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2 감투빗해파리}}}[br]Mikado jellyfish}}}'''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olinopsis mikado.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Bolinopsis mikado'' '''[br]Moser, 1908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 ^^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분류:유즐동물문|유즐동물문]] ^^Ctenophora^^||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유촉수강 ^^Tentaculat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투구해파리목 ^^Lobat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투구해파리과 ^^Bolinops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투구해파리속 ^^''Bolinopsis''^^||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감투빗해파리 ^^''B. mikado''^^'''|| [[파일:감투빗해파리.jpg|width=530]] [목차] [clearfix] == 개요 == 투구해파리목 투구해파리과의 빗해파리로 우리나라 근해에 서식한다. 이름과 달리 [[해파리]]와는 강을 넘어 문 단위에서부터 다른데, 해파리는 [[자포동물]]문이지만 빗해파리류는 유즐동물문이라는 완전히 다른 카테고리로 들어간다. == 특징 == 몸길이 5cm~10cm 정도로 몸은 무색투명하다. 몸 양쪽에는 몸길이의 절반 정도되는 날개 같은 돌기가 있어 [[감투]]와 비슷한 모양으로 보여 감투빗해파리라고 불린다. 이 돌기는 넓혀 요각류 등의 소형 갑각류 및 동물성 플랑크톤을 접착시켜 잡아먹는다. 체표에 늘어선 8개의 즐판열로 몸을 움직여 이동하며, 이 즐판열은 빛을 반사하기 때문에 무지개색으로 빛나 보인다. 몸은 한천질로 약하기 때문에 파도가 거칠 때는 깊이 바다로 가라앉으며, 파도가 잠잠해지면 해수면 근처까지 올라온다. 우리나라 동해남부 앞 바다에 여름~가을철에 많이 보이고, 큰 무리를 이루거나 어망에 들어가 작업에 지장을 주는 일도 있다. === 진화 === [[해파리]]와 달리 좌우대칭동물처럼 중배엽을 가지고 있으며, 신경세포 구조 역시 해파리나 좌우대칭동물과는 다르다. 자포동물이나 [[좌우대칭동물]]의 발생과정에 관여하는 여러 유전자를 전혀 가지고 있지 않아[* Hox, Notch, Hedgehog 등등] [[해면]]동물과 함께 가장 초기에 분화해 나간 동물로 여겨진다. 최근에는 [[해면]]보다 [[https://www.sciencetimes.co.kr/news/지구상-최초의-동물은-빗해파리|지구상에 나타난 가장 초기 동물로 추정되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기타 == [[어비스리움]]에선 '황금감투빗해파리'라는 명칭으로 숨은 물고기를 모두 얻으면 얻을 수 있는 최종 보상인 황금물고기 중 하나로 등장한다. [[해수의 아이]]에선 물속을 부유하는 장면이 잠시 등장한다. [[분류:유즐동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