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강진주)]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BelligerentSpookyBraveYak, 합의사항1=논란 및 사건 사고 문단에 있는 비난성\, 개인의 주관적 서술\, 유머성 하이퍼링크를 금지한다., 토론주소2=BelligerentSpookyBraveYak, 합의사항2=타 스트리머 저격 문단에 2차 가해 관련 내용을 서술하되\, 개인의 주관적 서술이 아닌 객관적 사실만을 근거로 작성한다.)] [include(틀:사건사고)] [목차] [clearfix] == 개요 == 인터넷 방송인 [[꽃감이]]에 대한 비판과 사건 사고를 정리한 문서이다. == 팀 트럼프 손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러비 꽃감이 트위터 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러비 꽃감이 트위터 2.jpg|width=100%]]}}} || ||<-2> 문제가 된 러비와 꽃감이의 트윗 || [[러비(인터넷 방송인)|러비]], [[꽃감이]], 중상풍과 두뭉이 이루었던 4인조 체제의 크루 '팀 트럼프'로 활동하였으나 다른 대기업 스트리머들과의 합방 과정에서 정작 본인이 소속되었던 크루 멤버들과 심각한 불화를 일으켰다. 이로 인해서 현재 사실상 크루가 해체된 것이나 마찬가지다.[* 크루의 핵심 구성원이 바로 [[러비(인터넷 방송인)|러비]]와 꽃감이 두명이었는데, 이 둘이 서로의 맞저격 트윗으로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넜기에 크루 자체가 존립하지 못하는 상황까지 가버렸다.] 문제는 이전에 본인이 유튜브에서 설명하였듯이 [[러비(인터넷 방송인)|러비]]와 부녀지간 컨셉으로 방송 활동을 시작하였고, 이를 통해서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본인이 직접 설명하였으나[* 현재는 영상이 내려갔다.] 나머지 2명과 함께 4명이 결성한 크루에 금을 가게 만들어버렸다. 이러한 불화를 설명만 하지 않았을 뿐, 트위터 맞저격으로 서로에게 불화가 있다는 것을 그대로 표현하였다.[* 이로 인해 팀 트럼프는 2021년 4월 경 사실상 해체 수순을 밟았다.] 이후 멤버 중에 한명이었던 '두뭉'이 자기 캐릭터의 색깔을 바꾸어버려서 사실상 더이상의 활동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러비, 꽃감이, 중상풍, 두뭉 4명이 각각 파랑색, 빨강색, 초록색, 노란색을 담당하고 있었다.][* 21년 11월 14일 방송에서 [[https://clips.twitch.tv/RudeMuddyGoblinNotLikeThis-tDRNXM3ob1t6gqaP|캐릭터 롤백을 선언]]하면서 노란색이 다시 돌아왔다.] 그와 더불어 꽃감이 본인의 방송에서 러비와 관련된 거의 모든 흔적들을 실시간으로 지우는 [[기록 말살형]]을 내리기도 하였다. 하지만 조회수가 높은 영상은 지우지 않았다. 다만, 이에 대해서 팀 트럼프 자체가 지속적인 활동을 하기에도 무리였다는 의견도 있다.[* 꽃감이의 방송 시청자수는 팀 트럼프가 생기기 이전부터 다른 멤버들과 큰 차이가 났다.] 꽃감이 본인만 압도적으로 방송이 비대해진 상황에서[* 꽃감이 방송의 경우 겜방만 해도 평균 500명 대의 시청자이지만, 러비는 100명대, 중상풍과 두뭉은 10명대이다.] 나머지 멤버들을 끌고 가기에는 무리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중상풍 역시 생방송 도중에 발언 논란으로 사고를 쳤기에 활동 역시 뜸해져서 팀 자체가 하락세에 빠지고 있었다. 사실 트위치 스트리머들이 초반에 크루 등의 연합체를 만드는 등 친하게 지내다가 어느 한 쪽이 성장해서 서로가 멀어지는 상황이 그렇게 비정상적인 일은 아니다. 워낙에 한 쪽이 비대하게 사회에서 성장하면 서로가 자연스럽게 불편해져서 서로를 정리하는 건 굳이 인터넷 방송계 안에서만 일어나는 일이 아니다. 그렇다 할지라도 잘 정리할 수 있던 사안을 좋지 않은 감정싸움으로 해체하였다. 해당 사항은 팀원끼리 해결했다고 2021년 9월 29일 해명 방송에서 밝혔다. == 타 스트리머 저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꽃감이 트윗 2.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꽃감이 트윗 1.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꽃감이 트윗 3.png|width=100%]]}}} || 꽃감이는 2021년 1월 경에 '윤단'이라는 스트리머를 트위터로 저격한 적이 있다. 이유인 즉슨 자신의 캐릭터와 방송 스타일이 비슷해서라고…[* 이 역시 직접적인 언급만 하지 않았을 뿐, 그동안의 방송 행적을 본다면 해당 스트리머가 윤단임을 알 수 있었다.] 이것도 사실 말이 저격이지, 사실상 해당 피해자를 자신의 팬들을 활용해서 트윗으로 두들겨 패는 [[사이버 불링]]을 저지른 것과 같다.[* [[사이버 불링]]은 피해자에게 큰 정신적 피해를 줄 수 있는 심각한 범죄이다.] || [[파일:꽃감이 타임라인 수정.png|width=250]] || 실제로 일부 시청자들은 [[트짹이]]짓에 동조하여 무고한 다른 사람들을 공격하는 상황마저 펼쳐지고 있는데 이를 철저히 외면하고 있다. 무시하는것을 넘어 이를 지적하는 다른 시청자들의 채팅이나 트윗 등을 무시하고, 차단을 하는 등 합당한 비판마저 받아들이지 않았다. 기본적으로 꽃감이 본인과 해당 스트리머의 캐릭터는 어느 정도 공통점을 두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두 캐릭터 모두 분홍색 컬러에다가 토끼 귀를 가진 수인캐고, 주력 방송 컨텐츠가 노래다.] 하지만 단순히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꽃감이 본인의 방송 스타일을 훔쳐간 거라고 단정지을 수 없다. 기본적으로 자캐가 많이 쓰이는 트위치 방송의 경우, 분홍색 토끼 수인캐를 사용하는 스트리머들은 상당히 많다.[* 당장 상위 문서에 서술돼있는 다른 스트리머와의 관계에 있는 [[이춘향]] 역시 같은 컨셉의 캐릭터임에도 불구하고 이쪽이랑은 오히려 친하게 지내고자 하고 있다.] 그렇다고 해당 캐릭터를 겹치지 않게 하기 위해 온전히 자신의 특색있는 캐릭터로 만들었다고 볼 수 없다. 자캐를 사용하는 다른 스트리머의 경우 다른 사람들과 컨셉이 겹치지 않도록 차별화된 무언가를 넣는다.[* 대표적인 예시로 [[견자희]]는 붉은 장미, [[모잉]]은 보라색 장미, [[새우새우]]는 주황색 새우를 사용한다.] 더군다나 해당 캐릭터의 소유권을 밟기 위한 절차를 거치지도 않았다. 트위치 스트리머 [[쁘허]]의 경우, 무단 2차 창작물의 방지를 위해서지만, 직접 본인이 사용하는 캐릭터에다가 저작권을 부여 받아서 이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법적인 절차를 밟았다. 이러한 절차를 거치지도 않은 채 그냥 닮았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트윗으로 저격을 하여 [[갑질]]을 한 것. 해당 저격 이후, 결국 윤단은 꽃감이의 트윗과 더불어 이에 가세한 일부 시청자들의 공격에 결국 자신이 사용하던 자캐를 내렸다.[* 현재는 다시 사용 중이다.] 하다 못해 정 서로의 컨셉이 겹치는 것이 불편했다면, 서로 대화를 통해 뒤에서 좋게 해결하면 될 사안이었으나, 기어이 트윗으로 공개적으로 면박을 준 것이다. 이러한 논란을 일으켰던 또 다른 인물로는 자신과 그림체가 비슷하다는 이유로 쏨벵이 시절 사이버 불링을 시전한 크리에이터 [[삼시보]]가 있고, 해당 예시를 보면 알겠지만 저격을 당한 당사자에게 어떤 상황이 벌어질지는 안 봐도 뻔하다. 이러한 논란을 본인 역시 의식해서인지, 꽃감이는 해당 트윗들을 전부 삭제하였다. 또한 자캐를 리뉴얼하여 금색 뿔테 안경 등의 포인트를 가진 캐릭터로 변경하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꽃감 윤단.jpg|width=100%]]}}} || || 뒤에 남은 것은 어색한 트윗 뿐이었다. || === 해명 방송 === 9월 30일 새벽, 트위터에 윤단과의 디스코드 대화 내용과 함께 [[https://twitter.com/flowergam0326/status/1443237966399172610|사과의 내용을 담은 트윗]]이 올라왔다.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left" 주변에서 네 캐릭터와 비슷한 것 같다고 열 명 가까이쯤한테 들었고 내가 저작권 등록을 한 것도 아니지만 기분 나빴다. "내 캐릭터 보고 참고하신건가?" 했다 그 분이 내 방송도 보신 분이니까 김칫국 드링킹 한 사발 한 거죠. 자세히 알기 전까지 기분이 상당히 나빴다. [*도네 지들끼리 또 싸우고 있네요.] 싸우든 말든 난 내 할 말 하겠다고 [[매듭 자르기의 오류|이 새끼 쓰레기네 생각하면 내 방송 보지 마세요]] 아니 뭐 어린 놈의 새끼의 방송 왜 보시는건데요 그렇게 신경 쓰시면 당사자분이 자꾸 [[디시인사이드|커뮤니티]]에 글이 올라오고 나도 올라오고 난리가 난거에요 근데 괜히 나 때문에 피해를 입으셨잖아? 주변인들도 그걸 보면서 아니꼽게 보신 분들도 없잖아 있었어요. 그렇게까지 일 커지게 만들려 한 건 아니었지만 개인 DM으로 잘 풀고, 아니 푼 것도 아니고 내가 그 분한테 죄송하다고 계속 사과했어요. 나무위키는 기재할 사람은 하세요. 사람마다 관점이 달라서 제가 백날백번 이야기해 봤자 날 싫어하는 사람은 날 가해자라 생각하지 무조건 피해자라 생각하지 않아요. 제 잘못은 있지만 개인적인 사적인 공간에서 잘 풀었던 것을 마치 라노벨 소설처럼 쭈르륵 쓴 게 어이가 없네요. 글쓰는 사람들은 본인들이 익명이니 못할 말 할 말 다하시겠죠 성희롱이나 욕 충분히 듣고 있고.. 저도 17살에 이런 시련을 겪는 게 신기하다 생각하고요. 제가 멘탈이 터질 거였으면 예전에 디시인사이드에서 좌표 찍혔을 때 진작 터지지 않았을까요? 오늘 일로 인해 커뮤니티에서 저에 관해 이야기하겠지만 전 방송 계속 할 겁니다. 알아서들 판단하세요. 물론 저도 제가 했던 실수로 저도 고쳐가고 있고 제가 어려서 아 어리단 말은 안 할게요 이거 또 어린거 방패 삼는다 이 소리 하실까 봐요. 사람 대 사람으로 배워나간다고 생각합니다. 그만큼 반성을 하고 행동을 고쳐 나가려고 하고 있습니다. 좀 어이가 없긴 해요. 에휴 슈발. 욕하는거는 제 행동에 대해 욕하는 거지 그 대상자들에게 하는게 아니에요. 에휴 잠도 제대로 못 자가지고 정신도 오락가락해가지고 약간 깔끔하게 내용을 정리 못한 점 죄송합니다. 자 마지막으로 딱 한줄평~ 확실하게 알지 못하면 공개적으로 올리시지 말아주시길 바랍니다. 하지만 뭐 이렇게 이야기한다 해서 저를 싫어하는 사람들은 저를 끝까지 이렇게 평가를 할 거고 끝까지 저에 대한 이야기를 이어나가며 저에 대한 [[토론#나무위키에서의 토론|토론]]을 이어나가실게 분명하고요. 저는 그거 신경쓰지 않겠습니다.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라|저를 싫어하시는 분들은 그냥 방송보지 마세요. 알 바 아니에요.]] 네 이걸로 마무리 짓겠습니다.}}}}}} || || 2021년 9월 29일 방송에서 발언한 내용 전문 || === 당일 방송의 문제점 === 우선 '팀 트럼프'와 관련된 사항의 경우, 중상풍과 관련된 논란 때문에 해당 크루 자체가 지속되기 어렵다고 나와있었다. 하지만 이것이 문제가 된 이유 또한 위에서 나오지만, 본인이 이미 이전에 다른 멤버였던 [[러비(인터넷 방송인)|러비]]를 향한 맞저격 내용을 트위터에다가 올린 것이 사건의 시초였다. 본인 말대로 뒤에서 조용히 뒤에서 합의를 보고 끝난 사항이라면 별다른 문제가 없었겠지만, 해당 내용을 올린 것은 다름 아닌 꽃감이 본인이었다. 그리고 사실 더 심각한 사안이었던 '타 스트리머의 저격' 사안에 대해서도 제대로 짚고 넘어가지 않은 것이 많다. 해당 사안에 관한 문제를 보면 알 수 있지만, 본인이 위에서 말한대로 '성희롱이나 욕설 등의 피해를 직접 경험해 본 당사자가 막상 똑같은 짓을 트위터에다가 했던 것'이 된다. 더군다나 위에 있는 트윗들을 보면 알 수 있지만, 단순히 본인이 주변에서 10번 넘게 들었던 내용이라 할 지라도, 해당 사안에 대한 저격을 한 것 역시 꽃감이 본인이라는 것이 문제가 된다. '윤단'이 캐릭터를 바꾼 것은 해당 저격을 한 이후였다. 따지고 보면 꽃감이 본인이 캐릭터가 겹친다면 본인이 직접 상징을 부여하는 것이 맞는 행동이며, 디스코드 등에서 잘 이야기했다는 내용도 모두 트위터에서의 저격 이후 일이였다. 결정적으로 당일 해명 방송을 진행한 방식 역시 문제가 되었다. 해당 사안을 전달받았다면, 해당 내용을 어느 정도 숙지한 다음 며칠 뒤 정리해서 이야기해야 될 사항을 당일 전달받은대로 막무가내로 한 것이었다. 그렇다고 해당 방송에 진정성이 담겨 있었는지도 의문점이 들 수 있는 부분들이 여러 가지가 있었다. 해당 방송에서는 '팀 트럼프'에 관한 내용이 주가 되어서 막상 온전히 본인의 책임이었던 '타 스트리머 저격' 사안에 대해서 묻어가는 것은 물론, 나무위키에 위 사건을 적은 작성자를 비아냥대는 태도를 보이고, 마지막에 결정타로 "확실하게 알지 못하면 공개적으로 올리시지 말아주시길 바랍니다. 하지만 뭐 이렇게 이야기한다 해서 저를 싫어하는 사람들은 저를 끝까지 이렇게 평가를 할꺼고 끝까지 저에 대한 이야기를 이어나가며 저에 대한 [[토론#나무위키에서의 토론|토론]]을 이어나가실 게 분명하고요. 저는 그거 신경쓰지 않겠습니다.", "[[매듭 자르기의 오류|저를 싫어하시는 분들은 그냥 방송보지 마세요 알 바 아니에요.]]"라고 말해 해당 사건의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차라리 본인이 '많이 미성숙하게 대처하였고, 해당 사안들에 대해서 본인의 잘못이 있는 것 역시 인정하고 있으며, 이번 기회에 문제가 되었던 내용들에 대해서 풀어가고자 한다. 다만 지나친 억측은 자제 바란다.'는 식으로 마무리 지었다면 어느 정도 여론을 회복할 수 있었겠지만, 해명할 수 있던 기회를 스스로 날려버렸다. 그리고 이로 인한 재발 방지 등과 관련한 약속 또한 없었다. 트위터로 비슷한 물의를 일으켰던 스트리머 [[견자희]]의 경우, 진심어린 사과와 동시에 트위터 계정을 삭제해서 어느 정도 민심을 되찾았다. == 오조오억 단어 사용 == 2021년 11월 20일, 꽃핀과의 생방송 당시 [[오조오억]]이라는 말을 사용하여 논란이 되었다. [[https://clips.twitch.tv/NastySpinelessOwlFutureMan-pwMoQWXQkoxDFOXX|당시 생방송 클립]] 3개월이 지난 2022년 2월 20일, 후술된 이터널 리턴 관련 사건에서 자신을 꽃감이라고 밝힌이의 [[https://gall.dcinside.com/mini/ertv/10854|사과문]]에 따르면 '자신의 발언은 아무 것도 모르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한 것이고 그에 관련하여 항상 발언에 신경쓰고 조심하도록 하겠다.'며 책임감을 지고 있다고 밝혔다. == [[이터널 리턴]] 테마곡 담당 관련 해프닝 == 해당 내용은 [[이터널 리턴/논란 및 사건 사고#시즌 5 사냥 ER 패스 보상 논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이터널 리턴]]의 시즌 5 사냥 ER 패스에 등록된 엠마의 테마곡을 꽃감이가 담당하게 되면서 생긴 일련의 논란. 이 경우에는 꽃감이가 이터널 리턴 갤러리의 일부유저들에게 악플 피해를 입은 경우다. 이후 적절한 대응으로 이터널 리턴 유저층에게 응원을 받았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꽃감이, version=1202, paragraph=5)] [[분류:강진주]][[분류:인물별 비판]][[분류: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사건 사고]][[분류:대한민국의 인물별 논란]][[분류:트위치/스트리머/사건 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