%ED%95%99%EA%B5%902_%EC%84%B1%EB%8B%B9_%EB%82%B4%EB%B6%80_SH100357.JPG.jpg|width=100%]]}}}|| || '''대성당 내부''' || 입구에 서 있는 동상은 한국 최초의 신부인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의 동상이며, 2층의 성당에는 김 신부의 유해가 모셔져 있다. 1층에는 식당이 있다. 현재 건물 곳곳은 금이 가있으며, 신학생들 사이에선 이 건물이 무너지지 않는 이유가 김 신부의 유해 덕분이라는 소문이 있다. === 대건관[* [[한국 가톨릭]] 최초의 신부인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의 이름을 딴 것.]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성신교정_대건관과 대성당.jpg|width=100%]]}}}|| || '''좌측 대건관, 우측 대성당'''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hoto.catholic.or.kr/th2_%EC%8B%A0%ED%95%99%EA%B5%902_%EC%97%B0%EB%AA%BB_SH100439.JPG.jpg|width=100%]]}}}|| || '''대건관 연못''' || === 사목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hoto.catholic.or.kr/th2_%EA%B0%80%ED%86%A8%EB%A6%AD%EB%8C%80%ED%95%99%EA%B5%90%EC%8B%A0%ED%95%99%EB%8C%80%ED%95%99_%EC%82%AC%EB%AA%A9%EA%B4%80_SH108660.JPG.jpg|width=100%]]}}}|| || '''사목관''' || === 강학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가톨릭대학교_강학관과수덕관.jpg|width=100%]]}}}|| || '''강학관''' || === 수덕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hoto.catholic.or.kr/th2_%EC%8B%A0%ED%95%99%EA%B5%902_%EC%88%98%EB%8D%95%EA%B4%80_SH100298.JPG.jpg|width=100%]]}}}|| || '''수덕관''' || 일명 산위의 마을. 부제들이 생활하는 곳이지만, 강학관이 2,6학년이 같이 살게 되면서 강학관의 방이 부족하게 되자 6학년 일부 인원이 들어와 부제반이랑 같이 살고 있다. === 성신관 / 이내수관[* [[한국 가톨릭]]의 6번째 신부인 이내수 아우구스티노 신부의 이름을 딴 것.]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0c84fe7422f5d0c35798eb5ab3204c8b95306f72be1c06d009148827aa3818a5.jpg|width=100%]]}}}|| || '''성신관(좌)과 이내수관(우)''' || === 양업관[* [[한국 가톨릭]]의 2번째 신부인 [[최양업]] 토마스 신부의 이름을 딴 것.]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hoto.catholic.or.kr/th2_%EC%8B%A0%ED%95%99%EA%B5%902_%EC%96%91%EC%97%85%EA%B4%80%EC%A7%80%ED%98%9C%EA%B4%80_SH100420.JPG.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hoto.catholic.or.kr/th2_%EA%B0%80%ED%86%A8%EB%A6%AD%EB%8C%80%ED%95%99%EA%B5%90%EC%8B%A0%ED%95%99%EB%8C%80%ED%95%99_%EC%96%91%EC%97%85%EA%B4%80_213.JPG.jpg|width=100%]]}}}|| || '''양업관''' || 1학년 신학생들이 사는 [[기숙사]] === 운동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hoto.catholic.or.kr/th2_%EA%B0%80%ED%86%A8%EB%A6%AD%EB%8C%80%ED%95%99%EA%B5%90_%EC%A0%84%EA%B2%BD_DSC09084.JPG.jpg|width=100%]]}}}|| || '''성신교정 운동장''' || 인조잔디로 이루어져 있다. . === 강성삼관(주교관)[* [[한국 가톨릭]]의 5번째 신부인 강성삼 라우렌시오 신부의 이름을 딴 것.]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hoto.catholic.or.kr/th2_%EC%8B%A0%ED%95%99%EA%B5%902_%EC%A3%BC%EA%B5%90%EA%B4%80_SH100403.JPG.jpg|width=100%]]}}}|| || '''강성삼관(주교관)''' || 은퇴한 서울대교구 주교들이 이 곳에서 생활하며, [[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 역시, 은퇴 이후 이 주교관에서 생활하다가 사망했다. 그래서 김 추기경에게 붙었던 별명이 ''''혜화동 할아버지''''. [[정진석(성직자)|정진석 니콜라오]] 추기경 역시 은퇴 이후 이곳에서 생활하다 2021년 4월 27일 사망하였다. [[염수정]] 추기경도 은퇴 후 이곳에서 생활하고 있다. === 대학 정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hoto.catholic.or.kr/th2_%EA%B0%80%ED%86%A8%EB%A6%AD%EB%8C%80%ED%95%99%EA%B5%90%EC%8B%A0%ED%95%99%EB%8C%80%ED%95%99_%EC%9E%85%EA%B5%AC_SH108524.JPG.jpg|width=100%]]}}}|| || '''성신교정 대학 정문''' || [[혜화동 성당]] 뒤편으로 가서 언덕을 오르면 정문이 나온다. 윗 문장 서술이 틀렸다고는 할 수 없지만 약간의 오해의 소지는 담고 있다. 뒤편이라고 하면 흔히 일단 정문으로 들어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는데, [[혜화동 성당]] 정문과 후문은 모두 [[혜화동]] 로터리에서 삼선교 로터리로 이어지는 대로변에 있다. 즉, 혜화동 로터리에서 신학교 정문이 있는 성당 후문으로 가는 방법이 (1) 성당 정문을 통해서 가는 방법이 있고, (2) 성당으로 들어가지 않고 대로변 보도를 따라 걸어 올라가는 2가지가 있는데, 문제는 성당 후문은 주일 또는 특별한 행사가 있을 때가 아니면 잠겨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는 것. 따라서 [[혜화동 성당]]에 들를 일 없이 신학교만 가는 것이 목적이라면, 굳이 [[혜화동 성당]] 정문으로 들어가는 건 그리 현명한 행동이 아니라는 것이다. 위 사진은 몇 발자국 앞에서 찍어 양 쪽이 잘려서 잘 안 보이지만 몇 걸음 뒤로 물러나 찍었다면 사진의 왼쪽은 [[혜화동 성당]] 부설 [[유치원]]이고, 오른쪽은 [[혜화동 성당]] 후문이다. [[혜화동 성당]] 정문으로 들어가지 않고 정문을 지나 야트마한 오르막길의 보도를 걷다 오른쪽을 돌아보면, 위 사진과 같은 모습을 볼 수 있다. === [[십자가의 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5f91f8b893d3518bde2314eb07c01da4b4dc7693632f44894a3f22741b48d1f1.jpg|width=100%]]}}}|| || '''십자가의 길''' || 2018년 현재 자발적으로 하는 경우는 없다. 가끔 순례객들이 하는 정도. 소중한 유산을 적극 이용하자는 취지에서 시도가 여러번 있었지만 그 때 뿐이었다. 과거에 [[정진석 니콜라오]] 추기경이 매일 이곳을 1시간씩 산책을 하였다. 신학교 방문객들이 이곳을 걷다가 정 추기경과 마주치는일도 적지 않았다고 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 version=449)] [[분류:가톨릭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