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선수단)] || '''{{{#ffffff 강혁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한국프로농구 감독)] ---- ||
'''{{{#ffffff 강혁의 수상 및 명예}}}'''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KBL 챔피언 결정전 우승 반지''' || || '''[[2000-01 KBL 챔피언결정전|{{{#ffcc33 2001}}}]]''' || '''[[2005-06 KBL 챔피언결정전|{{{#ffcc33 2006}}}]]''' || ---- [include(틀:역대 MBC배 전국대학농구대회 MVP)] ---- [include(틀:KBL 역대 플레이오프 MVP)] ---- [include(틀:KBL 역대 식스맨상)] ---- [include(틀:KBL 역대 모범선수상)] ---- [include(틀:KBL 월간 MVP/2005~2010)] ---- [include(틀:KBL 수비 5걸상/2000~2005)] ---- [include(틀:KBL 수비 5걸상/2005~2011)] ---- }}} || || '''{{{#ffffff 강혁의 역임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서울 삼성 썬더스/주장)] ---- [include(틀: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주장)] ---- [include(틀: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역대 감독)] ---- }}} || || '''{{{#ffffff 강혁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cc33 [[서울 삼성 썬더스|'''{{{#ffcc33 수원 삼성 썬더스}}}''']] 등번호 8번}}}''' || || [[김택훈]][br](1998~1999) || {{{+1 →}}} || '''{{{#074ca1 강혁[br](1999~2000)}}}''' || {{{+1 →}}} || [[김희선(농구)|김희선]][br](2000~2003) || ||<-5> '''{{{#ffcc33 [[서울 삼성 썬더스|'''{{{#ffcc33 서울 삼성 썬더스}}}''']] 등번호 7번}}}''' || || G.J. 헌터[br](1999~2000) || {{{+1 →}}} || '''{{{#074ca1 강혁[br](2000~2001)}}}''' || {{{+1 →}}} || [[이영준(농구)|이영준]][br](2002~2003) || ||<-5> '''{{{#ffcc33 [[서울 삼성 썬더스|'''{{{#ffcc33 서울 삼성 썬더스}}}''']] 등번호 7번}}}''' || || [[이영준(농구)|이영준]][br](2002~2003) || {{{+1 →}}} || '''{{{#074ca1 강혁[br](2003~2011)}}}''' || {{{+1 →}}} || [[이병석(농구)|이병석]][br](2011~2012) || ||<-5> '''{{{#ffffff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ffffff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등번호 7번}}}''' || || [[이병석(농구)|이병석]][br](2010~2011) || {{{+1 →}}} || '''{{{#ffffff 강혁[br](2011~2013)}}}''' || {{{+1 →}}} || [[박성진(농구)|박성진]][br](2013~2016)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3d4498 0%, #3d4498)" {{{+1 {{{#ffffff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감독'''}}}}}}}}} || ||<-3> {{{#3d4498 '''DAEGU KOGAS PEGASUS'''}}}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강혁 2023-24.png|width=100%]]}}} || ||<-3> '''{{{+2 {{{#3d4498 강혁}}}}}} [br] {{{#3d4498 姜赫}}}''' || ||<|2><-2> {{{#ffffff ''' 출생 ''' }}} ||[[1976년]] [[9월 16일]] ([age(1976-09-16)]세) || ||[[경기도]] [[오산시]] || ||<-2> {{{#ffffff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ffffff ''' 신체 ''' }}} ||[[키(신체)|키]] 188cm|[[체중]] 82kg || ||<-2> {{{#ffffff ''' 직업 ''' }}} ||농구선수([[슈팅 가드]], [[포인트 가드]] / ^^은퇴^^)[br][[코치(스포츠)|농구코치]] || ||<-2> {{{#ffffff ''' 학력 ''' }}} ||성산초등학교 {{{-2 (졸업)}}}[br][[오산중학교(경기)|오산중학교]] {{{-2 (졸업)}}}[br][[삼일상업고등학교]] {{{-2 (졸업)}}}[br][[경희대학교/학부/체육대학|경희대학교 체육대학]] {{{-2 (체육학 / 학사)}}} || ||<-2> {{{#ffffff ''' 프로입단 ''' }}} ||[[1999 KBL 국내신인선수 드래프트|1999년 드래프트]] {{{-2 (1라운드 5순위, [[서울 삼성 썬더스|수원 삼성]])}}} || ||<-2> {{{#ffffff ''' 현역시절 등번호 ''' }}} ||8[* 신인 시절. 그 당시 용병이였던 G.J. 헌터가 7번을 사용하면서 달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7 || ||<-2> {{{#ffffff ''' 병역 ''' }}} ||[[상무 농구단]] (2001~2003) || ||<|3> {{{#ffffff ''' 소속 ''' }}} || {{{#ffffff ''' 선수 ''' }}} ||'''[[서울 삼성 썬더스]] (1999~2011)''' [br]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2011~2013)''' || || {{{#ffffff '''코치''' }}} ||[[삼일상업고등학교]] 농구부 (2013~2017) [br] [[창원 LG 세이커스]] (2017~2020) [br] [[창원 LG 세이커스]] D리그 (2019) [br]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인천 전자랜드]]-[[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대구 한국가스공사]] (2020~2023) [br] {{{-2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인천 전자랜드]]-[[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대구 한국가스공사]] D리그 (2020~2023)}}} || || {{{#ffffff '''감독''' }}} ||{{{-2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2023~2024.02 / ^^대행^^)}}} [br]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2024.03~ )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의 前 농구 선수였고 現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의 감독. [[서울 삼성 썬더스]]의 프랜차이즈 스타였으며, 말년에는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에서 뛰었다. [[픽앤롤]] 플레이의 달인이었던 선수. == 선수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육상과 배구를 했지만 얼마 못 가 그만두고 자택 앞 시민회관 체육관에서 농구부가 훈련을 하고 있을 때 들어갔지만 코치가 못 들어간다고 하다가 들어오라고 허락을 하면서 시작했다. 이후 오산중학교에 진학했지만 선후배 간의 서열이나 군기가 강했을 때여서 그만둘까도 생각했다가 농구부가 해체되는 아픔을 겪었다. 삼일상고 3학년때 동기 [[김성철(농구)|김성철]]과 함께 팀을 쌍용기 준우승으로 이끌며 활약했으나, 라이벌인 대전고 [[조상현]]-[[조동현(농구)|조동현]]-[[황성인]] 트리오나 부산동아고 [[조우현]], 휘문고 최훈석 등에 비해 큰 주목을 받지 못했고 청소년 대표에도 뽑히지 못한다. 김성철과 함께 [[경희대학교]]에 진학한 뒤 2학년 때부터 본격적으로 주전으로 뛰면서 [[1996 대학농구연맹전]] 1, 2차대회에서 모두 준우승을 차지하는 등 본격적인 "자줏빛 군단" 돌풍을 이끈다. 특히 '''[[박성배(농구)|박성배]]-강혁-[[손규완]]-[[김성철(농구)|김성철]]-[[윤영필]]'''의 주전 라인업은 대학-실업팀들이 함께 참가하는 마지막 대회였던 [[1996-97 농구대잔치]]에서 기량이 절정에 이르렀는데, 당시 루키 [[정진영(농구)|정진영]]이 가세하면서 파죽지세의 상승세로 실업부 2위에 올랐던 [[전주 KCC 이지스|현대전자]]를 6강 플레이오프에서 2승 1패로 꺾는 이변을 일으킨다. 이후 4강에서 만난 최강 연세대학교와도 접전을 벌였으나 1차전에서 연세대 김택훈(F, 192cm)의 팔꿈치 공격에 센터 [[윤영필]]이 앞니 3개를 잃으며 응급실로 후송되면서 패배, 2차전에선 역시 김택훈(;;)의 팔꿈치에 강혁이 실려나가면서 아쉽게 2패로 탈락하고 만다. 당시 [[김택훈]]의 플레이가 어찌나 심했던지, 대부분 연세대의 호화멤버[* [[황성인]]-[[조동현(농구)|조동현]]-[[조상현]]-[[김택훈]]-[[서장훈]]]를 응원하러 왔던 관객들마저 후반들어 연세대에 야유를 보내며 경희대를 응원할 정도였다.[* 결국 이 때의 연세대는 [[이상민(농구)|이상민]]-[[김승기(농구)|김승기]]-[[조성원]]-[[문경은]]-[[김재훈(농구)|김재훈]]-[[조동기]] 등 호화 라인업의 상무마저 잡고 사상 두 번째 농구대잔치 우승을 차지한다.] 서장훈(4학년)이 그야말로 대괴수로서의 면모를 보인 [[1997 대학농구연맹전|1997 시즌]]에는 연세대가 시즌 전관왕(MBC배, 연맹전, 전국체전, 농구대잔치[* 1997-98 대회때부터 대학팀들만 참가하는 대회로 축소되었다.])을 하는 동안 강혁-김성철-윤영필 트리오의 경희대는 농구대잔치 준우승 포함 2차례 준우승에 머물러야했다. 특히 농구대잔치 예선에선 경희대가 이겼지만, 최종 결승전에서 내리 2패를 당하면서 아쉬움은 더 컸다. 마침내 서장훈이 졸업한 [[1998 대학농구연맹전|1998 시즌]], 강혁은 첫대회인 [[1998 MBC배 전국대학농구대회]]에서 맹활약하며 1991년 전국체전 우승 이후 7년만의 '''전국대회 우승''' 타이틀을 가져오고, 본인은 '''MVP'''에 오른다. 그러나 [[서장훈|골리앗]] 피하니 [[김주성(농구)|주성타]] 만난다고, 1998년엔 [[김주성(농구)|김주성]](중앙대), [[김태완(농구)|김태완]](한양대), [[정훈(농구)|정훈]](성균관대)의 장신 3인방이 입학한 해였고[* 특히 [[송영진(농구)|송영진]]-김주성 더블포스트에 [[임재현(농구)|임재현]]-[[황진원]]-[[조우현]]까지 전원 청소년대표 출신으로 구성된 중앙대가 최종 승자가 되었다.], 이들이 대학농구에 적응하면서 윤영필의 졸업 이후 골밑이 부실해진 경희대는 맥을 못췄다. 이로 인해 강혁-김성철이 이끌던 "자줏빛 군단"의 돌풍은 다소 아쉽게 마무리되고 말았다. 강혁의 4학년 시절 MBC배 제패 및 MVP 등극에는 이러한 [[카더라]]가 있다. MBC배를 앞두고 혹독한 동계훈련을 하던 선수들을 위로하고자 경희대 [[최부영]] 감독이 회식을 열었는데, 술이 약했던 강혁이 하필 최부영 감독 옆자리에 앉아 연신 술잔을 들이키게 되고 마침내 이성의 끈을 놓아버린 강혁은 최 감독에게 "이 xx 죽여버린다"라며 달려들었다고... 최 감독의 무서움을 너무도 잘 알던 선수들은 기겁을 하며 강혁을 말렸고, 다음날 술이 깬 강혁이 최 감독에게 용서를 빌자 최부영 감독은 '''"MBC배에서 우승하면 용서하겠다"'''는 조건을 달았다. 살고 싶었던 강혁은 정말 죽어라고 뛰었고, [[연세대학교|연세대]], [[고려대학교|고려대]], [[중앙대학교|중앙대]]가 알아서 먼저 탈락해주는 행운까지 따르면서 [[1998 MBC배 전국대학농구대회]]에서 극적인 우승~~과 생존~~을 얻게 되었다. === 프로 선수 시절 === [[파일:수원 삼성 강혁 1999-2000 시즌.jpg]] 1999년, [[서울 삼성 썬더스]]에 드래프트 전체 5번으로 지명되면서 입단했다. 당시에는 외국인 선수를 두 명 쓰던 시절이었고, 또 주전 가드로는 [[주희정]]도 있었기 때문에 주로 [[식스맨]]으로 뛰었지만, 상당한 역량을 보여주기도 했다. 삼성의 프로농구 첫 우승인 2000-01 시즌에도 주전 멤버는 아니었지만,[* 당시 주전은 [[주희정]] - [[문경은]] - [[이규섭]] - [[아티머스 맥클래리]]-무스타파 호프였다. 주희정이 시즌 MVP, 맥클레리가 외국인 선수 MVP, 이규섭이 신인상을 수상했다.] 겨우 프로 2년차였던 강혁은 시즌 중엔 평균 17분 정도, 챔피언결정전부터는 25분 이상을 뛰는 키 식스맨으로 활약하며 '''2000-01 시즌 최우수 후보선수상'''을 수상했다. 팀을 우승으로 이끈 뒤, [[국군체육부대]]에 입대해 [[상무 농구단]]에서 [[신기성]], [[현주엽]], [[길도익]], [[정훈종]] 등과 함께 [[2001-02 농구대잔치]] 우승과 [[2002-03 농구대잔치]] 준우승을 경험한 뒤 2003-04 시즌 팀에 복귀했다. [[파일:/image/109/2006/04/25/200604252022411300_1.jpg|width=400]] 가장 빛나던 시기는 2005-06 시즌. 정규시즌 2위로 올라온 삼성은 4강 플레이오프에서 오리온스를 3승으로 일축하고 챔피언결정전에서 모비스를 만나 4전 전승으로 우승하며, '''PO 7전 전승 우승'''의 대기록을 작성한다. 이 해 챔프전에서 [[올루미데 오예데지]]와 [[서장훈]] 더블 포스트의 골밑 공략을 대비하던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울산 모비스 피버스]]의 허를 찌르고, [[네이트 존슨]]과의 2:2 [[픽앤롤]] 플레이로 팀 우승의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KBL 챔피언결정전|챔피언결정전]] 당시 성적은 '''평균 17.3 득점 6.5 어시스트'''. 이 때의 맹활약 덕분에 '''2005-06 시즌 챔피언 결정전 [[MVP]]'''로 선정되었다. 위에서 서술했듯이 소속팀에서 오랫동안 식스맨(교체선수)으로 활약하다가 주축가드로 도약하는데 성공한 선수이다. 최고의 식스맨으로 꼽혔음에도 교체선수의 특성상 별 조명을 받지 못했었지만, 챔프전의 활약이 겹치면서 강혁은 선수생활 말미에 주목받기 시작. 특유의 승부욕, 근면성이 비로소 팬들에게도 인정받은 것이다. 이후 2007년에는 [[KBL 올스타전|남자프로농구 올스타]]에 뽑히기도 했다. [[자유투]] 성공률은 리그 최상위권이며 앞서 2005-06 챔프전에서 언급된 것처럼, 2:2 플레이에 매우 능하다. 수비력도 출중해서 2003-04 시즌부터 4시즌 연속 수비 5걸에 선정되기도 했다. 특히 스틸에 매우 뛰어나다. 지하철 2호선 [[종합운동장역(서울)|종합운동장역]] 안내 방송을 맡는 등 삼성 썬더스의 프랜차이즈 스타로 오랫동안 활약했다. 그러나 2010-11 시즌, 삼성이 6강 플레이오프에서 3연패로 탈락하자 감독 교체 등 대대적인 팀 개편이 있었는데, 강혁이 그 대상이 되었다. 오래도록 뛴 팀을 떠나 [[이병석(농구)|이병석]], [[김태형(농구)|김태형]]과의 2:1 [[트레이드]]를 통해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로 이적했다. 이때 은퇴까지 생각하기도 했었다고 인터뷰에서 밝혔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65&aid=0000057965|전자랜드맨 거듭난 강혁 “팀이 버리기 전까진 배신은 없다”]] 10년 넘게 [[서울 삼성 썬더스|한 팀]]에서 꾸준히 생활한 강혁에게 있어서 선수 생활 중 가장 충격적이었던 일임을 짐작할 만하다. 결과적으로 이 트레이드는 삼성에게 있어서는 '''아주 뼈아픈 [[실수]]'''였다. 삼성은 가드진의 부실화로 14연패라는 수모 끝에 꼴찌로 시즌을 마감한 반면에[* 특히 연패도 연패고 꼴찌도 꼴찌지만, 삼성은 [[안준호]]의 재임 기간 내내 단 한 번도 포스트시즌에 빠진 적이 없었고, 게다가 02-03 시즌을 시작으로 10-11 시즌까지 장장 9시즌 내내 포스트시즌에 진출한 팀이었고, 특히 안준호의 재임 기간 동안에는 우승 1번, 준우승 2번을 거두는 등 강한 팀이었다. 이런 강팀을 [[김상준(농구)|김상준]]은 상당히 형편없는 지도력으로 머리부터 발끝까지 다 망쳐놓았으니...], 강혁을 얻은 전자랜드는 6강 플레이오프에 진출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이게 다 노무현 때문이다|이게 다 돌상준 때문이야]]!!~~ 군입대로 빠진 [[정영삼]]의 공백을 말끔히 메우고, [[후배]]들을 잘 가르쳐 주면서도 간혹 가다가 20점 이상의 득점을 올리면서 매우 좋은 활약을 보였다. 워낙 한 팀에 오랫동안 있었던 까닭인지 팀을 옮기고 나서도 삼성과의 경기를 했을 때 넘어지거나 하는 경우 [[룸메이트]]였던 [[이시준]]을 비롯해서 삼성 선수들이 먼저 달려와 일으켜주거나 걱정하는 모습이 심심찮게 보였다. 데뷔 이후 '''[[은퇴]]할 때까지 한 번도 [[플레이오프]]에 결석한 적이 없다'''. 강혁이 입단한 이후 '''삼성이 딱 한 번[* 첫 우승 다음 해.]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한 적이 있는데, 그때 강혁은 [[국군체육부대|상무]]에 있었다'''. 심지어 삼성은 강혁을 떠나보내고 맞이한 첫 시즌에는 아예 꼴찌로 추락해 버렸다. 당시 [[이정석]]의 백업 포인트 가드가 아쉬운 와중[* 개중 나은 수준의 [[이시준]]은 아예 리딩력이 떨어졌다. 애초에 이시준의 플레이스타일은 슈팅 가드에 가깝다.]에도 굳이 남아도는 포워드를 받아오는 농알못스런 [[트레이드]]를 하는 바람에 이정석은 부상으로 몇 경기 뛰지도 못하고 시즌 아웃을 당하자 속절없이 무너져 버렸다. [[김상준(농구)|준비 없는 감독]]이 팀을 운영하면 어떤 꼴이 되는가를 아주 퍼펙트하게 보여준 사례. 참고로, 입단 이후 은퇴를 생각하는 나이가 될 때까지 계속 플레이오프에 개근한 경우는 굉장히 드물다. 몇 년 전까진 [[김승현(농구)|김승현]]과 함께 유이한 선수였으나, 김승현이 오랫동안 모종의 사건으로 몇 년 간 리그를 못 뛰는 바람에 유일한 선수가 되었다. 2012-13 시즌에는 팀의 [[주장]]으로 선임되었고, [[식스맨]]으로 나쁘지 않은 활약을 하면서 전자랜드를 정규시즌 3위로 올려놓는데 공헌을 했다. 그리고 친정팀 삼성을 3:0으로 누르고 4강 PO에 올랐지만, 그 과정에서 그만 부상을 당하면서 결국 선수 은퇴를 선언했다. 전자랜드가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모비스]]에게 패한 4강 PO 3차전에서 은퇴식을 가지고 공식 은퇴했다. 사실 원래 이렇게 급작스럽게 은퇴식을 하는 경우는 드문 편인데, 시즌 중에 모교인 삼일공고로부터 코치직을 제안 받았고, 나이가 들면서 체력과 부상재활 기간이 길어졌기 때문이다. 전자랜드측에서는 만류하였다고 한다. 은퇴 당시 이미 나이가 30대 후반에 접어들었으니 당장 은퇴해도 이상할 게 없긴 하였다. 특히 마지막 경기가 끝나기 직전에 ~~[[정병국(농구)|정병국]]~~의 패스를 받아 클린 3점을 성공시키면서 더 감동을 자아냈다. 그것도 상대가 던지라고 길을 열어준 게 아니라 [[양동근(농구)|양동근]]이 끝까지 수비를 펼치고 있던 상황에서 성공시킨 것이라 더 감동이 있는 마지막 슛이었다. === 시즌별 성적 === ||<-11>
{{{#002d62 역대 성적}}} || || {{{#ffcc33 시즌}}} || {{{#ffcc33 소속팀}}} || {{{#ffcc33 경기수}}} || {{{#ffcc33 2점슛}}} || {{{#ffcc33 3점슛}}} || {{{#ffcc33 자유투}}} || {{{#ffcc33 득점}}} || {{{#ffcc33 리바운드}}} || {{{#ffcc33 어시스트}}} || {{{#ffcc33 스틸}}} || {{{#ffcc33 블록슛}}} || || 1999-00 ||<|12> [[서울 삼성 썬더스|삼성]] || 41 || 48/80 [br] (60.00%) || 33/81 [br] (40.74%) || 30/45 [br] (66.67%) || 225 || 77 || 47 || 30 || 0 || || 2000-01 || 43 || 72/129 [br] (55.81%) || 23/74 [br] (31.08%) || 47/70 [br] (67.14%) || 260 || 103 || 78 || 41 || 3 || || 2001-02 ||<-9><|2> 군복무([[상무 농구단]]) || || 2002-03 || || 2003-04 || 49 || 126/248 [br] (50.81%) || 60/179 [br] (33.52%) || 114/134 [br] (85.07%) || 546 || 137 || 163 || 88 || 18 || || 2004-05 || 52 || 119/216 [br] (55.09%) || 43/132 [br] (32.58%) || 72/98 [br] (73.47%) || 439 || 170 || 192 || 79 || 11 || || 2005-06 || 46 || 152/254 [br] (59.84%) || 50/145 [br] (34.48%) || 65/90 [br] (72.22%) || 519 || 140 || 291 || 85 || 4 || || 2006-07 || 48 || 171/327 [br] (52.29%) || 46/164 [br] (28.05%) || 149/181 [br] (82.32%) || 629 || 136 || 336 || 89 || 8 || || 2007-08 || 50 || 117/210 [br] (55.71%) || 29/97 [br] (29.90%) || 124/149 [br] (83.22%) || 445 || 125 || 279 || 56 || 11 || || 2008-09 || 38 || 51/120 [br] (42.50%) || 40/98 [br] (40.82%) || 60/76 [br] (78.95%) || 282 || 66 || 174 || 55 || 2 || || 2009-10 || 50 || 87/173 [br] (50.29%) || 47/120 [br] (39.17%) || 88/107 [br] (82.24%) || 403 || 103 || 195 || 59 || 10 || || 2010-11 || 45 || 76/164 [br] (46.34%) || 31/109 [br] (28.44%) || 84/103 [br] (81.55%) || 329 || 92 || 207 || 58 || 8 || || {{{#ffffff 시즌}}}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2점슛}}} || {{{#ffffff 3점슛}}} || {{{#ffffff 자유투}}} || {{{#ffffff 득점}}} || {{{#ffffff 리바운드}}} || {{{#ffffff 어시스트}}} || {{{#ffffff 스틸}}} || {{{#ffffff 블록슛}}} || || 2011-12 ||<|2>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전자랜드]] || 52 || 81/182 [br] (44.51%) || 33/100 [br] (33.00%) || 75/89 [br] (84.27%) || 336 || 85 || 141 || 45 || 4 || || 2012-13 || 47 || 65/121 [br] (53.72%) || 20/62 [br] (32.26%) || 47/62 [br] (75.81%) || 237 || 79 || 105 || 45 || 7 || ||<-2> '''[[한국프로농구|KBL]] 통산''' [br] (14시즌) || 561 || 1165/2224 [br] (52.38%) || 455/1361 [br] (33.43%) || 955/1204 [br] (79.32%) || 4650 || 1313 || 2208 || 730 || 86 || == 지도자 경력 == === 삼일상고 코치 === 은퇴 후에는 모교인 [[삼일상업고등학교|삼일상고]]의 코치로 지도자 인생을 시작했다. 삼일상고에 부임할 때 한 인터뷰에서 "모교에 대단한 유망주가 입학했다고 하는데, 한 번 잘 키워보겠습니다."라고 했는데, 그 선수가 바로 KBL 최초의 고졸 로터리픽 [[송교창]][* 2015 드래프트 3순위]이다. 강혁 코치 부임 후 삼일상고는 장신 선수들에게도 게임리딩이나 전문 슈터로서의 역할을 부여하는 등 남다른 선수육성책을 보여주어, 송교창 이후에도 장신 중학생 선수들에게 인기가 많다. 2017년 기준 3학년 [[하윤기]](201cm)[* U-19 국가대표에 선발되었다.], 2학년 [[이현중]](197cm) 등이 기대되는 선수들이다. === [[창원 LG 세이커스]] 코치 === 2017년 4월 27일 [[창원 LG 세이커스]] 코치로 부임하였지만 성적부진과 함께 뭍히게 된다. 2018-19 시즌 정규리그를 3위로 마감후 6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해서 허훈, 양홍석의 kt를 꺾고 4강 플레이오프 진출을 이끌었으며, 4강에서 본인의 선수시절 마지막 소속팀인 전자랜드에게 패하는 바람에 챔피언결정전 진출에 실패했지만 5년만의 봄농구 진출에 성공했다. 2019-20 시즌 성적부진 이후 코로나19로 인한 시즌 조기 종료와 [[조성원]] 감독의 부임으로 인해 결국 [[김영만(농구)|김영만]] 수석코치와 함께 팀을 떠나게 되었다. 재임 중 당시 LG 선수단 못지않게 억압과 갈굼을 당한 후문이 그 먹방감독의 예능영상에서 나오면서 미끼의 희생양이라는 안타까움이 들었다. 이와는 별개로 LG 가드 선수들은 강혁 코치가 투맨 게임 마스터라는 소문을 현실로 경험하니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하지만, 당시 지도했던 가드들인 [[유병훈]]과 [[한상혁(농구선수)|한상혁]]은 좋은 코치로 평을 했다. (결국 감독문제)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인천 전자랜드]]-[[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대구 한국가스공사]] 코치 === 2019-20 시즌을 끝으로 현주엽 감독의 계약이 끝나고 2020년 5월 15일, [[유도훈]] 감독의 부름을 받고 본인이 은퇴했던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의 코치로 부임하면서 선수 시절이던 2012-2013시즌 이후 8년만에 돌아왔으며 전자랜드에서의 코치 경력은 처음이다. 이미 유도훈 감독은 2012-2013 시즌 은퇴 이후 코치로 데리고 올 생각을 했는데 그 시기가 2017-2018 시즌이 아닌 2020-2021 시즌이 되었다. 전자랜드에서는 [[박찬희(농구)|박찬희]] 선수의 리더역할과 [[김낙현]] 선수의 성장을 맡게 되었다. 사실상의 코칭스태프 삼각 트레이드라고 할 수 있다. 명지대 감독이 창원 LG 감독이 되고, 창원 LG 코치가 전자랜드의 코치가 되고, 전자랜드 코치가 명지대 감독이 되었다. 또한 2020-21 시즌에는 전자랜드의 D 리그 팀 감독도 맡게 되었다. 2021-2022 시즌에는 전자랜드 엘리펀츠가 모기업 경영난으로 인해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로 바뀌면서도 D 리그 감독 및 KBL 코치를 같이 맡았다. 이적으로 합류한 [[두경민]]을 지도하게 했다. 하지만, 두경민은 차기시즌 친정인 원주 DB 프로미로 복귀하게 된다. ===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감독 대행 === 2022-23 시즌을 끝으로 [[유도훈]] 감독이 계약기간 1년을 남기고 경질됨에 따라 감독대행으로 임명됐다. 신임감독이 부임하기 전까지 팀을 이끌 방침이나, 오프 시즌 중 감독대행으로 선임됐다가 이후 감독이 된 [[문경은]], [[김승기(농구)|김승기]]의 사례가 있기 때문에, 강혁의 정식 감독 승격 가능성도 열려있다. 일단 2023-24 정규시즌은 강혁이 그대로 이끌고 있다. 컵대회 포함 4경기동안 승리를 따내지 못했으나 2023년 10월 29일 [[서울 SK 나이츠]]전에서 감독직 첫 승을 기록했다. 여담으로 이 경기 4쿼터 6.2초 남기고 한 점차로 뒤진 마지막 작전타임에서 > "여기서 그냥 쇼부치자고 앤드류" > ---- > 4쿼터 6.2초 남긴 후, 작전타임 상황에서 라고 말하며 재미있는 장면을 만들기도 했다. 가스공사의 팀 전력이 상당히 약할때 감독직을 맡아 10연패를 기록하는 등, 힘든 시즌을 보내고있다. 그러나, 작전 타임에서 선수들을 질책하지 않고 할 수 있다고 독려하는 모습을 자주 보이고 있고, 전술을 선수들에게 계속해서 설명하는 모습은 농구팬들이 상당히 좋게보는 부분이다. 결국 4라운드에 가스공사를 엄청난 돌풍의 주인공으로 만들며 7승 3패 1위로 반등에 성공시켰고 6강 막차 싸움도 가능한 수준까지 팀을 끌어올렸다. 스쿼드의 상태나 시즌 초반 팀 분위기를 생각하면 엄청난 성과인 셈. 5라운드 들어선 4라운드의 분위기가 가라앉으며 6강 경쟁에선 밀려났지만 모기업에서 강혁 감독 대행의 능력을 높게 보고 있었기에 정식 감독 선임은 확정적 분위기였다. ===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감독 === ==== 2023-24 시즌 ==== 2024년 2월 26일, 구단 공식발표를 통해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의 제2대 감독으로 선임되면서 정식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계약 기간은 2년이며, 시즌으로 환산하면 2025-2026 시즌까지이다. 구단에서는 신임 감독으로서는 최고 수준의 조건으로 계약했다고 밝혔다. 1999-2000 시즌을 앞둔 1999 드래프티로 동갑인 [[조상현]] LG 감독 이후 좋은 지도력을 인정받았다. 2024년 3월 1일 [[서울 SK 나이츠]]전부터 정식 감독으로서 팀을 지휘했고 승리로 장식했다. 2024년 3월 26일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와의 홈 최종전에서 농구영신 패배를 포함해서 1년간 이어졌던 천적관계를 청산한 승리와 함께 한 시즌을 마무리하게 된다. 차기 시즌 대구 팬들에게 봄농구를 다짐했다. ==== 2024-25 시즌 ==== FA에서 무려 6명이 풀리게 되는데 감독 승진 이후 구단에 FA를 요청했으며, 1년전 함께했던 이대성은 다시 FA로 신청하게 된다. 구단도 이에 화답하여 5월 14일 차바위, 박지훈, 안세영을 전부 잔류시켰고, 여기에 가장 인기가 많았던 FA이자 강혁이 LG 코치 시절 지도했던 [[정성우]]도 영입하게 되었다. == 기타 == * 엄청난 동안이다. KBO에 [[박정진]]이 있다면 KBL에는 강혁이 있다고 할 정도... * 운동선수 치고는 [[결혼]]을 늦게 한 편인데, 친분이 있는 [[정지원(스포츠 캐스터)|정지원]] 아나운서가 경기 전 인터뷰에서 결혼 언제 하냐고 집요하게 묻자 [[서장훈|장훈이 형]](당시 삼성 소속) 결혼하면 할 거라고 말하며 회피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그리고 실제로]] [[서장훈]][[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이 결혼한 후에 강혁도 결혼했다]]. 서장훈은 [[2009년]] [[5월 23일]]. 강혁은 [[2009년]] [[8월 8일]]. 안타깝게도 [[서장훈|한 쪽]]은 파경을 맞았지만... * 동안에 순한 얼굴을 가지고 있어 성격이 무난해 보이지만 의외로 한 성깔 하는 선수이다. 굉장히 승부욕이 강하고 그를 표출하는데 스스럼이 없다. 덩치가 큰 선수들과의 말싸움에서도 들이대는 모습을 꽤 보여주었고, 후배선수들에게도 꽤나 엄격하다. 강혁이 경기 중 진지하게 훈계를 할때 후배들은 각잡고 경청하는 모습이 카메라에 꽤나 잡혔다. * 평소 무표정하고 잘 웃지 않는다는 이미지가 있는데[* 경기 중에도 정말 극적으로 득점하거나 하지 않는 이상 웃는 모습을 보기 힘들다.], 본인은 웃음이 굉장히 많다며 코트에서는 사실 웃긴 일이 없기 때문에 잘 웃지 않는 편이라고 했다. 본인 실력에 대해 자부심을 가지기보다는 모자란 점을 먼저 생각하는 타입인 듯. 그리고 [[딸바보|딸에 대해 팔불출]]인 듯하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369&aid=0000000046|관련 인터뷰]] * 몇 년 간 그야말로 속절없이 무너지는 [[서울 삼성 썬더스|삼성]]을 안타깝게 여기는 올드팬들 사이에선 '프랜차이즈 강혁을 버렸을 때부터 팀이 망가지기 시작했다'는 이야기가 많이 나오면서 지도자 생활을 삼성에서 했으면 하는 바람이 많다. 다만 강혁은 썬더스의 라이벌팀인 [[창원 LG 세이커스|LG]]에서 지도자 생활을 시작하게 되었고, 감독 데뷔도 가스공사에서 하면서 삼성으로의 복귀는 향후 보기 어려울 전망이다. * [[경희대학교]] 재학 시절, 잡지사에서 야구선수 [[강혁(야구)|강혁]]과의 만남을 다룬 기사를 싣은 적이 있다. == 관련 문서 == * [[농구 관련 인물(한국)]] * [[서울 삼성 썬더스/선수단]] *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선수단]] [[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농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농구 코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농구 감독]][[분류:1976년 출생]][[분류:1999년 데뷔]][[분류:2013년 은퇴]][[분류:오산시 출신 인물]][[분류:포인트 가드]][[분류:슈팅 가드]][[분류:서울 삼성 썬더스/은퇴, 이적]][[분류: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은퇴, 이적]][[분류:삼일상업고등학교 출신]][[분류:경희대학교 출신]][[분류:상무 농구단/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