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강진군]][[분류:전라남도의 교통]]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강진군)] [목차] [clearfix] == 개요 == [[강진군]] 교통에 대해 정리한 문서. == 철도 == 철도는 [[경전선]]의 전남 남해안 구간인 [[보성역]]~[[임성리역]] 구간이 착공해서 2025년 초에 개통할 예정이며 [[강진역]]이 관내에 건설되고 있다. 처음에는 보성~임성리 간 노선을 단선 비전철로 건설하려다가 단선 전철화 노선으로 계획이 변경된 적이 있고 한번 건설이 중지된 적도 있는만큼 [[티스푼 공사]]의 가능성이 상당하다. 원래는 2022년에 개통할 예정이었으나 2023년으로 미뤄졌고 2025년으로 또 미뤄진 것이다. 그래서 제때 개통될 지는 두고봐야 한다. 그 외 별개로 남북축 노선으로는 1990년대 전라남도가 '''[[http://www.wan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7202|나주-완도간 철도]]'''를 만드려고 한 적은 있었지만 경제성이 없어서인지 [[강진광주고속도로|완도광주고속도로]] 공사로 대체되었다. 만약 건설 중인 경전선 보성-목포 노선과 나주-완도간 철도까지 만들어지면 그 역시 [[순천시]] 다음으로 전남의 두번째 철도(중남부권) 요충지가 될 전망이다. 지금 현재 가까운 역이 [[목포역]]과 [[나주역]]이다.[* 거리상으로 [[목포역]]이 가깝지만 강진 같은 경우는 예전부터 [[광주권]]과 교류한터라 오히려 [[광주송정역]], [[나주역]]으로 많이 간다.] == 도로 == ===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 === [[남해고속도로]] [[강진무위사IC|강진무위사 나들목]]이 있다. 2026년에 [[강진광주고속도로]]가 개통이 되면 [[순천시]] 다음으로 전남의 두 번째 고속도로 요충지가 될 전망이다. === [[국도]] === [[2번 국도]], [[13번 국도]], [[18번 국도]], [[23번 국도]], [[77번 국도]]가 있다. 주요 국도 상황은 다음과 같다. * [[2번 국도]]: [[전라남도|전남]] 남해안 시군을 잇는 주요 도로이다. [[영암군]] 학산면에서 넘어와 성전면, 강진읍, 군동면을 지나 [[장흥군]] 장흥읍으로 넘어간다. 현재 [[2번 국도]] 전라남도 구간은 모두 왕복 4차로 이상이며, 통행량도 군을 지나는 구간 치고는 비교적 많은 편이다. * [[13번 국도]]: [[해남군]] 계곡면에서 올라와 성전면을 지나 [[영암군]] 영암읍으로 넘어간다. 광주에서 내려온 차량들이 성전에서 강진, 해남, 완도, 진도 방면으로 갈라지기 때문에 [[2번 국도]]와 맞물리는 성전은 나름 교통의 요지이다. 전 구간 왕복 4차로. * [[18번 국도]]: [[해남군]] 옥천면에서 넘어와 도암면을 거쳐 강진읍내에서 2번 국도와 중첩되어 [[장흥군]]으로 넘어간다. 해남에서 넘어오는 고개 구간을 넘으면 전 구간이 왕복 4차로이며, 그 고개 구간도 선형개량이 완료되었다. * [[23번 국도]]: 강진 읍내에서 남하하여 칠량면, 대구면, 마량면을 거쳐 [[장흥군]] 대덕읍으로 넘어간다. 장흥반도 해안을 반시계방향으로 도는 국도이다. 현재 강진 - 마량 구간은 선형 개량 작업이 일부 완료되었고 강진군 시점부에서 금사교차로, 칠량면 우회도로, 대구면 미산삼거리(실제로는 사거리) - 수동교 구간은 왕복 4차로이다. * [[77번 국도]]: [[고금도]]에서 넘어오는 고금대교가 77번 국도에 해당된다. 마량에서 23번 국도와 중첩되어 장흥으로.. === [[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 : [[55번 지방도]] *[[지방도]] : [[819번 지방도]], [[827번 지방도]], [[830번 지방도]], [[835번 지방도]]등이 있다. == 버스 == ===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 [[강진버스여객터미널]]에서 [[고속버스]], [[시외버스]]를 이용한다.[[유스퀘어|광주]]를 잇는 노선과 [[2번 국도]] 목포와 순천을 잇는 노선이 주력이다.[* 주의해야 할 사실은 [[전라북도|전북]]에서는 "강진"을 이 곳이 아닌 '''[[임실군]] 강진면'''으로 가기 때문에 전북에서 이 곳 전남 "강진"을 가려면 '''광주'''로 표시된 시외버스를 타고 [[유스퀘어|유스퀘어(광주종합버스터미널)]]에서 시외버스 타고 와야한다. 그리고 [[센트럴시티|서울호남]]에서 이 곳으로 오려면 '''전남강진'''으로 발권해야 한다.] 강진터미널 외에 관내 시외버스정류장으로 목포방면으로 성전정류소, 고금도방면으로 가우도, 마량정류소가 있다. 전남인재개발원 가는 시외버스도 평일 하루 1회 운행된다. === 농어촌버스 === [[강진군 농어촌버스]]는 인근 [[영암군]]과 [[장흥군]][* 일 6회 강진읍과 장흥읍을 다닌다.], [[완도군]] 일부지역까지 운행하고 있다. 참고로 군 단위 지역 중 드물게 버스도착알림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카카오버스]]와 [[카카오맵]] 등에서 실시간 도착 알림을 받을 수 있다. 다만, 농어촌버스다 보니 대부분 버스들이 하루에 몇 대 운행되지 않으므로 운행 시간표와 함께 참고할 것. 자세한 내용은 [[강진교통]] 문서 참고. == 교통카드 == 교통카드의 경우 [[티머니]]가 주 교통카드로 되어 있으며, [[캐시비]], [[한페이]], [[원패스]]를 호환 이용할 수 있다. 호남권은 대부분 [[마이비카드]] 기반 [[캐시비]]가 독점하고 있는데 꽤 의외인 부분. == 여객선.[[항구]] == 강진군 마량면과 [[완도군]] [[고금도]]를 잇는 고금대교가 개통되기 전까진 마량항을 중심으로 한 연안항로가 발달된 편이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이 곳에서 출발해 [[제주도]]로 가는 정기 여객선을 개통할 계획이라고 하는데 사업이 자꾸 엎어지고 있다. 마량 옆 동네인 [[장흥군]] [[노력도]]에서 출발하던 오렌지호도 단항된 마당에 더 이상 재추진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강진군지역 항만.어항보유현황 연안항 - 강진항(舊신마항) 국가어항 - 마량항 지방어항 - 사초항 어촌정주어항 - 없음 소규모어항 - 가우도항, 구곡항, 구로항, 남호항, 덕동항, 망호항, 목리항, 미산항, 백사항, 봉황항, 서중항, 송학항, 수동항, 수인항, 숙마항, 신평항, 약천항, 용산항, 원마항, 중저항, 하분항, 하저항(22개소) 총 : 25개소(무역항, 어촌정주어항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