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開]][[國]] == 나라를 엶, 즉 나라를 세운다는 뜻으로, [[건국]](建國)과 같은 뜻이다. [[쇄국]]의 반대말이기도 하다. === [[신라]] [[진흥왕]] 때의 [[연호]] === ||<-5><:> '''[[신라|{{{#ffffff 신라의}}}]] [[연호|{{{#ffffff 연호}}}]]''' || || [[건원]][br]建元[br],,(536 ~ 550),, || {{{+1 ←}}} || '''{{{#ffffff 개국}}}'''[br]{{{#ffffff 開國}}}[br]{{{#ffffff ,,(551 ~ 568),,}}} || {{{+1 →}}} || [[대창(동음이의어)|대창]][br]大昌[br],,(568 ~ 572),, || 이전에 [[법흥왕]] 때부터 사용한 건원에 이어 [[551년]]부터, 대창(大昌)/태창(太昌)으로 연호를 바꾼 [[568년]]까지 사용했다. 551년은 [[신라의 한강 유역 점령]]이 한창 진행되던 시점으로, [[경상도]] 지역 국가이던 신라가 한반도 중부를 차지해 [[삼국시대]] 후반부의 주도권을 쥐기 시작하는 시기라는 점에서 개국이라는 의미의 연호를 채택한 것으로 보이며, 혹은 진흥왕이 고작 7살의 나이로 즉위했고 재위 초기에 [[지소태후]]의 [[섭정]]이 있었다는 점에 착안해서 진흥왕이 10대 후반이 되는 551년부터 [[친정]]이 시작되었기에 이런 연호를 채택하지 않았나라고 추정하는 설도 있다. 그러나 반면 태후의 섭정은 즉위 초기에만 한정됐고 이미 친정을 시작한 상태였다고 보기도 한다. 원사료 [[삼국사기]]나 [[금석문]]이나 섭정의 끝이 언제인지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기 때문이다. ==== 연보 ==== * 개국 원년 - [[신라의 한강 유역 점령]](553년 7월까지) * 개국 3년 - [[소비 부여씨|백제와의 정략결혼]] * 개국 4년 - [[관산성 전투]] * 개국 5년 - [[한강]] 유역 순수,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제작 * 개국 11년 - [[창녕]] 집결, [[창녕 진흥왕 척경비]] 제작 * 개국 12년 - [[가야멸망전]] * 개국 18년 - [[고구려]] 동부 정복, [[황초령 순수비]], [[마운령 순수비]] 제작 === [[조선]] [[고종(대한제국)|고종]] 때의 [[기년법]] ===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기년법)] [include(틀:한국사의 역대 연호)] ||<-3> '''{{{#f0ad73 [[조선|[[파일:조선 어기.svg|height=25]][br]{{{#f0ad73 '''대조선국'''}}}]]의 [[연호/한국|{{{#f0ad73 연호}}}]]}}}''' || ||<-3> [[고종(대한제국)|{{{#ffd700 '''고종'''}}}]] || ||<|2> {{{+1 [[광서|{{{#000,#ddd [ruby(光緖, ruby=광서)]}}}]]}}}[* 독자적인 연호가 아닌 [[청나라]] [[광서제|덕종]]의 연호다. 연호는 황제국만 제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대관계를 가진 제후국의 경우 공식적으로는 황제국의 연호를 사용했다.][br]{{{+1 ←}}} || {{{#!wiki style="font-size: 40px" '''[[開|{{{#c00d45 [ruby(開, ruby=개)]}}}]] [[國|{{{#c00d45 [ruby(國, ruby=국)]}}}]]'''}}} ||<|2> {{{+1 [[건양|{{{#000,#ddd [ruby(建陽, ruby=건양)]}}}]][br]→}}} || || {{{#f0ad73 '''[[1894년|{{{#f0ad73 1894.}}}]] [[6월 28일|{{{#f0ad73 6. 28.}}}]] ~ [[1895년|{{{#f0ad73 1895.}}}]] [[12월 31일|{{{#f0ad73 12. 31.}}}]]'''[br](1년 6개월 4일)}}} || ==== 개요 ==== [[조선 고종]] 연간에 [[청나라]]에 대한 사대관계를 청산하고 [[갑오개혁]]을 진행하면서 기존의 중국 연호 [[광서제|광서]]를 버리고, 조선 왕조가 개창된 해인 서기 [[1392년]]을 원년으로 하는 개국기원을 도입하였고, 서기 [[1894년]](개국 503년)부터 전면적으로 사용하였다. 즉, 사실 개국기원은 '''동양의 전통적인 방식의 연호와는 다르고, 엄밀히 말하면 [[기년법]]의 일종'''이다. 둘 다 큰 틀에서 기년법이라는 점이 공통적이지만 전통적인 연호는 해당 연호를 제정한 임금 때에만 쓰고 그 임금이 다른 연호로 바꾸거나[* 일세 일원제 도입 이전에는 한 임금이 여러 연호를 만들었다. 일세 일원제 도입 이후에는 대체적으로 한 임금이 재위기간 중 하나의 연호만을 만들었다.] 아예 사망, 퇴위한 이후에는 원칙적으로 쓸 수 없다. 그러나 개국기원은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개국기원의 원년 이전 시점의 경우에는 개국전 등과 같이 쓸 수 있다.] 즉, [[서력기원]]이 [[예수]]의 탄생으로 여겨지는 시점[* 디오니시우스가 예수의 탄생시점으로 추론한 때가 서력기원 원년인데, [[예수]]는 실제로는 이 시점보다 4년 전쯤에 태어났다고 여겨진다.]을 기점으로 잡아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연도를 표기할 수 있듯이. 개국기원을 사용하면 역시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연도를 표기할 수 있다. 이에 조선에서도 중국식 연호를 버리고 신식 기년법을 사용하고자 하였으나, [[그리스도교]]에서 유래한 [[서력기원]]은 [[유교]] 사상이 강하던 조선에서 사용하는데 아무래도 거부감이 있었으므로, 그 대체재로 등장한 것이 개국기원이다. 더구나 사실 '''개국기원을 1894년 처음 사용한 것도 아니고, 이전에도 사용되었음'''이 문헌을 통하여 확인된다. 당장 [[1876년]]에도 ~~청나라가 싫었는지~~ “대조선개국 485년”이라고 표기된 서한을 [[일본]]에 보낸 사실이 있고, 이때 이후로도 [[청나라]]를 제외한 외국을 상대로 한 외교문서에는 개국기원을 사용하여 연도를 표기하여 왔다. 1894년부터 개국기원을 썼다는 말은, 같은 해 7월 [[군국기무처]]에서 모든 공문서에 개국기원을 쓰자는 의안을 상신하고 [[고종(대한제국)|고종]]이 이를 윤허하면서 본격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공문서에서 일제히 개국기원을 쓰기 시작하였다는 것일 뿐이고, [[건양]]이나 [[광무]]와 같은 일세일원 방식의 중국식 연호를 도입하여 칭원하면서 이를 선포하거나 기념하는 성대한 의식을 치른 사실도 없다. 개국기원의 전면적인 도입은 [[청나라]] 연호를 버린다는 의미가 컸던 행정적 조치이자, 예전부터 자체적으로 써 오던 방식을 좀 더 공식화한 것일 뿐이다. 서기 [[1896년]]에 [[태양력|양력]]을 도입하면서 '[[건양]]'(建陽)이라는 연호를 도입하였으나, 이후에도 간혹 칙령 등에서 개국기원이 사용된 사실이 있다. 마지막으로 개국기원이 사용된 시기는 [[덕혜옹주]]가 별세한 '''[[1989년]]'''이다. 경기도 [[남양주시]][* 당시로서는 [[미금시]]] [[금곡동(남양주)|금곡동]]의 홍유릉 능역에 세워진 묘비에, "'''開國'''五百二十一年五月二十六日生 五百九十八年四月二十一日卒 全州李后李旺載謹書('''개국''' 521년 5월 26일 생 598년 4월 21일 졸 전주 이씨 후손 이왕재[* 1928~2001, 대한민국의 서예가.] 삼가 씀)""라는 묘표가 새겨졌다. [[http://www.1392.org/index.htm|사이버 조선왕조]]에서 이 기년법을 사용한다. ==== 서기와의 환산 방법 ==== * 서기 [math(x)]년은 개국 ([math(x-1391)])년이다. * 개국 [math(x)]년은 서기 ([math(x+1391)])년이다. === [[KBS 대하드라마]] 개국 === [[개국(드라마)]] == [[開]][[局]] == 1. 방송국이나 우체국 따위가 사무소를 설치하여 처음으로 업무를 시작함. 2. 바둑의 [[대국]](對局)을 시작함. == [[蓋]][[國]] == >蓋國在鋸燕南倭北 >개국은 거연의 남쪽, 왜의 북쪽에 있다. >-[[산해경]] 해내북경- [[산해경]] 해내북경(海內北經) 편에서 등장하는 국가 혹은 정치집단. 산해경에 따르면 개국은 거연(鋸燕)[* [[연(춘추전국시대)]]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과 왜(倭)의 사이에 있다고 기록하고 있는데, 아마 요동 ~ 한반도 지역에 있었던 국가나 세력집단을 일컫는 말로 추정되고 있다. [[개마국]]의 약칭이라는 설이 있다. 혹은 한반도 중남부에 존재했던 [[진국(국가)]](辰國)의 다른 이름이라는 설도 제기되었으나 등장 시기와 역사서가 서로 달라서 지지받지 못하고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개국(연호), version=6)] * [[문서 삭제식 이동]](개국(연호) → 개국) [[분류:국가]][[분류:한국사]][[분류:연호]][[분류:기년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