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북한 외무상)]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6b534, #d6b534)" {{{#FFF '''前 외무성 제1부상[br]{{{+1 강석주}}}[br]姜錫柱 | Kang Sok Ju'''}}}}}}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강석주.jpg|width=100%]]}}} || ||<|2> '''출생''' ||[[1939년]] [[8월 29일]] || ||[[평안남도]] [[평원군]]|| ||<|2> '''사망''' ||[[2016년]] [[5월 20일]] (향년 76세) || ||[[평양시]] || || '''학력''' ||[[평양외국어대학]] {{{-2 (영어영문학 / 학사)}}}[br] [[평양국제관계대학]] {{{-2 (프랑스어학 / 학사)}}}|| || '''경력''' ||최고인민회의 제8 ~ 13기 대의원[br]외무성 제1부상[br]내각부총리[br]조선로동당 정치국 위원[br]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비서 || || '''수훈''' ||[[파일:attachment/bbogriorder.jpg|width=20]] 김정일훈장(2012)|| || '''최종 당적''' ||[include(틀:조선로동당)]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의 전직 외교관 및 정치인. == 생애 == [[평안남도]] [[평원군(평안남도)|평원군]]에서 1939년 8월 29일에 가난한 노동자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평양외국어대학]]에서 영어 전공을, 국제관계대학에서 불어를 전공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1969년에 중앙위원회 국제부 지도원으로 배치되면서 외교관의 경력을 걸었다. 이후 과장으로 승진, 1984년 1월 정무원 외교부 부부장에 임명되었으며 전임 제1 외교부 부부장인 [[리종목]]이 교통사고로 사망한 이후 제1 외교부 부부장으로 승진했다. 1988년 3월, 조선로동당 6기 13중전회에서 중앙위원회 후보위원에 보선, 최고인민회의 8기 대의원에도 선출되어 9,10,11,12,13기까지 연임했다. 1991년 12월 조선로동당 6기 19중전회에 중앙위원회 위원에 보선되었으며 1992년 4월 1일, 중앙인민위원회 정령에 따라 [[김일성훈장]]을 수훈받았다. 1991년 5월, [[허담]] 장의위원, 1994년 7월, [[김일성]] 장의위원, 1995년 2월, [[오진우]] 장의위원을 지냈다. 특히 1990년대 이후 북핵문제로 북-미 직접 협상이 시작된 이후에는 북한 외교의 실질적 설계자 역할을 담당하며, 1994년 [[북미 제네바 합의]]를 이끌어내기도 했다. 당시 강석주의 협상 상대는 미 국무부 북핵특사 로버트 갈루치로 이 둘은 이후 오랜 기간 북미협상의 최전선에서 계속 만나게 된다. 강석주의 외교감각은 [[태영호]]의 책에서 자주 언급되기도 하였다. 1998년 김일성 헌법이 채택되면서 내각 외무성 제1부상으로 유임, 2010년까지 무려 23년이나 외교부의 2인자를 맡은 북한 외교 실무진의 실세 중의 실세였다. 2007년 [[백남순]] 외무상이 사망한 이후 김정일은 [[김영일(1944)]] 내각의 새 외무상으로 강석주를 임명하려 했으나 강석주의 건강이 좋지 않아 결국 외무성 제1부상으로 남게 되었다. 2010년 9월 23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에 따라 내각 부총리에 임명되면서 [[김계관]]에게 외무성 제1부상 자리를 넘겨주었는데, 이는 조직지도부 부부장 [[리제강]]이 파견한 외무성 당비서 안광태와의 갈등 때문이었다고 한다. 2010년 9월 29일, 조선로동당 제3차 당대표자회에서 정치국 위원에 선출되어 2016년 5월까지 재임했다. 2010년 11월, [[조명록]] 장의위원, 2011년 1월, [[박정순]] 장의위원, 2011년 12월, [[김정일]] 장의위원, 2013년 12월, [[김국태]] 장의위원을 지냈다. 2014년에는 조선로동당 국제부장 겸 비서에 임명되었다. 2014년 7월, [[전병호(1926)|전병호]] 장의위원, 2015년 11월, [[리을설]] 장의위원, 2015년 12월, [[김양건]] 장의위원을 지냈다. 2016년 5월에 열린 조선로동당 7차 당대회에서는 위독한 상태임을 감안했는지 정치국에선 탈락했으나 예우상 중앙위원회 위원에 선출되었으나 7차 당대회가 끝난지 겨우 10여일 만인 2016년 5월 20일 오후 4시 10분에 식도암과 이에 따른 급성호흡부전으로 사망했다. [[로동신문]]은 이를 발표하며 사망 소식을 대대적으로 알리나 [[김양건]] 전 통전부장의 장례식과는 다르게 김정은은 불참하고 대신 [[최룡해]]가 주최하였다. 조선중앙통신은 "강석주동지는 당과 수령에 대한 백옥같은 충정을 지니고 생명의 마지막순간까지 당의 령도에 무한히 충실하였다. 강석주동지는 비록 서거하였으나 우리 당과 혁명,조국과 인민을 위하여 바친 그의 투쟁공적은 길이 남아있을것이다."라고 그의 죽음을 애도하였다. == 장의위원회 구성 == * 위원장: [[최룡해]]. * 위원: [[황병서]], [[박봉주]], [[김기남(1929)|김기남]], [[최태복]], [[리수용]], [[김평해]], [[오수용]], [[곽범기]], [[김영철(북한)|김영철]], [[리만건]], [[양형섭]], [[로두철]], [[리명수]], [[박영식(북한)|박영식]], [[김원홍]], [[최부일]], [[김수길]], [[김능오]], [[박태성]], [[리용호]], [[임철웅]], [[조연준]], [[리병철]], [[노광철]], [[리영길]], [[리용무]], [[오극렬]], [[김덕훈]], 김용진, [[리무영]], [[김영대(1937)|김영대]], [[류미영]], [[리일환]], [[안정수(북한)|안정수]], [[리철만]], [[최상건]], [[리영래]], [[김정임]], 김중협, [[김만성]], 김용수, [[홍인범]], [[김경옥]], [[리재일]], [[최휘]], [[김성남(1953)|김성남]], 전일춘, [[정명학]], [[김히택]], [[김계관]], [[리룡남]], [[김정숙(1931)|김정숙]]. == 여담 == * [[김정일]]의 [[저팔계 외교]]를 실질적으로 담당 및 수행한 사람이다. * 김정일의 신임을 받았으나 1년동안 혁명화로 농장에서 똥지개를 지면서 손가락 하나가 날라갈 정도로 고생했다고 한다. 이건 강석주만이 아니라 부부장급 이상 간부들은 혁명화 안 갔다 온 사람이 드물정도로 거의 간부들 되려면 통과의례나 훈장처럼 생각한다고. 당시 혁명화를 당한 이유는 강석주가 정무원 외교부 제1부부장 시절에 김용순이 이끌던 중앙위원회 국제부와 사이가 좋지 않았는데 이에 국제부에서 앙심을 품고 강석주가 당의 지도를 무시하고 나댄다고 나쁘게 보고하여 혼이 난 것이라고 한다. * [[태영호]]의 저서 '3층 서기실의 암호'에서 자주 언급된다. * 친형 [[강석숭]]이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당력사연구소 소장이었는데 [[구호나무]] 아이디어를 내서 외국에서 특수 잉크까지 수입하여 수만개씩 찍어냈다고 한다. * 전임 외무부 제 1부상 김충일이 김정일의 명령으로 김정일 서기실로 옮기자 외교부장 김영남이 강석주를 제 1부상으로 추천했는데 김정일은 자기가 좋아하고 신임하는 강석숭의 동생이란 소리에 말이 끝나자 마자 좋다고 외쳤다고 한다. [[분류:조선로동당 국제비서]][[분류:조선로동당 국제부장]][[분류:조선로동당 6기 정치국 위원]][[분류:조선로동당 7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북한 내각 부총리]][[분류:북한 외무성 제1부상]][[분류:8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분류:9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분류:10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분류:11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분류:1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분류:13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분류:1939년 출생]][[분류:2016년 사망]][[분류:평원군 출신 인물]][[분류:식도암으로 죽은 인물]][[분류:애국렬사릉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