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인도유럽어족)] ||<-3> {{{#fff,#000 {{{+2 '''갈리아어 / 골어'''}}}[br]'''{{{-1 Gaulois}}}'''[br]{{{-2 Gaulish language}}}}}} || ||<-2> '''유형''' ||[[굴절어]] || ||<-2> '''어순''' ||주어-동사-목적어 (SVO) || ||<-2> '''서자방향''' ||좌횡서 (왼쪽부터 [[가로쓰기]]) || ||<-2> '''문자''' ||[[그리스 문자]], 고대 이탈리아 문자, [[로마자]] || ||<-2> '''주요 사용 지역'''[br](또는 공용어 지정 국가) ||[[사어|없음(사멸)]] || ||<-2> '''사멸''' ||6세기 후반 경 || ||<-2> '''계통''' ||[[인도유럽어족]][br][[켈트어파]][br]대륙 켈트어군 || ||<|3> '''언어[br]코드''' || [[국제표준화기구|{{{#fff,#000 '''ISO'''}}}]] '''639-1''' ||- || || [[국제표준화기구|{{{#fff,#000 '''ISO'''}}}]] '''639-2''' ||- || || [[국제표준화기구|{{{#fff,#000 '''ISO'''}}}]] '''639-3''' ||xtg || [목차] [clearfix] == 개요 == '''갈리아어'''(Gallia語) 또는 '''골어'''(Gaul語)는 [[갈리아]] 지방에서 쓰였던 [[언어]]였으며 갈리아인들이 사용했다. == 특징 == 갈리아어는 [[켈트어파]]에 속한 [[언어]]었지만, 오늘날의 켈트어파와 달리 대륙 켈트어군에 속했다.[* [[켈트어파]]중 남아있는 언어들은 도서켈트어군만 남아 있고 대륙켈트어군에 속한 언어들은 갈리아어를 포함해서 전부 소멸했다.] [[로마 제국]]의 정복 이전에 [[갈리아]] 지역에서 갈리아인들이 사용했다. 하지만 로마 제국의 정복을 받으면서 갈리아인들은 로마화되었고 갈리아어도 [[라틴어]]로 대체되었고, 후에 프랑크어와 섞이며 [[피진]]화되어 [[프랑스어]]가 되었다. 그러나 라틴어로 대체되었다 해도 프랑스어에 갈리아어의 흔적이 어느정도 남아 있어 프랑스어를 배우다 보면 다른 유럽 언어들 기준으로는 상당히 생소한 기초 어휘가 꽤 나온다. 예를 들어 aller(가다)[* 얘는 좀 특별한데, 단순미래, 조건법의 어간 ir-는 [[라틴어]] ire(가다)에서, allons과 allez를 제외한 현재형은 라틴어 vadere(가다)에서 왔다. 단어 세 개가 합쳐져 하나가 된 것.] battre(때리다), manteau(외투), petit(작은) 같은 단어들은 [[켈트어파|고대 켈트어]]에서 기원한 단어들이다. 켈트계 언어 중에서 국가 단위의 공용어는 [[아일랜드어]] 하나뿐이고 그 아일랜드어가 공용어인 아일랜드에서도 영어가 더 많이 쓰이기 때문에, 오늘날 [[켈트어파|켈트어]] 원어민의 후손들이 가장 많이 쓰는 언어이자 켈트어 어휘를 가장 많이 쓰는 메이저 언어는 오히려 프랑스어이다. 또한 켈트어 때문에 프랑스어가 더 어려워지기도 했는데, 라틴어가 10진법을 쓴 반면 켈트어는 60진법을 썼기 때문에 70 이상의 숫자를 표기하는 프랑스어의 규칙은 굉장히 괴상하다.[* 본토 [[프랑스어]] 기준으로 69까지는 정상적(?)이나, 70은 soixante dix(60+10), 80은 quatre-vingts(4x20), 90은 quatre-vignt dix(4x20+10)라고 한다. 뭐 그 아래 숫자에도 이상한 규칙이 여러 개 있긴 하다. 참고로 스위스에서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지역에선 70(septante), 80(huitante), 90(nonante)로 쓴다고 한다.] 오늘날 프랑스어의 괴상한 숫자 표기법은 켈트어의 잔재라고 할 수 있다. 상당수 어휘와 지명에서도 갈리아어의 흔적이 남아있다. [[프랑스어]]의 제1 [[기층이론|기층 언어]](Substraum)로, 그 위에 덧씌워진 라틴 속어에 크게 4가지의 음운변화 현상을 일으켰다. 1. 유성화 현상(Sonorisation) p → v, c → i lat. sapere → fr. savoir(알고 있다) lat. concipere → fr. concevoir(품다) lat. lact- → fr. lait (우유) lat. noct- → fr. nuit(밤) lat. conduct- → fr. conduit(이끌린) lat. facere → fr. faire(만들다) lat. placere → fr. plaire(기쁨을 주다) lat. tacere → fr. taire(말을 하지 않다) (b → p → v) lat. habere → fr. avoir(갖고 있다) lat. debere → fr. devoir(해야 한다) 2. -l → -u lat. salvar- > fr. sauver(구원하다) lat. alter- → fr. autre(다른) lat. aliquem → fr. aucun(아무) lat. bell- → fr. beau(아름다운) lat. pell- → fr. peau(가죽) 3. [u:] > [y] lat. dur- → fr. dur (단단한) 4. 장음의 이중모음화(diphthongization) e, o > ie, eu/œu lat. heri → fr. hier (어제) lat. potest → fr. peut (할 수 있다) lat. senator → fr. sénateur(상원의원) lat. orator → fr. orateur(웅변가) lat. actor → fr. acteur(배우) 또한 알파벳 r의 음가가 전동음에서 구개수음으로 변하였고 알파벳 c의 구개음화된 음가가 후기 [[라틴어]]의 [ts]에서 [s]로 변하였다. 여기서 특이하게 이렇게 [[켈트]]식으로 변형된 [[라틴어]] 단어만이 [[프랑스어]]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라틴어에서 직수입된 단어도 그대로 프랑스어에 들어왔는데''', 이 때문에 위에 열거된 방식으로 전환된[* 타 로망스어군에서도 겪은 4번째 과정(장음의 이중모음화)을 제외] 라틴계 단어를 켈트 계열로 간주한다면[* 참고로 로망스어군과 [[켈트어파]]는 다른 [[인도유럽어족]] 어군에 비해 비교적 최근에 갈라진 편이다.] 프랑스어 내에서 켈트 계열 단어는 약 30%에 달하게 된다. 또한, [[브르타뉴어]]도 일부 어휘에서 갈리아어에서 유래된 어휘가 남아 있다.[* 단, [[브르타뉴어]]는 [[켈트어파]]에 속해 있어도 도서 켈트어군에 속해 있어서 대륙 켈트어군는 아니다.] [[게르만족]]이었던 [[아리오비스투스]] 또한 갈리아어를 구사할 줄 알았다. == 단어 ==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English_words_of_Gaulish_origin|갈리아어에서 유래한 영어 단어]],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French_words_of_Gaulish_origin|갈리아어에서 유래한 프랑스어 단어]] == 문자 == 문자는 [[그리스 문자]], 고대 이탈리아 문자, [[로마자]]로 쓰여졌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프랑스어, version=2103)] [[분류:개별 언어]] [[분류:대륙 켈트어군]] [[분류:사어]][[분류:유럽의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