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現 서울특별시 정무부시장, rd1=강철원(정치인), other2=에버랜드의 사육사, rd2=강철원(사육사), other3=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출연자, rd3=품행제로 철원)] ||
'''{{{#000000 강철원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두산 베어스 우승 엠블럼 V1.svg|height=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br]우승반지''' || || '''[[1982년 한국시리즈|{{{#ffffff 1982}}}]]''' || ---- ||<-5>
'''{{{#ffffff [[OB 베어스|'''{{{#ffffff OB 베어스}}}''']] 등번호 23번}}}''' || || 팀 창단 || {{{+1 →}}} || '''{{{#ffffff 강철원[br](1982~1985)}}}''' || {{{+1 →}}} || 마수진[br](1987~1988) || ||<-5> '''{{{#ffffff [[청보 핀토스|'''{{{#ffffff 청보 핀토스}}}''']] 등번호 12번}}}''' || || [[양후승]][br](1985) || {{{+1 →}}} || '''{{{#ffffff 강철원[br](1986)}}}''' || {{{+1 →}}} || 이동수[br](1987) || }}} || ---- ||<-2> [[파일:강철원_1982.jpg|width=100%]] || ||<-5> '''{{{+2 강철원}}}[br]姜哲元 | Kang Cheol-won''' || ||<|2> '''출생''' ||[[1958년]] [[1월 27일]] ([age(1958-01-27)]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청원고등학교(서울)/야구부|동대문상고]]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언우타]] || || '''프로입단''' ||1982년 [[OB 베어스]] 창단멤버 || || '''소속팀''' ||[[농협 야구단]] (1977~1979) [br] [[OB 베어스]] (1982~1985) [br] [[청보 핀토스]] (1986) || ||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성무 야구단]] (1980~1981)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직 [[KBO 리그|한국프로야구]] 선수. [[OB 베어스]]의 창단 멤버이자 [[1982년 한국시리즈|원년 한국시리즈]] 우승 멤버이다. [* 베어스의 첫 한국시리즈 등판 투수이기도 하다.] 현역 시절 곱상한 외모와 늘씬한 체격 때문에 '''미스 강'''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었다. == 선수 경력 == [[청원고등학교(서울)/야구부|동대문상고]]를 졸업하고 1977년 [[한국실업야구|실업야구]] [[농협 야구단|농협]]에 입단하여 활동했으며, [[상무 야구단|성무(공군)]]에서 병역을 마쳤다. [[1982년]] 한국프로야구 출범과 함께 [[OB 베어스]]의 창단 멤버로 프로에 입문했으나, 어깨 부상으로 인하여 전기리그는 출전하지 못하고 후기리그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선수단에 합류했다. 그 해 8경기에 등판(완투 3경기)하여 5승 무패에 평균자책 2.18로 제법 활약을 보인 강철원은 그를 눈여겨 보던 투수코치 [[김성근]]에 의해 허리 부상으로 전력에서 이탈한 [[박철순]](3차전부터 출전하긴 했지만) 대신 [[1982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1차전에 깜짝 선발로 등판했다. 상대인 [[삼성 라이온즈]]의 선발투수는 같은 해 15승을 거둔 [[권영호(야구선수)|권영호]]였고, 이름값부터 삼성으로 승부의 추가 기울어지는 듯 했지만 예상 외로 강철원은 주무기인 각도 큰 커브와 우타자 몸쪽을 파고드는 역회전 볼, 그리고 지저분한 투구폼으로 삼성 타선을 현혹시키며 6회초 [[함학수]]에게 2점 [[홈런]]을 허용한 것 외에는 나무랄 데 없는 호투를 선보였다. 3대 2로 OB가 앞서던 9회초에 [[배대웅]]에게 통한의 동점 2루타를 얻어맞았지만, 후속 타자를 범타 처리한 후 10회부터는 [[선우대영]]에게 마운드를 넘겼다. 이날 1차전은 15회를 꽉 채우는 혈투 끝에 3대 3 무승부로 끝났지만 강철원은 9이닝 3피안타 3실점으로 제 몫 이상을 하면서 박철순의 공백을 어느 정도 메꿀 수 있었다. 이후 강철원은 양 팀이 1승 1무 1패로 맞선 4차전에 선발로 마운드에 올랐지만 1차전과 달리 삼성 타자들에게 두들겨 맞고 3이닝 4실점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다행히 이날 OB는 7회초 타선이 폭발하고 [[황태환]]과 [[박철순]]이 이어던진 마운드가 실점을 최소화하며 7대 6으로 역전승했고, 5, 6차전을 내리 승리하며[* 특히 6차전은 [[김유동]]의 9회초 쐐기 만루홈런이 있었기에 더욱 극적이었다.] '''원년 우승'''이란 영광을 안을 수 있었다. 1983년 시즌, 강철원은 전기리그에서만 4연승을 거두면서 전년도 포함 '''9연승으로 투수 데뷔 후 최다 연승기록'''[* 1992년 [[삼성 라이온즈]]의 신인 [[오봉옥]]이 13연승을 거두면서 이 기록은 깨졌다.]을 세우는 등 신들린 활약을 보였지만 그 해 시즌 중반 어깨 통증이 재발하여 병원에서 진찰을 받은 결과 어깨뼈 주변의 뼛조각 세 개가 발견되었다. 지금 같으면 수술로 제거할 수 있었겠지만 당시 투수에게 어깨 수술은 선수생명 종료와 마찬가지라는 인식이 야구계에 강하게 퍼져 있었고, [[진통제]]에 의지하여 재활 위주로 다시 일어서려 했으나 통증을 떨쳐내지 못하면서 강철원의 기량은 내리막을 탔다. 1984~1985년 시즌 각 3경기 등판에 그친 강철원은 [[1986년]] 2대 2 [[트레이드/KBO리그/1980년대|트레이드]][* [[김호근]], 정문섭(청보) ↔ 강철원, 정선두(OB)]로 [[청보 핀토스]] 유니폼을 입었지만 이렇다 할 활약 없이 그 해를 마지막으로 그라운드를 떠났다. 그의 5시즌 통산 성적은 '''39경기 출장, 9승 4패, 평균자책 5.02'''이다. == 은퇴 이후 == [[파일:강철원_화방.jpg|align=center]] [[https://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20&aid=0002010709|강철원 “공 대신 캔버스 쥐었을 뿐…내 인생은 아직도 프로”]] 현역 생활을 마감한 강철원은 [[도봉구]] [[우이동]]의 자택 부근에 화방(畵房)이 매물로 나오자 사회 경험이나 쌓자는 생각으로 그 화방을 사들였는데, 처음에는 [[액자]]나 [[캔버스]]를 만드느라 선수 시절보다 손에 더 많은 굳은살이 박힐 정도로 고생했지만 예상 외로 장사가 잘 되면서 제 2의 인생을 개척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후 화방을 제법 큰 규모로 키워서 [[잠실새내역]] 부근으로 이전하여 운영 중이라고 한다.[[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527&aid=0000000359|참조 기사]] == 연도별 주요 성적 == ||<-16>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1982 ||<|4> [[OB 베어스|OB]] || 8 || 45⅓ || 5 || 0 || 0 || 1.000 || 2.18 || 36 || 1 || 24 || 15 || 12 || 11 || 1.30 || || 1983 || 17 || 62⅔ || 4 || 2 || 0 || 0.667 || 6.32 || 72 || 12 || 30 || 21 || 44 || 44 || 1.52 || || 1984 || 3 || 3⅔ || 0 || 0 || 0 || - || 7.36 || 4 || 1 || 3 || 0 || 4 || 3 || 1.91 || || 1985 || 3 || 5⅓ || 0 || 0 || 0 || - || 3.38 || 7 || 0 || 1 || 2 || 2 || 2 || 1.50 || || {{{#fff 연도}}} || {{{#fff 소속팀}}} || {{{#fff 경기수}}} || {{{#fff 이닝}}} || {{{#fff 승}}} || {{{#fff 패}}} || {{{#fff 세}}} || {{{#fff 승률}}} || {{{#fff ERA}}} || {{{#fff 피안타}}} || {{{#fff 피홈런}}} || {{{#fff 4사구}}} || {{{#fff 탈삼진}}} || {{{#fff 실점}}} || {{{#fff 자책점}}} || {{{#fff WHIP}}} || || 1986 || [[청보 핀토스|청보]] || 8 || 12 || 0 || 2 || 0 || 0.000 || 9.00 || 17 || 3 || 8 || 3 || 12 || 12 || 1.83 || ||<-2> '''[[KBO 리그|KBO]] 통산'''[br](5시즌) || 39 || 129 || 9 || 4 || 0 || 0.692 || 5.02 || 136 || 17 || 66 || 41 || 74 || 72 || 1.48 || ||<-3> {{{#ffffff 완투, 완봉기록}}} || || 연도 || 완투 || 완봉 || || 1982년 || 3완투 || 0완봉 || || 1983년 || 1완투 || 0완봉 || || 통산 || 4완투 || 0완봉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1958년 출생]][[분류:우완 투수]][[분류:우언우타]][[분류:OB-두산 베어스/은퇴, 이적]][[분류:삼미 슈퍼스타즈-청보 핀토스-태평양 돌핀스-현대 유니콘스/은퇴, 이적]][[분류:청원정보산업고등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