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강릉시 시내버스]] [include(틀:강릉시 시내버스)] [include(틀:운행중단)] [[파일: 대관령 옛모습.jpg]] LED 행선판 설치 이전의 모습. [[파일:503-1(강릉).png]]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강릉시 CI_White.svg|width=25]] {{{#ffffff 강릉시 시내일반버스 503-1번}}} || ||<-6><:>{{{#!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강릉 503-1 노선도.png|width=100%]]}}}|| ||<-2><:>기점||<:>[출발]강원도 강릉시 견소동(안목)[br][도착]강원도 강릉시 임당동(신영극장)||<-2><:>종점||<:>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대관령정상)|| ||<|2><:>종점행||<:>첫차||<:>08:35(안목 출발)||<|2><:>기점행||<:>첫차||<:>09:45|| ||<:>막차||<:>15:00(대관령박물관 출발)||<:>막차||<:>15:30|| ||<-2><:>운수사명||<:>[[동진버스]]||<-2><:>배차간격||<:>1일 2회(5~11월 주말에만 운행, 공휴일 미운행)|| ||<-2><:>노선||<-4><:>안목 → 송정노인회관 → 송정동주민센터 → 남강초교 → 강릉여고 → 신영극장 → 강릉의료원 → 홍제IC → [[강릉영동대학교]] → 금산장수마을 → 성산면사무소 → 가마골 → 반정 → 대관령정상(대관령휴게소, 대관령양떼목장) → (이후 신영극장까지 역순으로 운행)|| == 개요 == 강릉시 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 [[http://naver.me/53wADShx|전체 정류장 목록]] [[http://blog.naver.com/goodsk92/220726669559|관련 게시물]] == 역사 == * 대관령 등산객의 편의를 위해 2010년에 신설되었다. *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승객감소로 2020년 5월 2일부터 무기한 운행중단에 들어갔다. == 특징 == * 강원도의 대표적인 고개인 [[대관령]]으로 가는 유일한 강릉시 시내버스 노선이다. 등산객 편의를 위해 만들어진 노선이다보니 주말에만 운행한다. 다만, 5~11월에만 운행하고 공휴일에는 운행하지 않는 등 제약이 많다. * 하루 2번만 운행하며, 그마저도 막차는 대관령박물관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시내에서 503번을 타고 대관령박물관에서 환승해야 한다. * 대관령정상은 옛 영동고속도로 대관령휴게소며 여기서 대관령면 횡계로 가는 평창군 농어촌버스 노선과 연계된다. * 평창군으로 들어가는 유일한 강릉시 시내버스 노선이다. * 특이하게 출발은 다른 노선들처럼 안목에서 하나, 시내로 돌아올 땐 신영극장까지만 간다. 이 때문에 안목에서 출발할 때와 시내로 돌아올 때 다른 행선판을 끼우고 운행한다. [[https://blog.naver.com/goodsk92/220726669559|관련 게시물]] * 강릉버스정보시스템과 포털 사이트 지도 등에서는 모두 가마골까지만 가는 걸로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대관령 정상까지 올라간다. * 대관령 정상에서 [[평창군 농어촌버스]]와 연계되며, 한때 수도권에서 강릉까지 [[시내버스 여행]]을 할 때 자주 이용되었던 노선이다보니, 당시 버스 동호인들에게는 나름 인지도가 있었다. 현재는 당일치기로 가는 게 주류다 보니 이 노선을 이용하는 경우는 많이 줄었다. 막차가 너무 빨라서 불가능하기 때문. === 시간표 === [[파일: 대관령.png]] == 연계 철도역 ==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