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중부내륙선 역, rd1=감곡장호원역)] ||<-3> {{{+2 '''감곡역'''}}} || ||<-3> [include(틀:지도, 장소=35.733261 126.897697, 너비=100%, 높이=225px)]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Gamgok || || [[한자]] ||<-2><|2> 甘谷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000000,#ffffff [ruby(甘谷, ruby=カムゴク)]}}} || ||<-3> '''주소''' || ||<-3> [[전라북도]] [[정읍시]] 감곡면 호남철로 501 [br] (舊 유정리 1209-7) || ||<-3> '''관리역 등급''' || ||<-3> [[무배치간이역]][br]([[익산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전북본부) || ||<-3> '''운영 기관''' || || [[호남선]] ||<-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100]]]] || ||<-3> '''개업일''' || || [[호남선]] ||<-2> 1953년 11월 15일 || ||<-3> '''철도거리표''' || || [[대전조차장역|{{{#!html
대전조차장 방면}}}]][[김제역|김 제]][br]← 6.8 km || '''[[호남선]]'''[br]감 곡 || [[목포역|{{{#!html
목포 방면}}}]][[신태인역|신태인]][br]5.5 km → || {{{+1 甘谷驛 / Gamgok Station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감곡역(호남선).jpg|width=100%]]}}} || || {{{#000 '''구 역사(1973년 준공, 2020년 철거)'''}}} || [목차] [clearfix] == 개요 == [[호남선]]의 [[철도]]역. [[전라북도]] [[정읍시]] 감곡면 호남철로 501 (舊 유정리 1209-7번지)에 위치해 있다. == 상세 == 이 역이 생긴 역명인 감곡의 유래는 1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14년]] [[일제강점기]] 때 역 주변의 지역을 통폐합했는데, [[석계역|감산면과 사곡면에서 한 글자씩 따서]] 감곡면이 되었다. 그런데 이게 그대로 역명이 된 것. [[1976년]] [[7월 10일]]에 화물취급이 중지되었다.[* [[https://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singleData=N&archiveEventId=0028083292#40|철도청고시 제15호]]] 감곡면을 비롯한 정읍시에 속한 읍면 지역들의 인구 감소로 인해 이용객이 급속도로 줄어들면서, [[2008년]] [[1월 1일]]부로 여객영업이 중단되었다. 무인역으로 운영 중이며, 역사는 [[호남고속철도]] 공사 자재 등을 보관하는 창고로 활용되고 있다가 2020년 경에[* 구글 어스 기준 2020년 1월 위성사진까지는 감곡역사가 존재했으나 2021년 3월 위성사진에서는 '''[[소멸|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이를 토대로 철거 시기를 추정한 후 작성했다.] 철거된 이후 주차장으로 변했다. == 역 주변 정보 == 감곡역이 감곡면 소재지와 떨어진 위치에 있기 때문에, 역 주변은 '''허허벌판'''이다. 역명판은 존재한다.[* 이 주변에 있는 삼평리라는 마을에서는 2016년 4월 기준으로 반 년 전까진 이 역 앞에 있는 길에 가기까진 커브로 꺾어서 가야하는 구조였다... 그만큼 폐쇄적이었다. 이해가 안 간다면 그냥 직접 로드뷰로 이 역 앞에 길을 보자. 거기가 커브가 있었다... 이 길이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길이면 반드시 평평하게 뚫을텐데 얼마나 사람들이 안 지나다녔나를 보여준다. 지금은 공사로 길이 뚫렸다.] [[김제시]]와 [[정읍시]]의 경계에 위치한 역이다. == 사건사고 == [[2003년]] [[2월 15일]] 새벽 1시 이 역 부근에서 보수공사를 하던 인부 7명이 [[무궁화호]]에 치여 사망한 안타까운 일이 있었다. 이 열차는 광주발 서울행으로 신호에 따라 하행선으로 [[교행]]하고 있었고, 하필 인부들도 하행선 공사를 하고 있었으나 사전 통보도, 접근도 인지하지 못해 참사를 맞았다. 철도 사고로는 유례없는 대형 참사인데, [[대구 지하철 참사|사흘만에 터진 더 큰 참사]]에 묻혀버렸다.[* [[2011년]] 겨울에도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에서 작업인부가 운행중인 열차에 치여 5명이 참변을 겪고 1명이 중상에 빠지는 이 사고와 비슷한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호남선의 역 목록)] [[분류:1953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철도역]][[분류:호남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정읍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