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간선급행버스체계(BRT), rd1=간선급행버스체계)] [목차] == [[경기도]]의 간선급행버스(폐지) == [include(틀:경기도 버스정책 브랜드)] === 개요 === 경기도의 前 급행버스 브랜드. [[김문수]] 前 [[경기도지사]]의 교통정책이다. === 상세 === 기존 직행좌석버스가 등장초기와는 달리 정류장이 상당히 많이 늘어난데다 고속도로의 상습정체로 인해 본래 목적인 '''목적지로의 빠른 이동'''이 퇴색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출근시간 한정으로 급행버스를 운행하였는데, 이것이 제법 좋은 결과를 이끌어냈는지 급행버스를 상시 운행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간선급행버스이다. 기존 수십개에 달하던 정류장 개수를 출발하는 시/군에서는 5개 내외의 정류장에만 정차하고, 대부분의 직행좌석버스가 이용하는 경부고속도로에 버스중앙차로 설치 등을 통해 기존 노선보다 빠른 시간에 목적지에 도달하게 만들었다. 간선급행이 반응이 제법 괜찮아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광역급행버스]](M버스)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다만 정류장이 적어 기존 직행좌석버스에 비해 수익성이 그렇게 좋은 편은 아닌지라 폐선이나 노선통합이 잦은 편이다. 그리고 인근 주민들의 민원으로 정류장이 늘어나서 직행좌석버스와 별 차이점이 없어져버린 노선들도 꽤 된다. 간선급행은 8xyz 형태의 번호를 부여받는데, x는 출발지, z는 도착지이다. 일부 노선은 y에 중간 경유지를 표시한다. 번호 부여체계는 아래와 같다. 단 [[김포 버스 8000|김포 8000번]], [[화성 버스 8155|화성 8155번]], [[화성 버스 8156|화성 8156번]], [[화성 버스 G8157|화성 G8157번]], [[부천 버스 G8808|부천 G8808번]], [[광명 버스 8507|광명 8507번]]등은 번호가 8로 시작하지만 간선급행버스가 아니다.[* 8155번은 시외버스에서 형간전환되었고 8156번과 G8157번은 8155번의 파생노선이다. 8507번은 8(바)5(로)0(열)7(차) 이라는 의미로 지은 번호이기 때문이다.] || {{{#ffffff 숫자}}} || {{{#ffffff 출발지}}} || {{{#ffffff 도착지}}} || || 0 || [[남양주시]], [[가평군]] || [[서울역]] || || 1 || [[성남시]] || [[강남역]] || || 2 || ~~[[용인시]]~~[* 8201의 폐선으로 '2'로 시작하는 번호의 간선급행버스는 없어졌다.] || [[잠실역]] || || 3 || [[수원시]], [[오산시]], --[[화성시]]-- || --[[건대입구역]]--[* 8133의 폐선으로 '3'으로 끝나는 번호의 간선급행버스는 없어졌다.] || || 4 || [[군포시]], [[안양시]], [[의왕시]], --[[수원시]]--[* [[의정부 버스 8401, 8409|8409]]가 의왕에서 수원으로 출발지가 바뀌었으나 번호는 바뀌지 않았다.] ||<|2> [[청량리역]] || || 5 || [[화성시]][* 본래 출발지 번호가 3이였으나 [[화성 버스 8501|8501번]]을 보면 5로 변경된 듯.] || || 6 || [[김포시]], [[부천시]] || || || 7 || [[고양시]], --[[수원시]]--[* 지금은 폐선된 수원 - 사당역 간선급행인 8387번의 개통당시 번호가 8787이었다.] || --[[사당역]]--[* 8387의 폐선으로 '7'로 끝나는 번호의 간선급행버스는 없어졌다. [[화성 버스 8155]]와 [[광명 버스 8507]]은 일반 직행좌석버스.] || || 8 || [[파주시]], --[[수원시]]--[* 용남고속이 뜬금없이 수원터미널-서울역 노선번호를 [[수원 버스 8800|8800번]]으로 받아버렸다.] ||<|2> || || 9 || [[고양시]][* 성남-고양간 경기순환버스가 [[성남 버스 8109|8109]]를 받았다.], [[의정부시]], [[양주시]] || === 폐지 === 2021년 8월 1일부로 간선급행버스 브랜드가 폐지되었다. 현재 급행버스는 직행좌석버스 등급인 [[경기도 공공버스]]로 개통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남은 노선들도 모두 공공버스로 전환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공공버스로 전환된 노선도 변함 없이 운행중이다. === 역대 노선 목록 === * [[남양주 버스 8001|8001]] (대성리 - [[잠실역]] - [[신사역]]) →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 * [[남양주 버스 8002|8002]] (대성리 - [[잠실역]]) →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 * 8004 (청심병원 - [[청량리역]]) * [[가평 버스 8005|8005]] ([[유명산]] - [[청량리역]]) →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 * 8012 (남양주 구암리 - [[잠실역]]) → [[경기광주 버스 8002|8002]]로 통합 * [[남양주 버스 8012|8012]] (광릉내 - [[잠실역]])[* 직행좌석버스 6006번을 변경하여 만든 노선으로 위의 8012(남양주 구암리 - 잠실역)과는 관계없는 노선이다.] →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 * [[용인 버스 8100|8100]] ([[단국대학교|단국대]] - [[서울역]]) →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 * 8101 (단국대 - [[강남역]]) → [[경기광주 버스 1101|1101]]로 변경 * [[성남 버스 G8110|8110]] ([[정자역]] - 서울백병원) → [[경기도 급행버스]]로 전환 * 8111 (오산리 - 강남역) → [[경기광주 버스 1111|1111]]로 변경 * 8121 (구미동 - [[강남역]]) → [[성남 버스 1121|1121]]로 변경 * 8130 (분당 무지개마을 - [[서울역]]) * [[성남 버스 8131|8131]] (미금초등학교 - [[강남역]]) → [[경기광주 버스 8101|8101]]로 통합 * [[간선급행버스 8133|8133]] (성남 상대원 - [[건대입구역]]) * 8150 ([[한국외국어대학교|외대]] - [[서울역]]) → [[경기광주 버스 1150|1150]]으로 변경 * 8151 (경기광주 오산리 - [[강남역]]) → [[성남 버스 1151|1151]]로 변경 * 8200 (수지 지역난방공사 - [[서울역]]) → [[광역급행버스 M4101|M4101]]로 변경 * [[경기광주 버스 8201(폐선)|8201]] (상현역 - [[강남역]]) → 현재는 [[경기광주 버스 720-1]] 및 [[서울 버스 9404]]로 대체 * [[간선급행버스 8202|8202]] (수지 지역난방공사 - [[잠실역]]) → [[성남 버스 6900|6900]]으로 통합 * 8211 (명지대 - [[강남역]]) → [[용인 버스 5002|5002]]로 통합 * 8231 (명지대 - [[강남역]]) → [[용인 버스 5003|5003]]으로 통합 * 8241 (청덕지구 - [[강남역]]) → [[성남 버스 1241|1241]]로 변경 * 8251 (기흥구청 - [[강남역]]) → [[성남 버스 1251|1251]]로 변경 * 8301 (동탄신도시 - [[강남역]]) → [[광역급행버스 M4403|M4403]], [[경기광주 버스 1551|1551]]로 변경 * 8311 (오산대학 - [[강남역]]) → [[경기광주 버스 1311|1311]]로 변경 * [[수원 버스 8387|8387]] ([[수원역]] - [[사당역]]) → [[수원 버스 7770|7770]]으로 통합 * [[화성 버스 8501|8501]] ([[수원대학교|수원대]],[[메타폴리스]] - [[강남역]]) →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 * [[김포 버스 8600|8600]] ([[한강신도시]] - 김포시청 - [[당산역]] - [[시청역(서울)|시청역]]) →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 * [[김포 버스 8601|8601]] ([[한강신도시]] - [[당산역]] - [[시청역(서울)|시청역]]) →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 * [[김포 버스 8601A|8601A]] ([[한강신도시]] - [[당산역]] - [[시청역(서울)|시청역]]) → [[김포 버스 8601|8601]]로 통합 * 8800 ([[금촌역]] - [[서울역]]) → [[파주 버스 9080|9080]]으로 변경 * [[수원 버스 8800|8800]] ([[수원버스터미널]] - [[서울역]]) →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 * [[파주 버스 8880|8880]] (교하지구 - 서울역) → [[파주 버스 G7111|7111]]로 변경. == [[서울특별시]]의 간선급행버스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체계에서는 간선급행버스라는 개념이 없다. 하지만 [[광역버스]] [[서울 버스 9714|9714번]]은 구 [[파주 버스 8880|8880번]][* [[파주 버스 7111|7111]] 인가 변경]과 공동배차를 위해 만들어진 노선이기도 하고 다른 광역버스 노선에 비해서 정차하는 정류장 수가 매우 적기 때문에 사실상 간선급행버스로 취급된다. == [[인천광역시]]의 간선급행버스 == [include(틀:인천광역시 광역버스)] 인천 청라국제도시 - 서울 화곡역을 잇는 [[인천 버스 7700]]이 유일한 간선급행버스(BRT)로, 인천광역시 공기업인 [[인천교통공사]]에서 운영중이며, 차량은 전중문형 4대를 제외하고는 전부 전문형이다. === 운임 === 인천광역시 간선급행버스는 2010년도 경 인천광역시 광역버스 운임과 똑같다. 또한, 06시 30분 이전에 탑승하면 적용되는 조조할인이 없다. || {{{#fff 구분}}} || {{{#fff 현금}}} || {{{#fff 교통카드}}} || || {{{#fff 일반}}} || 2,500원 || 2,200원 || || {{{#fff 청소년}}} || 1,500원 || 1,200원 || || {{{#fff 어린이}}} || 1,000원 || 1,000원 || == [[세종특별자치시]]의 간선급행버스 == B0, B1, B2, B3, B4, B5 6개 노선이 운영중이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바로타(BRT))] == 관련 문서 == * [[급행버스]] * [[직행좌석버스]] * [[경기순환버스]] * [[경기도 급행버스]] * [[경기도 공공버스]] [[분류:유형별 노선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