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가평군 농어촌버스)] [[파일:attachment/WikiSandbox/_4.png]] 32-21번 당시.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가평군 CI_White.svg|width=30]] {{{#ffffff 가평군 일반형버스 20-4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가평 20-4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신천리(설악터미널) ||<-2> 종점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면 모곡리(모곡) || ||<|2> 종점행 || 첫차 || 06:50 ||<|2> 기점행 || 첫차 || 07:20 || || 막차 || 18:40 || 막차 || 19:20 || ||<-2> 운수사명 || [[가평교통]] ||<-2> 배차간격 || 1일 6회(120~160분) || ||<|2><-2> 노선 ||<-4> [[설악터미널]] - 설악5일시장 - 창의리 - '''__위곡3리회관__''' - 위곡2리 - 위곡1리회관 - 널미재 - 동막리 - 점말.모곡1리 - 한서중학교 - '''__한서초등학교__''' - 모곡 || ||<-4> '''__※밑줄 친 정류장은 설악행, 모곡행 둘 다 들어오므로 운행 방향을 보고 주의해서 탑승해야 한다.__''' || == 개요 == [[가평교통]]에서 운행하는 농어촌버스 노선으로, '설악 - 한서 - 모곡' 구간을 운행한다. [[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cmd=mainSearchText&gubun=busInfo&searchText=20-4&routeId=239000072|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이 노선의 전신은 [[진흥고속]]이 운행한 '[[상봉터미널]] - 청평 - 설악 - 모곡' 간 시외버스였다. 2005년 기준으로 하루 7번(상봉동 0720 0920 1100 1310 1500 1650 1920 / 모곡 0740 1010 1210 1400 1550 1800 1910) 운행했으며, 2006년에 하루 5번(상봉동 기준 06:50, 11:00(개야리), 13:40(개야리), 17:00, 19:30)으로 감회되어 폐선 직전까지 이 시간표대로 운행했다. 요금은 6,700원이었고 모곡에서는 모곡사거리 앞 다방에 영업소가 있어 여기서 승차했다. 다만, 이때 가평군에서 모곡으로 들어가는 버스가 시외버스 외에 아예 없던 건 아니고 설악에서 위곡리로 가는 노선이 하루 1번(10:30) 모곡까지 갔다. (모곡 11:20 출발) 이 노선은 시외버스가 폐선된 뒤에도 번호만 32번으로 바뀌고 그대로 남아 있다가 이후 폐선되었다. * 하지만 워낙 수요가 없어 2009년경에 폐선되면서 당장 외부로 나갈 수단이 없어진[* 홍천 행 또는 춘천 행 버스는 2~4시간 간격으로 올뿐더러 2시간이나 걸린다. 게다가 거리상 청평이 더 가깝다.]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대체 노선으로 2009년 5월 11일에 신설되었다. [[https://m.cafe.daum.net/busmania/2xcr/562|관련 게시물]] 이때는 청평에서 출발하는 차량이 31번으로, 하루 한 번 설악에서 출발하는 차량이 32번으로 운행했다. * 이후 31번과 32번에 속해있던 여러 노선들이 각 노선으로 분리되면서 32-21번이 부여되었다. * 2010년에 1회 감회되었다. [[http://www.cyworld.com/gyeonggibus/4614945|감회 이후의 시간표]] * 2011년 기준 일 7회로 다시 늘어났다. 출처는 아래 2011년 시승기 참조. * 청평역까지 연장된 32-24번도 있었으나 얼마 못 가 폐선되었다. * 예전에는 한서초교에서 회차할 때 보리울길76번길과 한서상회를 거쳐서 나왔으나(시외완행 시절 때부터 이어져 내려온 경로다.) 차량이 지나다니기엔 너무 좁고 타는 사람도 없다는 이유로 유턴해 큰길로 회차하도록 변경되었다. * 2013년 기준 1일 4회로 감회되었다. [[http://www.cyworld.com/gyeonggibus/9874019|출처]] * 이후 1일 5회로 증회되었다. * 2020년 1월 1일에 가평군 시내버스 개편 때 번호가 20-4번으로 바뀐 동시에 '청평터미널 - 설악터미널' 구간이 단축되었다. 대신 1일 6회로 증회되었으며, 시간표에는 나와 있지 않지만 개야리 연장운행은 2020년 부터 사라진다. * 시간표에서는 위곡3리경유 라고 써져 있었는데 한동안은 경유하지 않다가 2020년 10월 기준 위곡3리를 경유한다. * 2020년 1월 1일부터 첫/막차도 개야리를 가지 않게 되었다.[* 이유는 고작 한 정류장 들르겠다고 미등록 구간을 갔다 올 필요가 없어서라고 한다. 더군다나 설악에서 개야리에 가는 사람도 많지 않다고 한다. 그렇다고 나중에 혹시나 노선 연장을 굳이 하겠다면, 다시 가게될 가능성도 없는 것도 아니다.] * 2020년 3월 1일부터 시간표가 10분 정도 각 시간대에서 더 일찍, 혹은 늦게 출발한다. 첫.막차는 10분 늦게 출발한다.[* 2020년 6월 전까지 첫차 시간: 6시 40분, 막차 시간 : 6시 30분.] == 특징 == * 경기도 시내버스 중 도 경계를 넘어가는 몇 안되는 노선이다. * 2019년까지 첫차와 막차는 개야리까지 연장 운행했었다. 개야리 연장 노선은 GBIS에 별도로 등록되어 있지 않아, 이쪽으로 운행할 때는 노선이탈 멘트가 끊임없이 쏟아져 나왔던 적이 있다.[* 다만, 요즘은 좀 조용해졌는지 잘 들리지 않는다.] 가평교통에서 운행하는 유일한 GBIS 미등록 구간이였다. * 인근 주민들에게만 알려져 있던 노선이었지만, 강원도로 들어가는 몇 안되는 경기도 노선이다보니[* 가평 버스로는 이 노선 외에는 춘천시 남산면 방하리로 가는 10-6번이 있다. 구 경강역을 경유하다보니 그곳에서 춘천시내행 노선들과도 연계가 가능하다.] 여러 [[버스 동호인]]들이 직접 시승해 시승기를 올렸고, 그 덕분에 동호인들 사이에서는 어느정도 인지도가 생긴 노선이다. ([[http://blog.daum.net/busmecca/92|노선 시승기(2009년)]], [[http://busphoto.net/90129762840|노선 시승기(2011년)]],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1100755|노선 시승기(2014년)]], [[http://m.dcinside.com/view.php?id=infra&no=109125&page=3|노선 시승기(2017년)]]) * 이 노선을 통해 한덕리[* 모곡리 종점에서 조금 올라가면 나온다.]에서 일 5회 출발하는 춘천행 마을버스를 탈 수 있고[* 예전에 2번으로 다니던 시절에는 연계하기 극악이었지만, 춘천 버스 개편후 [[춘천 버스 남면2]]가 일 5회 한덕리를 경유하게 돼서 연계가 좀 편해졌다. 시간대도 연계하기 용이하게 짜여진 편이며, 일부 회차는 모곡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모곡이나 동막리에서 하루 4번 다니는 홍천행 농어촌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홍천행의 경우 최소 1시간 이상 기다리는 건 기본이다.] 예전엔 4천원이 넘는 가격이었지만, 요금 단일화 덕분에 1000원대로 이용할 수 있다. 단, 홍천군 농어촌버스의 경우 티머니, 캐시비, 이비, 마이비만 가능하다. 아니면 두미리까지 걸어가서 두 노선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 서울에서 강릉까지 시내버스 여행이 가능하나, 잘 안 알려졌다.[* 이는 청평에서 '''3시간'''을 기다려야 한다는 점이 한몫했다. 시내버스 여행시에는 주로 서울-청평-설악-모곡-홍천보다는 서울-성남-경기광주-강하-양평-굴업-홍천 루트를 쓴다.] * 양평 6-10번이 다니는 선어치고개와 더불어 가평의 험한 고개 중 하나인 널미재를 넘어간다. 겨울에 제때 제설이 되지 않으면 널미재 직전 위곡리까지만 운행하기도 한다. * 2016년 7월 14일에 방송된 [[SHOWTIME 마마무X여자친구]] 2화에 이 노선이 등장하였는데, 매니저 없이 6명이서만 가평 설악면의 MT 장소까지 찾아가야 하는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 멤버들이 설악정류장부터 널미재까지 탑승하였다. * 2021년 2월부터 가평군내 하수도 공사가 구간적으로 시행되어 도로가 파여있거나 울퉁불퉁하게 되어있어 운행 중 거의 모든 차량이 덜컹거리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공사 중인 구간에서는 저속 운행한다. 공사[* 2023년까지 계속 공사 예정이라고 창말입구 정류장 앞에 현수막이 걸려 있다.]를 계속 진행 중이어서 지연되거나 조금 불편할 수 있으니 주의하기 바란다. 공사 중인 구간은 신포마을[* 정확히는 서울양양고속도로 바로 아래를 지날때] ~ 창말입구 정류장, 창말입구 ~ 벌미마을 중 구간이다. === 시간표 === * [[http://www.gp.go.kr/portal/contents.do?key=2176|가평군청 홈페이지 교통 분야 정보]]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3><#33cc99> {{{#ffffff 가평 버스 20-4번 운행시간표}}}[br]{{{#ffffff 2020년 3월 1일 기준 / 설악터미널에서 발췌}}} || || 횟수 || 설악터미널 || 모곡 || || 1 || 06:50 || 07:30 || || 2 || 08:50 || 09:30 || || 3 || 11:30 || 12:10 || || 4 || 14:10 || 14:50 || || 5 || 16:20 || 17:00 || || 6 || 18:40 || 19:20 || === 노선 === ||<#33cc99> [[파일:가평군 CI_White.svg|width=30]] {{{#ffffff 가평군 일반형버스 20-4번}}} || ||<^|1><#ffffff,#1f2023>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6> '''모곡[br]91015''' || || 한서교[br]91013 ||<#33cc99> {{{#ffffff ↓}}} || || ||<#33cc99> {{{#ffffff ↑}}} || 한서교[br]91012 || || 한서초등학교[br]91011 ||<#33cc99> || || ||<#33cc99> || 한서초등학교[br]91011 || || 한서중학교[br]91010 ||<#33cc99> {{{#ffffff ↓}}} || || ||<#33cc99> {{{#ffffff ↑}}} || 한서중학교[br]91009 || || 점말.모곡1리[br]91008 ||<#33cc99> || || ||<#33cc99> || 점말.모곡1리[br]91007 || || 동막리.아랫말[br]91006 ||<#33cc99> {{{#ffffff ↓}}} || || ||<#33cc99> {{{#ffffff ↑}}} || 동막리.아랫말[br]91005 || || 동막리[br]91004 ||<#33cc99> || || ||<#33cc99> || 동막리[br]91003 || || 동막삼거리[br]91001 ||<#33cc99> {{{#ffffff ↓}}} || || ||<#33cc99> {{{#ffffff ↑}}} || 동막[br]91002 || || 널미재정상[br]44892 ||<#33cc99> || || ||<#33cc99> || 널미재정상[br]44176 || || 널미재[br]44297 ||<#33cc99> {{{#ffffff ↓}}} || || ||<#33cc99> {{{#ffffff ↑}}} || 널미재[br]44507 || || 흑암[br]44842 ||<#33cc99> || || ||<#33cc99> || 흑암[br]44841 || || 위곡1리회관[br]44320 ||<#33cc99> {{{#ffffff ↓}}} || || ||<#33cc99> {{{#ffffff ↑}}} || 위곡1리회관[br]44319 || || 위곡2리[br]44839 ||<#33cc99> || || ||<#33cc99> || 위곡2리[br]44840 || || 응달말입구.위곡2리[br]44516 ||<#33cc99> {{{#ffffff ↓}}} || || ||<#33cc99> {{{#ffffff ↑}}} || 응달말입구[br]44318 || || 위곡2리보건진료소[br]44954 ||<#33cc99> || || ||<#33cc99> || 위곡2리보건진료소[br]44955 || || 창말입구[br]44321 ||<#33cc99> {{{#ffffff ↓}}} || || ||<#33cc99> {{{#ffffff ↑}}} || 창말입구[br]44834 || || 벌미마을[br]44844 ||<#33cc99> || || ||<#33cc99> || 벌미마을[br]44843 || || 위곡3리[br]44301 ||<#33cc99> {{{#ffffff ↓}}} || || ||<#33cc99> {{{#ffffff ↑}}} || 위곡3리[br]44300 || || 위곡3리회관[br]44302 ||<#33cc99> || || ||<#33cc99> || 위곡3리회관[br]44302 || || 위곡3리[br]44300 ||<#33cc99> {{{#ffffff ↓}}} || || ||<#33cc99> {{{#ffffff ↑}}} || 위곡3리[br]44301 || || 벌미마을[br]44843 ||<#33cc99> || || ||<#33cc99> || 벌미마을[br]44844 || || 창말입구[br]44834 ||<#33cc99> {{{#ffffff ↓}}} || || ||<#33cc99> {{{#ffffff ↑}}} || 창말입구[br]44515 || || 창의리[br]44322 ||<#33cc99> || || ||<#33cc99> || 창의리[br]44317 || || 산포마을[br]44323 ||<#33cc99> {{{#ffffff ↓}}} || || ||<#33cc99> {{{#ffffff ↑}}} || 산포마을[br]44528 || || 설악축협[br]44708 ||<#33cc99> || || ||<#33cc99> || 설악축협[br]44008 || || 설악5일시장[br]44314 ||<#33cc99> {{{#ffffff ↓}}} || || ||<#33cc99> {{{#ffffff ↑}}} || 설악5일시장[br]44335 || ||<-6> '''설악터미널[br]44127 · 44126''' || }}}}}}}}} || ||<^|1><#ffffff,#1f2023>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2 '''모곡''' ▼}}}||{{{-2 ▲ '''모곡'''}}} || ||<-2> [[한서로|{{{#353535,#eee '''한서로'''}}}]] || || {{{-2 한서초등학교 ▼}}}||{{{-2 ▲ 한서교}}} || ||<-2> [[모곡로|{{{#353535,#eee '''모곡로'''}}}]] || || {{{-2 한서중학교 ▼}}}||{{{-2 ▲ 한서초등학교}}} || ||<-2> [[한서로|{{{#353535,#eee '''한서로'''}}}]] || || {{{-2 벌미마을 ▼}}}||{{{-2 ▲ 위곡2리보건진료소}}} || ||<-2> {{{#353535,#eee '''한서로210번길'''}}} || || {{{-2 창의리 ▼}}}||{{{-2 ▲ 벌미마을}}} || ||<-2> [[한서로|{{{#353535,#eee '''한서로'''}}}]] || || {{{-2 ▼}}}||{{{-2 ▲ 산포마을}}} || ||<-2> [[한양부로|{{{#353535,#eee '''한양부로'''}}}]] || || {{{-2 설악축협 ▼}}}||{{{-2 ▲ }}} || ||<-2> {{{#353535,#eee '''신천중앙로88번길'''}}} || || {{{-2 설악5일시장 ▼}}}||{{{-2 ▲ 설악축협}}} || ||<-2> [[신천중앙로|{{{#353535,#eee '''신천중앙로'''}}}]] || || {{{-2 '''설악터미널''' ▼}}}||{{{-2 ▲ '''설악터미널'''}}} || }}}}}}}}} || ||<#33cc99> || == 둘러보기 == [include(틀:경기도 외부 진출 경기도 시내버스)] [[분류:가평군 농어촌버스]][[분류:2009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20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