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종필의 보유 기록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white 보유 기록}}} || || 한 시즌 최다 끝내기 홈런 || 3개[* 1991년 달성] || ---- ||<-5>
'''{{{#fff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45번}}}''' || || 결번 || {{{+1 →}}} || '''{{{#0047ab 강종필[br](1989~1995)}}}''' || {{{+1 →}}} || [[전상렬]][br](1996) || ||<-5> '''{{{#000 [[쌍방울 레이더스|'''{{{#000 쌍방울 레이더스}}}''']] 등번호 32번}}}''' || || 이연수[br] (1990~1995) || {{{+1 →}}} || '''{{{#ffc81e 강종필[br](1996~1997)}}}''' || {{{+1 →}}} || 김훈[br](1998.8.1.~1998) || }}} || ---- ||<-2>
[[파일:aaa (1).png|width=100%]] || ||<-2> '''{{{+2 강종필}}}[br] 姜鍾弼 | Kang Jong-Pil''' || || '''출생''' ||[[1967년]] [[2월 28일]] ([age(1967-02-28)]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경운중학교(대구)|경운중]] - [[대구상원고등학교 야구부|대구상고]] - [[계명대학교 야구부|계명대]] || || '''포지션''' ||[[우익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1989년 [[육성선수|연습생]] ([[삼성 라이온즈|삼성]]) || ||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1989~1995)''' [br][[쌍방울 레이더스]] (1996~1998) || || '''해설위원''' ||[[SPOTV]] 야구 해설위원 (2012~2013) || || '''가족''' ||아내, 아들 [[강도훈]]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 [[쌍방울 레이더스]] 소속의 [[우익수]]. == 선수 경력 == 계명대 졸업 이후 미지명되어 삼성 라이온즈에 연습생으로 입단했다. === 1989 시즌 === 대주자로 1군에서 서서히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다. 이 해 50경기 출장에 0.125 5안타 3타점 5득점 6도루이라는 형편없는 기록을 남겼다. === 1998 시즌 === 경기 출장 없이 은퇴한다. ==== 은퇴 후 ==== 은퇴 이후 사회인 야구를 하면서 야구 연습장을 운영하였고, [[SPOTV]]에서 삼성 측 편파중계 해설위원을 맡기도 했다. 다만, 해설 능력은 전반적으로 많이 떨어진다는 평가였다. ~~주루센스가 뛰어난 [[박석민]], 나가면 도루하는 [[박한이]]~~ 현재는 k2드림야구교실을 운영하고 있다고 한다. 2016년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개장 첫 경기에서 올드 유니폼을 입은 그가 보였다. == 플레이 스타일 == 전형적인 발빠른 타입의 외야수였다.[* 당시 발 느린 선수만 있는 삼성의 상황에선 [[정경훈(야구선수)|정경훈]]과 마찬가지로 발이 빨라서 기회를 많이 받았었다.] 준수한 주력과 괜찮은 어깨를 가졌지만 도루 센스는 좋지 않은 편이었다.[* 통산 도루 성공율은 72.2%] 또 하나의 장점은 좋은 선구안. 선구안이 평가를 받지 못하던 시절이나 타율에 비한 출루율은 준수한 편이었다. 다만 타격 능력은 많이 떨어진 편. 컨택도 파워도 그다지 평가가 높지는 않았다. == 여담 == * 2022 KBO 신인드래프트 2차 7라운드에 삼성 지명된 [[강도훈]]이 그의 아들이다. * 1991년 친 68개의 안타 중 홈런이 8개였으나, 파워는 약했다. * [[송유석]]이 [[전설의 타이거즈]]에서 강종필을 언급한 적이 있었다. 삼성과의 대구 원정 경기에 등판해서 4회 2아웃까지 해태가 리드중이었고 한 타자만 더 잡으면 승리투수 요건을 채우는 상황에서 [[류중일]]이 친 타구가 하필 송유석의 급소를 강타했고, 입술에서 피가 터져나오는 걸 참으며 강종필에게 던진 초구를 강종필이 건드려서 투수앞땅볼로 마무리지었다고 한다. * 근황이 더 이상 들리지 않다가 2008년 5월 16일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8/05/16/2008051601519.html|부친상을 당했다고 한다.]] * [[https://www.youtube.com/watch?v=q_kranyxvPc|라팍 개장 첫 경기에 잠깐 등장한다.]][* 8:53에서] == 연도별 주요 성적 == '''굵은 글씨'''는 해당시즌 10위권 이내 기록 ||<-16>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출장 경기수}}}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4사구}}} || {{{#ffffff 장타율}}} || {{{#ffffff 출루율}}} || {{{#ffffff 희타}}} || || 1989 ||<|7> [[삼성 라이온즈|삼성]] || 50 || 40 || .125 || 5 || 1 || 0 || 0 || 3 || 5 || 6 || 1 || .150 || .146 || 0 || || 1990 || 20 || 11 || .091 || 1 || 0 || 0 || 0 || 0 || 2 || 1 || 1 || .091 || .167 || 0 || || 1991 || 111 || 258 || .264 || 68 || 7 || 3 || 8 || 29 || 42 || 15 || 31 || .407 || .341 || '''11(공동 10위)''' || || 1992 ||<|2><-14> 군복무(현역병) || || 1993 || || 1994 || 61 || 56 || .232 || 13 || 1 || 0 || 1 || 3 || 13 || 4 || 9 ||.304 || .339 || 2 || || 1995 || 46 || 27 || .259 || 7 || 0 || 0 || 1 || 2 || 5 || 5 || 5 || .370 ||.375 || 0 || || {{{#fab93d 연도}}} || {{{#fab93d 소속팀}}} || {{{#fab93d 출장 경기수}}} || {{{#fab93d 타수}}} || {{{#fab93d 타율}}} || {{{#fab93d 안타}}} || {{{#fab93d 2루타}}} || {{{#fab93d 3루타}}} || {{{#fab93d 홈런}}} || {{{#fab93d 타점}}} || {{{#fab93d 득점}}} || {{{#fab93d 도루}}} || {{{#fab93d 4사구}}} || {{{#fab93d 장타율}}} || {{{#fab93d 출루율}}} || {{{#fab93d 희타}}} || || 1996 ||<|3> [[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 || 75 || 103 || .262 || 27 || 4 || 0 || 3 || 10 || 26 || 4 || 10 || .388 || .327 || 3 || || 1997 || 64 || 69 || .232 || 16 || 4 || 0 || 2 || 7 || 18 || 4 || 10 || .377 || .329 || 1 || || 1998 ||<|1><-14> 1군 기록 없음 || ||<-2> '''[[KBO 리그|KBO]] 통산''' [br] (10시즌) || 427 || 564 || .243 || 137 || 17 || 3 || 15 || 54 || 111 || 39 || 67 || .363 || .323 || 17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삼성 라이온즈/선수단]] * [[쌍방울 레이더스/선수단]] [각주] [[분류:강종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