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간츠)] [목차] == 개요 == 일본의 만화 [[간츠]]를 원작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시리즈. == [[간츠#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간츠, 앵커=등장인물)] == TVA == ||<-2>
{{{#ffffff,#dddddd '''{{{+1 간츠}}}''' (2004)[br]ガンツ[br]GANTZ}}}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간츠_애니.jpg|width=100%]]}}} || ||<-2> {{{#ffffff,#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ffffff,#dddddd 장르}}}''' ||[[사이언스 픽션|SF]], [[액션]], [[데스 게임]] || || '''{{{#ffffff,#dddddd 원작}}}''' ||[[오쿠 히로야]] || || '''{{{#ffffff,#dddddd 감독}}}''' ||[[이타노 이치로]] || || '''{{{#ffffff,#dddddd 시리즈 구성}}}''' ||소고 마사시(十川誠志) || || '''{{{#ffffff,#dddddd 캐릭터 디자인}}}''' ||<|2>[[온다 나오유키]] || || '''{{{#ffffff,#dddddd 총 작화감독}}}''' || || '''{{{#ffffff,#dddddd 메카니컬 디자인}}}''' ||나카지마 토시히로(中島利洋) || || '''{{{#ffffff,#dddddd 미술 감독}}}''' ||이케다 시게미(池田繁美) || || '''{{{#ffffff,#dddddd 색채 설계}}}''' ||이이지마 타카에(飯島孝枝) || || '''{{{#ffffff,#dddddd 촬영 감독}}}''' ||하야시 코지로(林コージロー) || || '''{{{#ffffff,#dddddd 3D CG 디렉터}}}''' ||카토 야스히로(加藤泰裕) || || '''{{{#ffffff,#dddddd 편집}}}''' ||히로세 키요시(廣瀬清志) || || '''{{{#ffffff,#dddddd 음향 감독}}}''' ||하야세 히로유키(早瀬博雪) || || '''{{{#ffffff,#dddddd 음악}}}''' ||소고 나츠키(十川夏樹)[br][[타카나시 야스하루]] || || '''{{{#ffffff,#dddddd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핫타 신사쿠(八田紳作)[br]히사다 타이시(久田大志)[br]아라이 히데마사(荒井英昌) || || '''{{{#ffffff,#dddddd 제작 프로듀서}}}''' ||나가이 오사무(永井 理) || || '''{{{#ffffff,#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곤조(기업)|[[파일:곤조(기업) 로고.svg|width=100]]]] || || '''{{{#ffffff,#dddddd 제작}}}''' ||GANTZ Partners || || '''{{{#ffffff,#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04년 4월|2004. 04. 13.]] ~ 2004. 06. 22. ,,(시즌 1),,[br][[애니메이션/2004년 7월|2004. 08. 26.]] ~ 2004. 11. 18. ,,(시즌 2),, || || '''{{{#ffffff,#dddddd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후지 TV]] / (화) 02:28 ,,(시즌 1),,[br][[AT-X]] / (목) 10:00 ,,(시즌 2),,[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박스]] || || '''{{{#ffffff,#dddddd 국내 스트리밍 서비스}}}'''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60]]]] [[https://www.netflix.com/title/80133769|▶]] || || '''{{{#ffffff,#dddddd 편당 러닝타임}}}''' ||24분 || || '''{{{#ffffff,#dddddd 화수}}}''' ||26화 || || '''{{{#ffffff,#dddddd 국내 심의 등급}}}'''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9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ffffff 19세 이상 시청가}}}]] || || '''{{{#ffffff,#dddddd 관련 사이트}}}''' ||[[http://example.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계정명, 크기=25)] || }}}}}}}}} || [[곤조(기업)|곤조]]에서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여 [[애니메이션/2004년 4월|2004년 4월 12일]]부터 방영하였다. 총 26화. 감독은 [[이타노 이치로]]. 당시엔 아직 연재 초기 시기[* 2004년 4월 기준 12권이 발매된 상태였다.]였던지라, 원작 스토리 그대로 진행되다가도 오리지널 스토리를 절반이나 넣어야 했고 후반부(22화~26화)에는 오리지널 결말로 끝났다. 세계관이 확립되기 전인 연재 초기 시기에 만들어진 작품이므로 원작에서는 기본적인 설정만 따온 별개의 작품으로 여겨지고 있다. === 주제가 === * 오프닝 테마 '''Super Shooter''' * 작사, 작곡, 노래: RIP SLYME * 엔딩 테마 '''Last Kiss''' * 작사, 작곡, 노래: BONNIE PINK === 회차 목록 === * 전화 각본: 소고 마사시(十川誠志) ||
'''회차''' || '''제목'''[* 국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박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6> '''시즌 1''' || || 제1화 || 新しい朝が来た[br]새로운 날이 밝았다 || [[이타노 이치로]] || 야마나 타카시[br](山名隆史) || [[온다 나오유키]] || 日: 2004.04.13.[br]韓: || || 제2화 || 人間じゃねぇ[br]인간이 아니야 || 코바야시 켄이치[br](小林謙一) || 후지와라 준[br](藤原 潤) || 후쿠요 타카아키[br](福世孝明)[br][[우노 마코토]][br]타나카 타카히로[br](田中孝弘) || 日: 2004.04.20.[br]韓: || || 제3화 || 計ちゃん、すっげえ[br]케이, 굉장해! || [[니시모리 아키라]] || 니고리카와 아츠시[br](濁川 敦) || 히나타 마사키[br](日向正樹) || 日: [* DVD판 수록][br]韓: || || 제4화 || それぢわ、ちいてんをはじぬる[br]그럼 채점을 시작한다 || [[우에다 히데히토]] || 미즈모토 하즈키[br](水本葉月) || 야마모토 사와코[br](山本佐和子) || 日: 2004.04.27.[br]韓: || || 제5화 || っていうことは、あの時[br]그렇다면 그 때 ||<-2> [[사노 타카시]] || [[코바야시 토시미츠]] || 日: 2004.05.04.[br]韓: || || 제6화 || やったああああっ[br]좋았어! ||<-2> 야마나 타카시 || [[사이 후미히데]] || 日: 2004.05.11.[br]韓: || || 제7화 || 狙ってるぜ[br]노리고 있어 || 니시모리 아키라 || 니고리카와 아츠시 || 히나타 마사키 || 日: 2004.05.18.[br]韓: || || 제8화 || やべェ![br]위험해 ||<-2> 세키노 마사히로[br](関野昌弘) || 우노 마코토[br]후쿠요 타카아키 || 日: 2004.05.25.[br]韓: || || 제9화 || ソッコー殺す[br]즉시 죽인다 || 사노 타카시 || 이누카와 이누오[br](犬川犬夫) || 코바야시 토시미츠 || 日: 2004.06.01.[br]韓: || || 제10화 || 裕三君?[br]유우조군?! || 아비코 에이지[br](安彦英二) || 엔도 히로타카[br](遠藤広隆) || 아비코 에이지 || 日: [* DVD판 수록][br]韓: || || 제11화 || あいつは撃てない[br]저 녀석은 못 쏴 ||<-2> 후지와라 준 || 테라오 히로유키[br](寺尾洋之) || 日: 2004.06.08.[br]韓: || || 제12화 || 加藤くんは待っていて[br]카토는 여기서 기다려 || [[마츠오 신]] || 니고리카와 아츠시 || 히나타 마사키 || 日: 2004.06.15.[br]韓: || || 제13화 || 死んで下ちい[br]죽어주쎄요 ||<-2> 세키노 마사히로 || 후쿠요 타카아키[br]사이 후미히데[br]우노 마코토[br]후지와라 준 || 日: 2004.06.22.[br]韓: || ||<-6> '''시즌 2''' || || 제14화 || さようなら[br]잘 있어 || 니시모리 아키라 || 이누카와 이누오 || 코바야시 토시미츠 || 日: 2004.08.26.[br]韓: || || 제15화 || 早くイキてぇ![br]빨리 가고 싶어 || [[스나가 츠카사]] || 코바야시 타카시[br](小林孝志) || 타나카 타카히로 || 日: 2004.09.02.[br]韓: || || 제16화 || 俺がやる![br]내가 한다! || 니시모리 아키라 || 니고리카와 아츠시 || [[스즈키 신고]][br]히나타 마사키 || 日: 2004.09.09.[br]韓: || || 제17화 || こいつら撃っていいんだろ?[br]이 녀석들, 쏴도 되겠지?! || [[오오하시 요시미츠]] || [[앨런 스미시|아란 스미시]][br](亜蘭澄史)[br]요시자와 슌이치[br](吉沢俊一) || 프린세스 마코[br](プリンセスマコ) || 日: 2004.09.16.[br]韓: || || 제18화 || おかえり[br]어서 와 || 스나가 츠카사 || 오오니시 케이스케[br](大西景介) || [[이시카와 켄스케]] || 日: 2004.09.23.[br]韓: || || 제19화 || なんじゃ、ありゃあっ[br]저게 뭐야?! || 세키노 마사히로 || 이누카와 이누오 || 후쿠요 타카아키[br]호소고에 유지[br](細越裕司) || 日: 2004.09.30.[br]韓: || || 제20화 || 俺を撃てっ![br]나를 쏴! ||<-2> 코바야시 타카시 || 코바야시 토시미츠 || 日: 2004.10.07.[br]韓: || || 제21화 || 兄ちゃん?[br]형?! || 니시모리 아키라 || 츠쿠시 다이스케[br](筑紫大介) || 桧樫珠子 || 日: 2004.10.14.[br]韓: || || 제22화 || 二度と言うな![br]두 번 다시 말하지 마! || 사노 타카시 || 니고리카와 아츠시 || 히나타 마사키 || 日: 2004.10.21.[br]韓: || || 제23화 || 玄野星人![br]쿠로노 성인?! || 타나카 타카히로 || 미즈모토 하즈키 || 타나카 타카히로 || 日: 2004.10.28.[br]韓: || || 제24화 || 出られない迷宮はないんだ[br]빠져나갈 수 없는 미궁은 없다 || 스즈키 신고 || 이누카와 이누오 || 우노 마코토[br](宇野 真)[br]호소고에 유지[br]스즈키 신고 || 日: 2004.11.04.[br]韓: || || 제25화 || 生きてかえろうぜ[br]살아서 돌아가자! ||<-2> 세키노 마사히로 || 후쿠요 타카아키[br]하네다 코지[br](羽田浩二)[br][[야부노 코지]] || 日: 2004.11.11.[br]韓: || || 제26화 || 生きてくれ[br]살아있어 줘! || 이타노 이치로 || 코바야시 타카시 || 코바야시 토시미츠 || 日: 2004.11.18.[br]韓: || === 국내 방영 === 과도한 폭력씬 때문에 애니메이션 국내 방영은 절대 안 될 줄 알았으나, 뜬금없이 [[애니박스]]에서 2007년 9월에 자막판으로 먼저 방영한 뒤 이후 2008년 3월에 우리말 더빙판으로 방영하였다. 그래도 수위 높은 장면을은 적당하게 편집했다. 더빙 연출은 [[곽영재]] PD. 주인공에는 [[현경수]]를, 그리고 캐릭터에 아깝다고 느껴질 '''[[김민석(성우)|김민석]], [[김환진]]''' 등을 캐스팅하는 등 성우 캐스팅에 힘을 좀 쓴 편. 그밖에 [[탁원제]], [[이영주(성우)|이영주]] 같은 대 베테랑 성우부터 그 당시 갓 프리된 성우들까지 성우진 부분에서는 세세하게 신경 쓴 편이다. === 평가 === 연재 초기였으므로 세계관이 아직 확립되기 전이어서 전체적으로 이야기 진행의 [[개연성]]이 많이 떨어질수 밖에 없었는데, 제작 환경도 열악했는지 작화의 질도 들쭉날쭉하고 엔딩 크레딧과 본편에서 얼마나 그 수준이 심한지 알 수 있다. 그래서 뱅크씬과 작붕 컷, 정지 컷이 많다. 심지어는 크레딧에 [[앨런 스미시]]도 올라가있다. 그래서 심하게 평하는 사람은 [[OST는 좋았다|엔딩곡만 좋았다]]는 혹평도 한다. 그래도 엔딩곡은 좋으니 한번 들어보자.[* [[아라키 테츠로]] 감독이 엔딩곡을 당시에 처음 듣고 한동안 이거만 들었을 정도로 좋아하며 지금도 즐겨 듣는 애정곡이라고 한다.] 원작자 [[오쿠 히로야]]도 혹평했던 애니메이션으로 이 애니메이션 때문에 [[GANTZ: O]]는 당초 애니메이션화를 거절하려고 했었다고 한다. 그런데 간츠 오[* 제로가 아니라 오사카의 알파벳 오(O)다.]의 프로토타입이 너무나도 잘 나와서 감탄해서 애니메이션화를 승인했다고. == 극장판: [[GANTZ: O]] == 2016년 10월 14일 '[[GANTZ: O]]'라는 제목의 오사카 스토리를 배경으로 한 3D 애니메이션이 개봉했다. 2016년 [[베니스 영화제]] 비경쟁 부문에 초청받았다. 간츠의 이전 애니메이션이나 실사 영화와는 비교도 되지않는 매력과 비주얼을 자랑한다. 자세한 내용은 [[GANTZ: O]] 문서 참고.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간츠, version=557)] [[분류:간츠]][[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04년 2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2004년 3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2004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일본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분류:SF 애니메이션]][[분류:스릴러 애니메이션]][[분류:다크 판타지 애니메이션]][[분류:호러 애니메이션]][[분류:심야 애니메이션]][[분류:곤조(기업)]][[분류:고어]][[분류:배틀물]][[분류:데스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