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444년 출생]][[분류:1476년 사망]][[분류:마르케 주 출신 인물]][[분류:밀라노 공작]][[분류:스포르차 가문]] [include(틀:역대 밀라노 공작)] ---- ||<-2> '''밀라노 공국 제5대 공작[br]{{{+1 갈레아초 마리아 스포르차}}}[br]Galeazzo Maria Sforza'''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iero_Pollaiuolo_Portrait_of_Galeazzo_Maria_Sforza_hd.jpg|width=100%]]}}} || || '''이름''' ||갈레아초 마리아 스포르차[br](Galeazzo Maria Sforza)|| || '''출생''' ||[[1444년]] [[1월 24일]][br]페르모|| || '''사망''' ||[[1476년]] [[12월 26일]] (향년 32세)[br][[밀라노 공국]] [[밀라노]]|| ||<|2> '''재위''' ||<#E7E7E7>[[밀라노 공국]]의 공작|| ||[[1466년]] [[3월 20일]] ~ [[1476년]] [[12월 26일]]|| ||<|2> '''배우자''' ||도로테아 곤차가 ,,(1466년 결혼 / 1468년 사망),,|| ||사보이아의 보나[* [[루도비코(사보이아)|사보이아 공작 루도비코]]의 4녀] ,,(1468년 결혼),,|| || '''자녀''' ||잔 갈레아초, 에르메스, [[비앙카 마리아 스포르차|비앙카 마리아]][* [[막시밀리안 1세(신성 로마 제국)|막시밀리안 1세]]의 세번째 황후], 안나[* [[알폰소 데스테#s-1|알폰소 1세 데스테]]의 아내], 카를로{{{-2 (사생아)}}}, [[카테리나 스포르차|카테리나]]{{{-2 (사생아)}}}, 오타비아노 마리아{{{-2 (사생아)}}}, 키아라{{{-2 (사생아)}}}|| || '''아버지''' ||[[프란체스코 1세 스포르차]]|| || '''어머니''' ||비앙카 마리아 비스콘티|| || '''형제''' ||이폴리타 마리아, 필리포 마리아, 스포르차 마리아, 루도비코, 아스카니오 마리아, 엘리사베타 마리아, 오타비아노 마리아|| || '''종교''' ||[[가톨릭]]|| [목차] [clearfix] == 개요 == [[밀라노 공국]]의 제5대 공작. == 생애 == 스포르차 가문의 성이 있는 이탈리아 페르모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당시 성공한 용병대장 [[프란체스코 1세 스포르차]]였고 어머니는 밀라노 공작의 딸 비앙카 마리아 비스콘티였는데, 둘 사이에서 태어난 적장자였다. 아버지가 1450년 밀라노 공작에 즉위하자 자연스레 유력한 차기 후계자로 점쳐졌고 1466년에 프란체스코 스포르차가 사망하자 [[프랑스 왕국|프랑스]]에서 돌아와[* 당시 [[프랑스 국왕]] [[루이 11세]] 편에 서서 [[부르고뉴 공국]]과 전쟁을 벌이고 있었다. 돌아오는 길에 [[밀라노 공국]]을 호시탐탐 노리던 [[사보이아 공국]]의 암살 시도를 막기 위해 몰래 정체를 숨기고 와야했다고.] 1466년 3월 20일 제5대 밀라노 공작으로 즉위했다. 처음 몇년 동안은 어머니 비앙카 마리아 비스콘티와 함께 밀라노를 공동통치했지만 시간이 흐르자 어머니를 성 밖으로 내쫒고 단독으로 밀라노를 장악하기에 이른다. == 대중매체에서 == [[파일:Galeazzo Maria Sforza.webp|width=500]] * 드라마 [[메디치(드라마)|메디치]] 시즌 2에서 등장한다. 배우는 탐 무투. 초반에 [[메디치 가문]]의 빚을 갚는 대신 메디치의 정적을 없애주겠다고 했으나 전쟁을 원하지 않는 로렌초의 설득으로 돌아간다. 호전적이고 간교한 인물이지만 기본적으로 메디치의 우군이다. 로렌초의 중재로 평화 조약을 맺지만 파치의 음모로 암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