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개복치과}}}[br]Molida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개복치.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Molidae'''[br]Bonaparte, 1832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조기어강]](Actinopterygii)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복어목]](Tetraodontiform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개복치과(Molidae) || [목차] [clearfix] == 개요 == 개복치과는 복어목의 하위 과 중 하나다. [[개복치]] 등 개복치과에 속하는 생물은 모두 크고 무거운 바닷물고기며 가장 큰 현생 경골어류라는 기록도 개복치과에 속한 개복치가 차지하고 있다. 과 자체의 규모가 작아 현재는 3속 4종만 전해온다.[* [[http://fishbase.org/summary/FamilySummary.php?ID=450|FishBase]].] 이전에는 3속 5종으로 분류되었다.[* Anna L. Bass, Heidi Dewar, Tierney Thys, J. Todd. Streelman, Stephen A. Karl, (Springer) [[http://link.springer.com/article/10.1007/s00227-005-0089-z|Evolutionary divergence among lineages of the ocean sunfish family, Molidae (Tetraodontiformes)]], (2005). (PDF). Marine Biology, pp.405-414.] 후드윙커개복치가 2014년 발견되어 현재 3속 5종으로 전해온다. == 분류 == * †[[아우스트로몰라]](''Austromola'') * †옛개복치속(''Eomola'') * [[옛개복치]](''E. bimaxillaria'') * [[개복치속]](''Mola'') * [[개복치]](''M. mola'') * [[남방개복치]][* 혹개복치라고도 불린다.](''M. alexandrini'') * [[후드윙커개복치]](''M. tecta'') * 쐐기개복치속(''Ranzania'') * [[쐐기개복치]](''R. laevis'') * 물개복치속(''Masturus'') * [[물개복치]][* 창개복치로도 불린다.](''M. lanceolatus'') [[분류:개복치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