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성군(강원도)의 읍면)] ||<-2> '''[[파일:고성군(강원도) CI.svg|height=15]] [[고성군(강원특별자치도)|{{{#000000,#dddddd 고성군}}}]]의 [[읍(행정구역)|{{{#000000,#dddddd 읍}}}]]'''[br]'''{{{+1 간성읍}}}'''[br]杆城邑 | Ganseong-eup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고성군 간성읍,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강원특별자치도 || || '''기초자치단체''' || 고성군 || || '''행정표준코드''' || 4341012 || || '''관할 법정리''' || 17리 || || '''하위 행정구역''' || 34행정리 125반 || || '''면적''' || 180.20㎢ || || '''인구''' || 7,102명[* 2023년 5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39.41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3 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양수]] ,,(재선),, || ||<-2> '''강원특별자치도의원 | {{{-3 고성군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용복(정치인)|김용복]] ,,(재선),, || ||<-2> '''고성군의원 | 가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진(1960)|김진]] ,,(3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용광열 ,,(재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함형진 ,,(재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간성로67번길 14 (하리 28) || || [[https://www.gwgs.go.kr/kor/sub05_020301.do|간성읍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강원특별자치도)|고성군]]에 위치한 [[읍(행정구역)|읍]]. 조선시대 [[간성군]]의 중심지였다. == 관할 행정구역 == === 하리 === [[고성군(강원특별자치도)|고성군]]의 중심지이자 [[고성군청(강원특별자치도)|고성군청]], 간성읍행정복지센터가 위치해 있다. === 신안리 === [[간성시외버스터미널]], 간성초등학교, [[고성경찰서(강원특별자치도)|강원고성경찰서]], [[고성소방서(강원)|고성소방서]] 등이 있다. 또 기존에 있던 삼익아파트와 율곡타운, 또 새로 생길 아파트 덕에 (원래도 간성읍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동네였는데) 간성읍에서 압도적으로 많은 인구가 집중된 동네이다. === 동호리 === 동해와 인접해 있다. === 봉호리 === 동호리의 북쪽에 있는 마을. === 상리 === 고성군공설운동장, 고성고등학교 등이 있다. [[동해선]]의 폐역인 [[간성역]]이 신안리에 있었으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중 [[동해북부선|동해선 강릉~제진 복원]]을 하면 이곳 상리에 간성역이 설치될 예정이었으나, 상리가 아닌 동호리에 설치된다고 한다. === 간촌리 === 상리의 서쪽에 있는 마을. === 교동리 === 간성[[향교]]가 있다. === 해상리 === 교동리의 북쪽에 있는 마을. === 광산리 === 교동리의 서쪽에 있으며 [[46번 국도]]가 지나간다. 광산초등학교가 있다. === 어천리 === 하늬라벤더팜이 있다. === 장신리 === [[46번 국도]]가 지나가며, 장신유원지와 [[동서울터미널]]행 정류장이 있다. === 진부리 === [[46번 국도]]가 지나가며 [[진부령]]이 있다. 일제강점기부터 운영했던 스키장인 알프스리조트가 있었으나 경영난으로 2006년 폐업했다. === 탑동리 === 고성산 남부에 있는 마을. 선혜분교가 있었지만 폐교되었다. === 선유실리 === 탑동리의 남쪽에 있다. 군사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거주 주민이 없다. === 금수리 === 간성읍 시가지의 남쪽 교외에 위치한 마을이다. === 탑현리 === 군사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거주 주민이 없다. === 흘리 === [[진부령]] 근처의 구릉지에 위치한 마을이다. 진부령에서 연결되는 도로가 있으며, 알프스스키장이 있으나 2006년 문을 닫아 현재까지 방치되고 있다. 현재는 진부령 피망으로 인해 알려지고 있다. 광산초등학교 흘리분교가 있다. == 역사 == == 교통 == 과거에는 [[동해북부선]]이 있었으나, 철거되었다. 그러다가 2020년 12월 [[국토교통부]]가 [[동해선]] [[강릉역|강릉]]~[[제진역|제진]] 구간 복원을 확정하면서 [[2027년]]까지 상리에 [[간성역]]이 들어설 예정이다. [[시외버스]]는 [[간성시외버스터미널]]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시외버스 노선은 간성시외버스터미널 항목을 참조. === 도로 === [[7번 국도]]가 지나간다. [[46번 국도]]가 진부령에서 넘어와 신안리에 있는 상리교차로에서 끝난다. == 교육 == === 초등학교 === * 간성초등학교 * 광산초등학교 * 흘리분교 === 중학교 === *고성중학교 === 고등학교 === *고성고등학교 == 출신 인물 == * [[김옥라]] * [[정문헌]](하리) * [[최종현(1972)]] * [[한현우]] * [[함명준]](신안리) * [[함형완]] == 기타 == * 원래는 거진읍이 간성읍보다 인구가 많았는데, 현재는 간성읍의 인구가 거진읍의 인구를 추월하였다. 이유는 어업의 불황 때문. * [[송진우(독립운동가)|송진우]] 암살범 [[한현우]]의 고향이다. [[분류:고성군(강원)의 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