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 강태원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4>
[br][[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6.svg|width=50]][[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7.svg|width=50]][[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8.svg|width=50]][[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9.svg|width=50]][br]'''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1991년 한국시리즈|{{{#ffffff 1991}}}]]''' || '''[[1993년 한국시리즈|{{{#ffffff 1993}}}]]''' || '''[[1996년 한국시리즈|{{{#ffffff 1996}}}]]''' || '''[[1997년 한국시리즈|{{{#ffffff 1997}}}]]''' || ---- ||
[[KBO 퓨처스리그|[[파일:KBO 퓨처스리그 엠블럼.svg|height=30]]]][br] '''{{{#fff 1993 KBO 퓨처스 남부리그 최우수 평균자책점}}}''' || ---- ||<-5>
'''{{{#fff [[해태 타이거즈|'''{{{#ffffff 해태 타이거즈}}}''']] 등번호 51번}}}''' || || 결번 || {{{+1 →}}} || '''{{{#ff0000 강태원[br](1989~1990)}}}''' || {{{+1 →}}} || 김성훈[br](1991~1993) || ||<-5> '''{{{#ffffff [[해태 타이거즈|{{{#ffffff 해태}}}]]{{{/}}}[[KIA 타이거즈|{{{#ffffff KIA 타이거즈}}}]] 등번호 20번}}}''' || || 기영록[br](1990) || {{{+1 →}}} || '''{{{#f01e23 강태원[br](1991~2001)}}}''' || {{{+1 →}}} || [[오봉옥]][br](2002~2003)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강태원 신안산.jpg|width=100%]]}}} || ||<-2> '''{{{+2 강태원}}}[br]姜泰遠 | Kang Tae-won''' || ||<|2> '''출생''' ||[[1971년]] [[5월 15일]] ([age(1971-05-15)]세) || ||[[전라남도]] [[순천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해남옥동초 - 화순중 - [[순천상업고등학교 야구부|순천상고]]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89년/신인드래프트#s-4.1.7|1989년 고졸 연고구단 자유계약]] ([[해태 타이거즈|해태]]) || || '''소속팀''' ||'''[[해태 타이거즈|해태]]-[[KIA 타이거즈]] (1989~2001)''' || || '''지도자''' ||[[전주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2017) [br] [[광주동성중학교]] 야구부 코치 (2018) [br] [[세한대학교 야구부]] 코치 (2019) [br] [[덕수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2020) [br] 안산 U-16 클럽팀 코치 (2021~2022)[br][[신안산대학교]] 야구부 감독 (2022~) || || '''프런트''' ||[[KIA 타이거즈]] 스카우트 (2002~2009) [br] [[삼성 라이온즈]] 스카우트 (2010~2016) [br] [[kt wiz]] 스카우트 (2017) || [목차] [clearfix] == 개요 == 現 [[신안산대학교 야구부]]의 감독이자 前 [[해태 타이거즈|해태]]-[[KIA 타이거즈]]의 좌완투수. 해태에서 보기 드문 왼손잡이로 주로 마당쇠로 전천후 등판하며 활약을 했다. 여담으로, 80년대~2000년대까지 타이거즈에서 팀을 한 번도 옮기지 않고 원클럽맨으로 뛴 유일한 선수다. == 선수 경력 == [[광주동성고등학교 야구부|광주상고]]에 입학했으나 [[순천상업고등학교 야구부|순천상고]]로 전학하여 졸업한 뒤[* 당시 동기생이 [[이경복]], [[조웅천]]이었고, 조웅천과는 둘 다 팀의 간판 미들맨이었던지라 현대와 해태가 맞붙은 [[1996년 한국시리즈]]나 [[홀드(야구)|홀드]] 제도가 처음으로 도입된 2000년에 조웅천과 강태원을 라이벌로 엮은 기사가 종종 나오곤 했다.] 1989년에 입단한 후, 두각을 보이진 못했으나 꾸준히 실력을 키워 오다, 1994년부터 본격적으로 주축선수로서 활약했다. 최고 구속이 135km/h로 야구 선수로서는 다소 불리했으나, 타자와의 수싸움에[* 상단의 사진에서 보듯 표정 변화가 별로 없다. 1류 도박사처럼 속내를 쉽게 드러내지 않으면서 타자들과 머리 싸움을 할 수 있는 선수였다는 것.] 진가를 발휘하며 자리를 잡아갔던 것. 1995년부터는 선수 달력에서도 제법 크게 사진이 실리는 등 비중이 부쩍부쩍 늘어났다. 2001년 은퇴할 때까지 '왕조'의 최전성기 막바지에 데뷔하여 후기 왕조에 기여하고 해태의 쇠퇴기를 함께한 선수. 통산 성적은 16승 24패 6세이브 6홀드 평균자책점 4.39. 커리어하이는 1995년. 십년을 넘게 뛰었음에도 [[차명석]]이나 [[방수원]], [[송유석]]처럼 홀드가 늦게 집계되어 성적에서 꽤 손해를 본 케이스. 여담으로 [[김응용 감독 참외 사건]]의 원인 제공자이기도 하다. == 은퇴 후 == 현역 은퇴 후 [[KIA 타이거즈]], [[삼성 라이온즈]], [[kt wiz]] 등 다수의 프로야구단에서 스카우트로는 활동했으나 지도자의 연과는 닿지 못했다. 2017년 kt wiz의 스카우트를 그만둔 후 전주고등학교 야구부 코치를 시작으로 광주동성중학교, 세한대학교, 덕수고등학교, 안산 U-16 클럽팀 등 코치를 역임하다가 2023년 새롭게 창단된 [[신안산대학교 야구부]]의 초대 감독으로 선임됐다. == 플레이 스타일 == 인터벌이 역시 느린 공 투수였던 당시 삼성의 [[성준(야구선수)|성준]]과 맞먹는 '공포의 투수'이기도 하다. 한동안 농담소재로 곧잘 쓰였던 '''[[박한이]] vs. [[성준(야구선수)|성준]]'''은 성준이 1999년에 은퇴한 후 [[박한이]]가 입단하면서 상상으로 남았지만, '''강태원 vs. 성준''' 두 '라이벌' 간의 대결은 이미 수 차례 펼쳐진 바 있다.[* [[이병훈(야구)|이병훈]] 해설위원이 "강태원과 성준이 맞대결을 펼치면 경기 막바지에 어느새 수염이 덥수룩하게 나 있더라"라는 우스갯소리를 한 적이 있고 2004년 브레인 서바이버에 나와 추가로 썰을 풀기를, 경기 시작 전에 경기 끝나고 가질 지인과의 술 약속을 잡고 시간까지 정해놨다가 선발 매치업이 강태원 vs 성준이면 그 지인에게 다시 전화해 '''"야 그냥 전화하면 나와"'''라고 얘기했다고 한다.] 구종이 별로 많지 않았는데, 이 때문에 [[LG 트윈스]]에서 이적해 온 [[이병훈(야구)|이병훈]]이[* 이 무렵이 [[김응용]] 감독이 "타자로 대성할 선수"라며 이 선수에게 '''애정어린 갈굼'''을 시전하던 시기. 나중의 갈등과는 별개로 "대성할 수 있었는데, 술이 그를 망치고 말았다."며 인터뷰에서 안타까움을 표시한 바 있다.] "구종도 많지 않으면서 왜 그리 포수 사인을 자주 거부하느냐?"고 묻자, "그렇게 하면 [[블러핑|'''상대가 내 구종을 쉽게 짐작못할 것''']]"이라 답했다고 한다.[* 이병훈이 해설가로 활동할 무렵 이 일화를 얘기하며, "우리 마누라도 강태원 구종이 2개인거 다 알아요!"라며 너스레를 떨었다.] == 여담 == * 표정을 쉽게 드러내지 않았던데다, 얼굴까지 +5살 ~ +10살의 [[노안]]이었기 때문에, 이따금 해프닝도 있었다고 한다. 사우나에서 [[김성한]] 전 감독이 "나이도 젊은 놈이 그라운드에서 땀을 빼야지 왜 여기서 땀을 빼냐?"고 꾸짖자, 그걸 들은 나이 지긋한 분이 "왜 나이든 사람한테 함부로 말하냐"고 오히려 [[김성한]] 감독을 나무랐다고 한다.[* 강태원이 1971년 5월생이고 [[김성한]] 감독이 2001년에 취임했으니, 이제 갓 서른 넘겼을 때 생긴 일이다.][* 여전히 노안인지라 전설의 타이거즈 방송에서 최해식이 이를 갖고 '웬 할아버지가 나와서 방송하는 줄 알았다'며 놀리기도 했다.] * [[이승엽]]의 홈런 기록과 관련된 인연이 많은데, [[1997년]] 시즌 말 이승엽에게 시즌 31호 홈런을 헌납하며 홈런왕 경쟁에서 30개로 동률이었던 같은 팀의 [[이종범]]과의 경쟁에서 앞서나가게 한 경험이 있으며[* 최종 성적은 이승엽 32개, 이종범 30개로 딱 두개 차이였다. 덕분에 볼넷을 내주지 홈런을 맞냐고 농담삼아서 욕을 살벌하게 먹었다고 한다.], [[1999년]] [[7월 25일]]에는 시즌 42호 홈런을 헌납한 적이 있다. [[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01&aid=0004408475|뉴스기사]] 이는 전년도 [[타이론 우즈]]가 수립했던 시즌 최다 홈런의 타이 기록이었으며, 이후 이승엽은 홈런을 12개 더 치면서 시즌 최다 홈런을 경신한다. 여담으로 장외 홈런이었다고. 그리고 그 시즌 이승엽의 54호 홈런도 헌납했다. * 은퇴 직전 [[이상윤(야구선수)|이상윤]][* 강태원이 은퇴하던 시기, 해태 투수코치였다.]의 제안으로 2002년부터 2009년까지 [[KIA 타이거즈]]의 스카우트를 맡았다가 [[삼성 라이온즈]], [[kt wiz]] 스카우트도 경험했다.. 삼성 시절에 삼성 프런트 직원들은 무려 [[안한수|영감님]]이라고 부른다고. * 2021년 7월 [[이건열]]과 함께 [[전설의 타이거즈]] 7회 녹화를 마쳤으며 8월에 방영되었다. * [[전설의 타이거즈]] 8월 26일 공개분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김선빈]]의 계약금을 1천만원 내려치려던 [[정재공|단장]]의 패악질을 막았다고 한다. 내려치려던 이유가 "신장이 이렇게 작은데 야구를 얼마나 잘하겠냐, 회삿돈을 니들 맘대로 쓰냐?"라는 식이었다고. 3번째에 겨우 원안대로 승인받았는데, 이후 김선빈이 데뷔시즌부터 빼어난 활약을 보여주자 술자리에서 사과받았다고 한다. * [[전설의 타이거즈]] 출연 후 [[김성한]], [[최해식]]이 출연한 후속편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탈모가 있다고 한다. 사실 방송 중 선배인 [[이건열]] 앞에서도 계속 실내에서 모자를 착용하고 있었다.[* 서양식 모자는 실내에서 벗고 실외에서만 착용하는게 모자 착용 예의에 해당한다.] 가발을 착용하고 방송에 출연한 최해식의 ' 가발 하나 100만원 밖에 안 하는데 안 산다고?'라는 발언에 더해 모자를 안 벗긴 것은 제작진의 실책이었다는 김성한의 합작 디스는 덤이었다. * 별명은 쌀봉이. [[전설의 타이거즈]]에서 본인이 밝히길 고교 졸업 후 입단해서 매일 부페식으로 식사가 제공되자 계속 선배들 테이블 앞을 지나가며 밥을 많이 먹는다고 해서 [[김종모]]가 붙여준 별명이라고 한다. * 유독 긴 인터벌이 특징이었다. 1루수 이건열은 마운드로 가서 "힘들어 죽겠다. 빨리 좀 던져라"하고 타박하고, 중견수 이순철은 공수교대 후 덕아웃에서 "아야, 너 이리로 와 봐봐"하면서 한소리했다고 한다. * 전설의 타이거즈 미방영분에서 강태원이 스스로 밝힌 일화로 신인 시절 라커룸에 앉아있는 강태원을 보고 선배로 착각한 이강철, 이광우, 조계현, 문승훈, 김태완, 윤재호가 다 인사를 했다. 고교 졸업후 프로로 직행한 강태원과 달리 이들은 대졸 선수들로 적어도 4세 위로, 해태가 워낙 군기가 센 팀이라는 걸 대졸 신인들도 알고 있기 때문에 인사를 철저히 했다고 한다. 인사를 처음엔 받았다가 나중에 '선배님 제가 4살 아래입니다' 슬쩍 말하자 '야 이 xx야! 그럼 진작 말했어야지!'라고 역공을 당했으며 상대팀 선배선수들도 강태원에게 인사를 할 정도였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분류:순천시 출신 인물]][[분류:순천효산고등학교 출신]][[분류:1971년 출생]][[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좌타]][[분류:해태-KIA 타이거즈/은퇴, 이적]][[분류:원클럽맨/야구]][[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89년 데뷔]][[분류:2001년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