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보스턴 레드삭스/로스터)] ---- ||
'''{{{#ffffff 개럿 휘틀록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보스턴 레드삭스|{{{#fff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72번}}}''' || || [[조시 테일러]][br](2019~2020) || {{{+1 →}}} || '''개럿 휘틀록[br](2021~2022)''' || {{{+1 →}}} || [[크리스 머피(야구선수)|크리스 머피]][br](2023~) || ||<-5> '''{{{#FFFFFF [[보스턴 레드삭스|{{{#FFFFFF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22번}}}''' || || [[토미 팸]][br](2022) || {{{+1 →}}} || '''개럿 휘틀록[br](2023~)''' || {{{+1 →}}} || [[현역#s-2]]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휘틀록.jpg|width=100%]]}}} || ||<-2> '''보스턴 레드삭스 No.22''' || ||<-2> '''{{{+2 개럿 휘틀록}}}[br]Garrett Whitlock''' || || '''본명''' ||개럿 게츠 위틀록[br]Garrett Getts Whitlock || ||<|2> '''출생''' ||[[1996년]] [[6월 11일]] ([age(1996-06-11)]세) || ||[[조지아주|조지아 주]] 스넬빌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앨라배마 대학교]] || || '''신체''' ||196cm / 86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7 MLB 신인드래프트|2017년 드래프트]] 18라운드 (전체 542번, [[뉴욕 양키스|NYY]]) || || '''소속팀''' ||'''[[보스턴 레드삭스]] (2021~)''' || || '''계약''' ||2023 - 2026 / $18,750,000[*option club option $8,250,000 for 2027 with buyout $1,000,000 and club option $10,500,000 for 2028 with buyout $500,000] || || '''연봉''' ||2023 / $1,000,000 || [목차] [clearfix] == 개요 == [[보스턴 레드삭스]] 소속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 [[뉴욕 양키스]] 산하 마이너 === [[2017 MLB 신인드래프트|2017년 드래프트]]에서 18라운드 전체 542번으로 뉴욕 양키스에 지명되었다. 2018 시즌에는 주로 A와 A+에서 출전하며 23경기(21선발) 120⅔이닝 ERA 1.86의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2019 시즌에는 AA에서 선발 로테이션을 돌았고, 팀 내 유망주 순위 27위에 올랐다. 2020 시즌에는 [[코로나19]]로 인해 마이너리그가 취소되며 공식경기에 한 경기도 등판하지 못했다. === [[보스턴 레드삭스]] === [[룰5 드래프트/2020년|2020 룰5 드래프트]]에서 [[보스턴 레드삭스]]에 전체 4번으로 지명되며 이적하게 된다. ==== 2021 시즌 ==== 4월 4일 [[볼티모어 오리올스]]와의 경기에서 메이저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열 점 뒤진 3회 초 등판하여 3⅓이닝 3피안타 5K 무실점을 기록하였다. 이후 4월 8일 경기에서는 한 점 앞선 6회 말 등판하여 2이닝 무피안타 무실점을 기록, 통산 첫 홀드를 기록했다. 이후 팀의 필승조로 활약하며 5월 2일까지 4홀드를 쌓았다. 5월 5일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와의 경기에서 연장 10회에 등판하였으나 1이닝 3피안타 1피홈런 2실점으로 통산 첫 패전을 떠안았다. 5월 13일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와의 경기에서는 7회 등판하여 3이닝을 1실점으로 막으며 데뷔 첫 세이브를 기록하기도 했다. 전반기가 끝난 시점에서의 성적은 26경기 43⅔이닝 ERA 1.44, 피안타율 .228, 3승 1패 1세이브 8홀드. 후반기 또한 꾸준하게 활약하며 핵심 불펜이던 [[맷 반스(야구선수)|맷 반스]], [[애덤 오타비노]] 라인의 붕괴 속에서도 1점대 방어율을 사수하며 46경기 73⅓이닝, ERA 1.96, 피안타율 .230, 8승 4패 2세이브 14홀드로 마감했다. 이로써 [[룰5 드래프트]]의 성공작이 되었으며, 가히 2021년 최고의 불펜투수 중 한 명이라 할 수 있게 되었다. 포스트시즌에서는 주로 마무리 상황에서 기용되는 중이며 이닝 소화능력이 뛰어나고 구종이 다양하기 때문에 다음 시즌에서는 선발로 써야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 2022 시즌 ==== 4월 10일, 2023 시즌부터 시작되는 4년 1,875만 달러 규모의 연장 계약을 맺었다. 선발투수로 전환되었다가 부상 이후 다시 불펜으로 전환되었다. ==== 2023 시즌 ==== 확고한 선발진이 구축되지 않은 보스턴의 상태를 감안하면 선발투수로 시즌을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 피칭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s834MkdKwA)]}}}|| 평속 96마일의 싱커성 속구를 바탕으로 체인지업과 슬라이더를 구사한다. 빠른 볼을 이용한 배럴타구 억제능력이 뛰어나다. 직구(싱커)의 구사율이 50%가 넘는다. == 연도별 성적 == ||<-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개럿 휘틀록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21 ||<|2> [[보스턴 레드삭스|BOS]] || 46 || 8 || 4 || 2 || 15 || 73⅓ || 1.96 || 64 || 6 || 17 || 3 || 81 || 1.105 || 239 || 1.6 || 2.9 || || 2022 || 31 || 4 || 2 || 6 || 4 || 78⅓ || 3.45 || 65 || 10 || 15 || 1 || 82 || 1.021 || 122 || 1.4 || 1.8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2시즌) || 77 || 12 || 6 || 8 || 19 || 151⅔ || 2.73 || 129 || 16 || 32 || 4 || 163 || 1.062 || 163 || 3.0 || 4.7 ||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6년 출생]][[분류:2021년 데뷔]][[분류:스넬빌 출신 인물]][[분류:앨라배마 대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보스턴 레드삭스/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