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개그 콘서트]]의 역대 엔딩 코너''' || || [[2008년]] [[4월 6일]] || → || '''[[2011년]] [[7월 3일]]''' || → || [[2012년]] [[6월 24일]] || → || [[2014년]] [[11월 16일]] || || [[2011년]] [[6월 26일]] || → || '''[[2012년]] [[6월 17일]]''' || → || [[2013년]] [[6월 30일]]([[2013년]] [[1월 27일]])[* 엔딩이 유동적으로 바뀌기 이전] || → || [[2015년]] [[7월 19일]] || || [[봉숭아 학당(개그 콘서트)|봉숭아 학당]][* [[2009년]] [[9월 6일]] 10주년 특집에는 [[분장실의 강선생님]]이 엔딩 코너였다.] || → || '''[[감수성(개그 콘서트)|감수성]]'''[* [[2011년]] [[10월 2일]]에는 [[그땐 그랬지(개그 콘서트)|그땐 그랬지]], [[2011년]] [[11월 13일]]에는 [[달인(개그 콘서트)|달인]]이 엔딩 코너였다.] || → || [[네가지(개그 콘서트)|네가지]]→(유동적)[* [[2013년]] [[2월 3일]]부터는 엔딩 코너가 자주 바뀌었다. 이 시기의 엔딩 코너는 [[네가지]] 문서 참조] || → || [[닭치高]][* [[2015년]] [[6월 28일]]에는 [[민상토론]]이 엔딩이었다.] || [[파일:개콘 감수성.jpg]] [목차] == 개요 == [[2011년]] [[4월 3일]](588회)부터 시작해 [[2012년]] [[9월 16일]]에 종영한 사극 코너다. [[생활의 발견(개그 콘서트)|생활의 발견]]과 함께 개콘의 게스트콘서트화를 상징하는 코너이다. 코너 인트로는 다음과 같으며 나레이션은 [[김준현#s-1|김준현]]이 맡았다.(이는 [[1대 100]] 개콘 특집에서 밝혔다.) >북쪽의 오랑캐가 쳐들어와 [[평양성]], [[북한산성]], [[남한산성]]이 함락되고 마지막 남은 '감.수.성'...이 감수성[* 감수성은 원래〔감:수썽〕이라고 읽지만 이 단어는 '감수城'이기 때문에 그냥 〔감수성〕이라고 읽어야 한다는 암묵의 룰이 있다. 내레이션도 그렇게 발음한다. 뒤에 나오는 감수성은 원래대로 읽는다.]의 장군들은 감수성이 풍부했으니... [[2012년]] [[6월 10일]] 이후로는 감수성이 함락당해 도망길에 오르게 돼서 멘션이 다음처럼 바뀌었다. >북쪽의 오랑캐가 쳐들어와 [[평양성]], [[북한산성]], [[남한산성]], 그리고 마지막 남은 '감.수.성'마저 함락이 되고, 감수성 병사들은 도망길에 올랐으니... 북쪽의 오랑캐가 쳐들어왔다는 설정으로 적국은 주로 [[청나라]]였으며 2화에서는 오나라였다. 배경은 아마도 [[병자호란]]인 것 같지만 북한산성은 병자호란 한참 뒤인 숙종 때나 만들어졌다. 물론 이런 거는 깊게까진 생각하지 말자. [[전쟁]] 중에 일어난 여러가지 상황에서 이름 그대로 1의 감수성이 예민한 이들이 난관에 부딪히는 에피소드를 그린 코너. 조금이라도 심한 말이나 행동이 나오면 배경음이 바뀌고 주위가 얼어붙으면서 말한 사람이 무척 뻘쭘해진다.---갑분싸--- 당사자가 사과하고 주변 사람들이 삐진 사람을 달래고 서로 허허허 웃거나 감수왕의 호령에 원래 상황으로 돌아가는 패턴. 요즘에는 코너가 진행되면서 주변 사람들이 실행한 사람을 까는 패턴도 생겼다. 600회 특집 이후 [[봉숭아 학당(개그 콘서트)|봉숭아 학당]]이 무기한 방학을 맞으면서 601회 이후부터는 이 코너가 엔딩 코너로 자리잡게 되었다. 다만 한 코너가 종영되면 그때는 그 코너에 종영을 양보하는 패턴으로 가고 있었다. 시작할 때의 배경음악은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의 OST인 '칼의 노래'. 도입부의 나레이션은 [[김준현#s-1|김준현]]. 슬퍼질 때의 배경음악은 [[드라마]] [[시크릿 가든(드라마)|시크릿 가든]]의 OST인 '상처만' 앞부분. 이 코너가 인기를 끈 이후 이 배경음악은 [[마성의 BGM]]이 되었다.[* 주로 여기서 쓰인 인트로 부분이 쓰인다. 여기서는 원 키에서 2키 정도 내렸는데, 대부분의 타 방송에서 쓸 때는 원 키 그대로 쓴다. ~~키 내리기가 귀찮았나…~~] 자객이 등장할 때의 배경음악은 [[게임]] [[삼국지 6]]의 OST의 '패성공략'. 그 이후 [[슈퍼스타 KBS]]의 뽕브라더스 대목과 비슷하게 [[아이돌#s-2|아이돌]] [[가수]], [[배우]] 등을 게스트 출연시키는 경우가 많다. 배역은 대부분 오랑캐측 인물들이다. 그리고 아래 항목에서 볼수있다시피 남자 게스트는 두건으로 얼굴을 가릴 수 있으니까 자객이었지만, 언젠가부터는 납치해온 공주이거나 다른 성에서 데려온 사람이라는 설정이 많았다.[* 감수성에서 언급된 다른 성들의 이름은 감수성/등장인물 항목 또는 그 하위항목을 잘 찾아보면 나와 있다.] ~~감수성이 마지막으로 남은 성이었는데 다른성이 있다는 것과 전쟁에서 져가는 상황에서 어떻게 적국의 공주를 납치해왔는지에 신경쓰면 지는거다.~~ 주로 여성 게스트의 경우 누구인지는 상관없이 주변인물이 예쁘다는것을 이용한 개그를 했는데(원래 못생겼다는 것을 소재로 삼은것은 매우 많았지만 그 반대는 거의 없었으며 감수성만큼 게스트가 매주마다 등장하고 바뀌는 코너는 없었다.) 주로 신곡홍보와 과거의 히트곡으로 개그를 삼는다. 설날 특집때부터는 패턴이 조금씩 바뀌었는데 중간에 나오다 빠진 대갈공명은 처음부터 끝까지 등장하고 호송인이 바뀌었다. [[2012년]] 이후 게스트가 아이돌 위주로 나오고 하라는 개그는 안하고 '''신곡홍보'''를 하는 것이 단점. 그래서 그런지 기부천사 [[김장훈]]도 끝내기전 '''게스트들이 개그를 안하고 홍보하는건 자제해야 한다'''라며 비판을 했다. ~~하지만 그러는 본인도 마지막에 홍보를...~~ 감수성이 함락되고 감수성 진영이 도주 끝에 다른 성에 도주한다는 내용으로 진행했으나, 시작부터 종전 [[김완선]] 출연시 선보였던 [[우려먹기|"선정성" 기믹을 세탁도 않고 또 써먹은데다가, 크리티컬으로 이미 게스트로 출연했던 지나를 또 다시 게스트로 출연시킨것도 또 써먹었기 때문에]] 코너의 매너리즘이 극에 달했음을 보여 주었다. [[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view?newsid=20120614083808228|실제로 이 회차 방송후 감수성의 폐지 논의가 공론화되는 양상이 보여졌다]].[* 사실 이 우려먹기는 600회 특집 [[시크릿(아이돌)|시크릿]]이 출연했었다. 몇주 후 시크릿 출연 때가 처음이었다.] 하지만 그때는 시작에 불과했고 '''[[8월 5일]]자에 사교성을 또 써먹었다.''' 결국 [[6월 24일]]을 기점으로 [[네가지]]에게 엔딩 코너 자리를 내주었지만 '''더이상 게스트를 등장시키지 않고''' 개콘 안의 구성원으로 성주를 채우다보니 당분간 코너가 계속 이어질 듯 했지만 [[8월 5일]]에 [[박영규(배우)|박영규]]가 출연해 깨졌다. 그리고 [[8월 19일]]에는 [[신수지]]를 출연시켰다. 하지만 둘다 오히려 다른 코너에 의해 묻혔다. [[9월 2일]] 방영분에서는 아예 '''통편집당했다.''' 잘 안알려졌던 사실이 있는데 [[M4#s-4|M4]]가 게스트로 나온 방영분에서는 김재욱이 "감수왕 망해라!"라는 위엄이 넘치는 드립(!)을 쳤다. 그리고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진짜로 감수성이 함락되는 시나리오가 되었다]].''' 급기야 [[9월 9일]]에는 오프닝 코너까지 밀려났다. [[9월 16일]] 코너 종료. 마지막으로 [[아이유]]와 [[피에스타(아이돌)|피에스타]]가 등장했다. [[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view?newsid=20120913082908270|#]] 간만에 엔딩 코너로 돌아왔지만 감수성을 되찾기 위한 싸움을 앞둔 상태에서 끝났을 뿐, 마지막까지 감수성은 되찾지 못했다. 참고로 이 코너가 김영민의 마지막 개콘 출연작이다. [[2017년]] [[5월 14일]] 900회 특집에서 부활했으며 [[내시]] 역할은 김영민 대신 [[홍인규]]가 했고, [[김준현]]이 특별출연했다.[* 물론 900회 특집 훨씬 이전에도 [[김준현]]이 출연했다.] == [[감수성(개그 콘서트)/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감수성(개그 콘서트)/등장인물)] == (6월 10일 이후) 감수성 진영이 도착한 성 목록 == * [[우려먹기]] 판정 컨셉은 ☆표시. || '''{{{#bb8644 방송 일자}}}''' || '''{{{#bb8644 성 이름}}}''' || '''{{{#bb8644 비고}}}''' || || '''6월 10일''' || 선정성(☆) || [* [[김완선]] 때 나온 컨셉이 선정성인 것을 생각하면 우려먹기 맞다.] || || '''6월 17일''' || 음악성 || || || '''6월 24일''' || 폭력성 || || || '''7월 1일''' || 홍보성 || || || '''7월 8일''' || [[아빠와 아들|식성]] || || || '''7월 15일''' || [[성 정체성을 깨달은 아이|정체성]] || [* 김대희가 옷에 [[핑크|PINK라고 적힌 핑크색 옷]]을 입고 등장했다! 그리고 이어지는 [[홍석천]]의 [[매의 눈]]과 [[하리수]] [[드립]]은 [[덤]]. --[[엉덩국|어]]?--] || || '''7월 22일''' || 귀염성 || || || '''7월 29일''' || [[멘붕스쿨|모방성]] || [* [[일본]] 유학생 갸루 상 참조.] || || '''8월 5일''' || 사교성(☆) || [* 예전에 [[붐(연예인)|붐]] 출연 때 사교성 컨셉을 선보인 적이 있었다.] || || '''8월 12일''' || 소리성 || [* 이 때 [[청나라]]의 황제가 직접 감수왕에게 [[편지]]를 보냈는데, 감수왕이 편지를 버리려 하자 '어우, 야, 내 말 아직 안 끝났거든?'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물에 집어넣으면 '꼬르르륵~~ 꼬륵 꼬륵~ 헥... 헥... 지금 당장 목숨만은 '''꼬르르르륵~꼬륵 꼬륵~''''이라고 물에 빠져 죽는 소리를 냈고, 간지럽히면 '이히히히~'하고 웃었다(...).] || || '''8월 19일''' || [[유연성]] || || || '''8월 26일''' || [[정여사|여성성]] || || || '''9월 2일''' || 통편집 || || || '''9월 9일''' || [[충성]] || || [각주] [[분류:개그 콘서트 코너]][[분류: 개그 콘서트 엔딩 코너]]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감수성,version=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