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와라! 편의점의 메인 캐릭터)] ||<-2> [[파일:강민준_게임판.jpg|width=300%]]|| ||<-2>
'''{{{+1 강민준}}}''' || ||<-2> [[파일:원작 강민준.jpg|width=100%]] || || '''이름''' ||강민준 || || '''출생 / 나이''' ||1988년[* [[2023년]] 기준으로 [[2003년]]생.] 4월 11일 / 21세 (현재 [age(1988-04-11)]세) || || '''학력''' ||대학교 졸업 || || '''담당 성우''' ||[[최승훈(성우)|최승훈]] || [목차] [clearfix] == 개요 == [[와라! 편의점]]의 등장인물. 애니판 성우는 [[최승훈(성우)|최승훈]]. 메인 3알바 중 [[청일점]]이며 야간반. 나이는 만 20세. 작가가 [[남자]]인지라 [[자기 투영|작가 본인의 모티브]]라는 의심을 많이 받는 캐릭터.[* 사실 작가가 간접 인증했다.[[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26316&seq=264|264화]]를 참조하면 편의점 에피소드를 만화로 그려보라는 [[김혜연]]의 말을 들은 강민준의 밑에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라는 말을 달아두었다. 그리고 마지막화인 600화에서 확인사살]심지어 이름 지강민 중 성을 뺀 강민이 캐릭터 이름에 그대로 들어가있는데다가 작가의 서양식 영문 이니셜이 민준의 영문 이니셜과 동일하다!(KMJ)[* 단행본 2권 미등록 에피소드를 보면 희망사항이 [[만화가]]이며, 일하면서 짬짬이 웹툰을 그리는 장면이 나온다. 그리고 애니메이션에서 웹툰 공모전에 만화를 그려서 신청했는데, 내용이 편의점에서 아버지가 남긴 [[드래곤볼(아이템)|하트 구슬을 모으면 소원이 이루어지고]] 그러다가 [[아기공룡 둘리|빙하 안에 공룡을 만난뒤]] 배에서 [[몽키 D. 루피|해적을 꿈꾸는 소년과]] 4명이서 [[은하철도 999|우주 열차를 타고]] 열차가 갑자기 [[태권V|태권 로봇으로 변신]]이라는 여러 만화들을 짬뽕시킨(!!!) 만화를 그렸다. 결과는 당연히 불합격. [[김수정(만화가)|김수정]]의 둘리를 배낀것만으로도 불합격이다.] 다만 본편에서 아예 작가 본인을 카메오 출연시키는 오너캐는 따로 있다. 일본어 버전에서는 쥰페이로 불리운다. 남자 알바생답게 야간타임을 뛰고 있다. 왠지 모르게 여자보다 남자에게 인기가 많은 듯.[* 가끔 보면 여자한테 인기가 없는 것도 아니다. 다만 눈치가 없어서 기회를 잡지 못했다. 초반 이후에는 남자에게 인기 많은 속성이 부각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아 단발성 소재인 듯 하다.] 아니 더 나아가서는 뭘해도 여자가 안 생기는 불운의 사나이. 아직 군미필이라 여러모로 고민이 많은 듯 하다. 47화에서 [[초사이어인|민싸이언]]으로 변신한 것으로 보아 힘이 없는 건 아닌 듯 하다. 300화 특집 미래편에서는 결국 군대를 가서 김혜연에게 편지를 보내는 역할로 나왔다. [[임은아|아는 동생]]이 인기 아이돌이라 군 생활이 편할 거 같다고 했다. 357화에서는 은아의 유니폼을 입었다(...) 그리고 408화에서는 은아의 발냄새 때문에 고객으로부터 누명을 뒤집어쓰기도 하였다. 앱스게임에서는 14레벨부터 등장한다. 역시 주 대사는 '''"어서오세요~!"''', '''"안녕히 가세요~!"''' 젊은 남자의 목소리 그 자체다. 사족으로 [[진모리]]의 공격을 5분 버텨낼 정도의 맷집도 있다. 377화에서 강도에게 받은[* 포스기의 동전을 가져가기 위해 잠시 요술봉을 민준이 앞에 내려놨다...] 마법 지팡이를 들더니[* 심의상 당연히 칼이다.] 세일러문 변신 주문을 외치고는 세일러문으로 변신해... 강도를 직접 잡았다. 541화에서 친구의 웹툰연재를 도와주기 위해 알바를 그만두면서 사실상 하차했다.--덩달아 일진이도 함께 짤렸다.[* 물론 진짜로 짤린 건 아니고 점장이 당분간 주말알바를 기용하지 않을거라고 해서 임시로 하차한 것이다.]-- 때문에 완결나는 거 아니냐는 사람들이 많았다.[* 실제로 작가 인터뷰에서 완결을 생각해보고 있다고 했고, 후기에서 600화 이내에는 완결을 내겠다고 했다.] 545화에는 맨 마지막 컷에만 나왔다. 노트북 택배가 화성에 있다고 한다. 599화와 600화(마지막회) 부분에서 간만에 알바 원년 멤버들과 만나 해후를 풀지만, 하차 후 친구의 웹툰 연재를 도우면서 틈틈히 본인만의 웹툰을 준비하려고 했지만, 잘 풀리지 않고 있었다. 이때문에 편의점 멤버들에게 자신이 정말로 그리고 싶은 웹툰이 대체 뭔지 모르겠다며 고민을 토로하는데, 이때 혜연이 너무 머리 싸매지 말고 네 주변에서 벌어졌던 경험을 바탕으로 해보는 건 어떻겠냐고 조언해주자, 그 말에 영감을 얻은 민준응 여태까지 준비했던 원고를 갈아엎고서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기로 결심하고, 자신이 편의점에서 일한 경험을 살려 만화를 그리려 하며 와라 편의점 본편은 완결.~~[[지강민]]준~~ [[매일매일 출근가족]] 36화에서 편의점 알바로 등장했다. 애니에서처럼 웹툰작가에서 해고돼서 계속 알바인생으로 살고있다.[* 웹툰작가를 다시 하려고 해도 두번 다시 웹툰작가를 못하며 계속 알바 인생으로 살아가야한다.(그 이유는 이 문서의 아래쪽을 참조할 것.) 그것도 20대 후반에서도 이어진다.] 이후 타 작가의 만화 [[씬커]] 0x0D 에피소드에서 주인공에게 인사하는 역할로 카메오 등장한다. 흡연 장면이 나온 적은 없지만 흡연자라는 언급이 있다. [[http://naver.me/5DkJu3ZE|7화 '아빠와 딸']]에서 딸이 먹고 싶은 과자를 사느라 담배를 못 산 남자 손님이 담배 한 대만 빌려달라고 하자 "돗대라서 안 된다"고 거절하는 장면이 있다.[* 단행본 1권에 공개된 비하인드 컷에서는 이번엔 한 모금만 피우게 해달라는 손님에게 "식후땡용이라 안 된다"고 한 번 더 거절한다.] [[와라! 편의점(ONA)]]에서는 같은 질문에 "금연중이라…"고 대답하며 거절한다. == 애니메이션 == 애니메이션에서는 홍성군 출신이었으나, 만화가가 되기 위해 서울에 상경했다는 설정이 추가되었다. 또한 지하 단칸방에서 자취중. 다만 월세를 재때재때 못내는 바람에 허구한 날 주인 아주머니에게 시달리고 있다. 1화에서 불량배들에게 괴롭힘을 당하던 소년 유준을 구해주고, [[왕따]] 소년 성우에게 잘 대해주는 등 기본적으로 상냥한 성격이지만, 은근히 소인배적인 면[* 집세를 안 내는것도 그렇지만, 6화에서는 월세 때문에 돈이 부족하자 와라 초등학교 구멍가게에서 열리는 게임대회에서 우승하여 상으로 얻는 '''구멍가게 무료 이용권을 이용해먹으려고 했다.''' 하지만 결승전에서 상대를 잘못 만나서 망했다.]및 취객 3인방에게 휘둘리는 [[우유부단]]한 면도 자주 보여준다. 또한 웹툰판과 마찬가지로 [[만화]]를 그려도 죄다 [[표절]] 투성이라 응모전에서 당연히 탈락... 월급날 에피소드에서는 건뎀한정판을 구하려하는데 생긴게 마치[[제타건담|...]] 최종화에서는 웹툰판과 마찬가지로 자기가 편의점에서 겪은 일들을 웹툰으로 그려 응모전에서 당첨, 드디어 웹툰작가의 길을 걷나 했더니만 하필이면 악플에 과민반응하여 소인배스럽게 다른 계정을 사용하여 '''악플로 대항하며''' [[키보드 배틀]]을 하다가 마감시간을 넘기게 되어 연재중단과 함께 해고되고[* 나중에 모가지를 당하게 된 후 "아무리 그래도 독자는 독자인데 내가 너무 심하게 대했다." '''라고 후회하지만 ''' 두번 다시 웹툰작가 못한다. 계속 편의점 알바로 살아가야 된다.] 결국엔 비슷한 신세가 된 다른 동료들과 함께 와라 편의점으로 돌아가서 알바 인생으로 살아가야 한다. 이후 애니메이션 시즌 2는 제작사 사정으로 인하여 중단되었다고 지강민 작가가 후기에서 이야기하면서 이후의 내용을 알 수 없게 되었다. OVA판에서는 은아와 플래그가 섰고 TVA판에서는 혜연과 플래그가 섰다. [[분류:와라! 편의점/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