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히브리아: [ruby(לֵבכָּ,ruby=Kalev)] / 영어: Caleb || {{{#FFFFFF '''이름'''}}} ||<-4>갈렙 Caleb || || {{{#FFFFFF '''출신'''}}} ||<-4>유다 지파 소속 || || {{{#FFFFFF '''생몰년도'''}}} ||<-4>기원전 1484년~기원전 1348년 || || {{{#FFFFFF '''종교'''}}} ||<-4>[[유대교]] || || {{{#FFFFFF '''아버지'''}}} ||<-4>여분네 || || {{{#FFFFFF '''형제자매'''}}} ||<-4>케나즈 || || {{{#FFFFFF '''자녀'''}}} ||<-4>4명 || || {{{#FFFFFF '''직업'''}}} ||<-4>스파이 || 구약[[성경]]의 등장인물. == 생애 == [[민수기]] 13장에서 처음 등장하며, 이스라엘 [[12지파]] 중에서 유다 지파 소속이자 여분네의 아들이다. 갈렙은 [[모세]]의 명에 따라 지파별로 한 명씩 뽑힌 [[가나안]] 정탐대에 참가한 뒤 돌아와서, [[여호수아]]와 함께 곧바로 가나안에 진입하자고 주장했다. 하지만 나머지 10명은 모두 가나안인에게 겁을 먹어 반대했고[* 민수기 4~15절에 나온 나머지 10명 목록[br]르우벤: 삭굴의 아들 삼무아, 시므온: 호리의 아들 사밧, 잇사갈: 요셉의 아들 이갈, 베냐민: 라부의 아들 발디, 스불론: 소디의 아들 갓디엘, 므낫세: 수시의 아들 갓디, 단: 그말리의 아들 암미엘, 아셀: 미가엘의 아들 스둘, 납달리: 웝시의 아들 나비, 갓: 마기의 아들 그우엘.], 다른 백성들도 마찬가지였다. 이에 [[여호와|주]]는 진노하여 여호수아와 갈렙을 제외한 출애굽 1세대는 살아서 가나안에 들어가지 못하게 막았다. 그 후 모세와 [[아론]]도 20장에서 주의 이름이 아닌 자신의 이름을 걸고 가데스에서 물을 낸 벌로 가나안 진입이 금지되면서 갈렙과 여호수아만 출애굽 1세대 중 살아서 가나안을 본 사람이 되었다. 여호수아의 가나안 정벌 때 갈렙은 그의 부관으로 활약한다. 14장에서 갈렙은 아낙 자손이 살던 [[헤브론]] 땅을 여호수아에게 요청했고 그 땅을 정복했다. >모세가 나를 파견하던 그 시절처럼 나는 여전히 이렇게 건강합니다. 나는 지금도 그 때와 다름없이 힘이 있어 싸우러 나갈 수 있습니다. >야훼께서 그 때 약속해 주신 이 산악 지대를 이제 나에게 주십시오. 그 때는 당신이 들으신 대로 아나킴이 거기에 큰 성들을 튼튼히 쌓고 살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야훼께서 내 편에 서주시면 야훼의 약속대로 나는 그들을 몰아낼 것입니다." >여호수아는 여분네의 아들 갈렙에게 복을 빌어주고 헤브론을 유산으로 주었다. >그리하여 헤브론은 크니즈 사람 여분네의 아들 갈렙의 소유가 되어 오늘에 이른 것이다. 이는 그가 야훼 이스라엘의 하느님께 충성을 다한 덕분이다. >헤브론의 예전 이름은 키럇아르바였는데 아나킴 가운데서 아르바만큼 큰 인물은 없었다. 이로써 전국에서 전란이 멎었다. >---- >여호수아 14장 11절~15절에서 헤브론 공략을 요청하는 갈렙([[공동번역 성서]]) == 기타 == * CCM <이 산지를 내게 주소서>가 여호수아에 나온 갈렙의 일화를 배경으로 만들었다. * [[갈렙선교회]] 이름의 유래이기도 하다. * [[한국천주교주교회의]]의 인준을 받은 가톨릭 성경에서는 칼렙으로 표기한다. [[분류:성경/등장인물]] [include(틀:포크됨2, title=갈렙, d=2022-07-16 17:5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