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개빈 럭스/선수 경력)] ||<-5>
'''{{{#FFFFFF [[개빈 럭스|{{{#FFFFFF 개빈 럭스}}}]]의 연도별 시즌 일람}}}''' || || [[개빈 럭스/선수 경력/2021년|2021년]] || ← || '''{{{#005A9C 2022년}}}''' || → || [[개빈 럭스/선수 경력#s-3.5|2023년]] || [목차] == 개요 == [[개빈 럭스]]의 2022 시즌을 정리한 문서. == 시즌 전 == == 페넌트레이스 == === 4월 === ||<-15>
'''{{{#FFFFFF 4월 월간 기록}}}''' || || '''{{{#005A9C 경기}}}''' || '''{{{#005A9C 타수}}}''' || '''{{{#005A9C 안타}}}''' || '''{{{#005A9C 2루타}}}''' || '''{{{#005A9C 3루타}}}''' || '''{{{#005A9C 홈런}}}''' || '''{{{#005A9C 득점}}}''' || '''{{{#005A9C 타점}}}''' || '''{{{#005A9C 볼넷}}}''' || '''{{{#005A9C 삼진}}}''' || '''{{{#005A9C 도루}}}''' || '''{{{#005A9C 타율}}}''' || '''{{{#005A9C 출루율}}}''' || '''{{{#005A9C 장타율}}}''' || '''{{{#005A9C OPS}}}''' || || 17 || 51 || 13 || 1 || 1 || 1 || 10 || 5 || 8 || 10 || 2 || .255 || .350 || .373 || .723 || 4월 8일 [[콜로라도 로키스]] 원정 개막전에서 2루수로 선발 출전해 2타수 1안타 2볼넷 2타점 1득점으로 팀의 역전승을 이끄는 좋은 활약을 보여줬다. 0-2로 지고있던 4회초 2사 2,3루에 중전 2타점 동점 적시타를 때려내며 다저스의 시즌 첫 타점의 주인공이 되었고, 다음 타자 [[무키 베츠]]의 적시 2루타에 1루에서 홈까지 전력질주해 역전 득점까지 기록했다. 다만 중심을 잃어 다소 희한한 슬라이딩으로 홈에 들어왔고, 경기 종료 후 키스톤 콤비를 이뤘던 [[트레이 터너]]는 이 장면에 대해 "보기엔 재밌었지만 좋지 않은 슬라이딩이었다. 그가 그렇게 하도록 놔두지 않아야 한다."라고 웃으며 언급했다. 4월 12일 [[미네소타 트윈스]]와의 1차전에서 4타수 2안타 2타점으로 맹활약했다. 4월 13일 [[미네소타 트윈스]]와의 2차전에서도 주전 2루수로 출전, 5타수 1안타 1홈런을 만들어냈다. 지난 두 시즌과는 달리 시즌 초반부터 준수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중. === 5월 === ||<-15>
'''{{{#FFFFFF 5월 월간 기록}}}''' || || '''{{{#005A9C 경기}}}''' || '''{{{#005A9C 타수}}}''' || '''{{{#005A9C 안타}}}''' || '''{{{#005A9C 2루타}}}''' || '''{{{#005A9C 3루타}}}''' || '''{{{#005A9C 홈런}}}''' || '''{{{#005A9C 득점}}}''' || '''{{{#005A9C 타점}}}''' || '''{{{#005A9C 볼넷}}}''' || '''{{{#005A9C 삼진}}}''' || '''{{{#005A9C 도루}}}''' || '''{{{#005A9C 타율}}}''' || '''{{{#005A9C 출루율}}}''' || '''{{{#005A9C 장타율}}}''' || '''{{{#005A9C OPS}}}''' || || 26 || 86 || 23 || 4 || 0 || 0 || 18 || 7 || 10 || 18 || 1 || .267 || .344 || .314 || .658 || 5월 15일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시리즈 4차전에서 2회초 2사 1,2루에서 땅볼을 처리하지 못하는 결정적인 실책을 범해 4실점의 빌미가 되며 다저스를 위기에 처하게 했지만, 팀이 1점차로 지고 있던 9회말 2사 1,3루에서 필라델피아의 마무리 투수인 [[코리 크네블]]을 상대로 역전 2타점 적시 2루타를 쳐서 2회초의 실책을 만회하며 커리어 첫 끝내기 안타를 기록했다. 5월 21일 [[필라델피아 필리스]]전에서 8회초 결승타를 기록했다. === 6월 === ||<-15>
'''{{{#FFFFFF 6월 월간 기록}}}''' || || '''{{{#005A9C 경기}}}''' || '''{{{#005A9C 타수}}}''' || '''{{{#005A9C 안타}}}''' || '''{{{#005A9C 2루타}}}''' || '''{{{#005A9C 3루타}}}''' || '''{{{#005A9C 홈런}}}''' || '''{{{#005A9C 득점}}}''' || '''{{{#005A9C 타점}}}''' || '''{{{#005A9C 볼넷}}}''' || '''{{{#005A9C 삼진}}}''' || '''{{{#005A9C 도루}}}''' || '''{{{#005A9C 타율}}}''' || '''{{{#005A9C 출루율}}}''' || '''{{{#005A9C 장타율}}}''' || '''{{{#005A9C OPS}}}''' || || 25 || 82 || 28 || 6 || 1 || 1 || 11 || 5 || 7 || 16 || 2 || .342 || .389 || .476 || .865 || 6월 9일 [[시카고 화이트삭스]]전에서 4타수 4안타 1타점 2득점의 맹타를 휘둘렀고 팀도 11:9로 승리했다. 6월 10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전에서 솔로홈런을 때려내며 시즌 2호 홈런을 기록했다. 6월 18일 [[클리블랜드 가디언스]]전에서 1타점 3루타를 기록했고, 19일에는 [[셰인 비버]]에게 동점 적시타를 때려냈다. === 7월 === ||<-15>
'''{{{#FFFFFF 7월 월간 기록}}}''' || || '''{{{#005A9C 경기}}}''' || '''{{{#005A9C 타수}}}''' || '''{{{#005A9C 안타}}}''' || '''{{{#005A9C 2루타}}}''' || '''{{{#005A9C 3루타}}}''' || '''{{{#005A9C 홈런}}}''' || '''{{{#005A9C 득점}}}''' || '''{{{#005A9C 타점}}}''' || '''{{{#005A9C 볼넷}}}''' || '''{{{#005A9C 삼진}}}''' || '''{{{#005A9C 도루}}}''' || '''{{{#005A9C 타율}}}''' || '''{{{#005A9C 출루율}}}''' || '''{{{#005A9C 장타율}}}''' || '''{{{#005A9C OPS}}}''' || || 25 || 75 || 24 || 4 || 3 || 2 || 11 || 13 || 13 || 13 || 1 || .320 || .416 || .533 || .949 || 7월 7일 [[시카고 컵스]]전에서 시즌 3호 투런포를 날렸다. 7월 14일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전 7회초 4:0으로 달아나는 투런 홈런을 기록했다. === 8월 === ||<-15>
'''{{{#FFFFFF 8월 월간 기록}}}''' || || '''{{{#005A9C 경기}}}''' || '''{{{#005A9C 타수}}}''' || '''{{{#005A9C 안타}}}''' || '''{{{#005A9C 2루타}}}''' || '''{{{#005A9C 3루타}}}''' || '''{{{#005A9C 홈런}}}''' || '''{{{#005A9C 득점}}}''' || '''{{{#005A9C 타점}}}''' || '''{{{#005A9C 볼넷}}}''' || '''{{{#005A9C 삼진}}}''' || '''{{{#005A9C 도루}}}''' || '''{{{#005A9C 타율}}}''' || '''{{{#005A9C 출루율}}}''' || '''{{{#005A9C 장타율}}}''' || '''{{{#005A9C OPS}}}''' || || 21 || 71 || 19 || 3 || 2 || 2 || 11 || 12 || 8 || 21 || 1 || .268 || .342 || .451 || .793 || 8월 2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전에서는 4타수 2안타 2타점을 기록했다. 8월 13일 [[캔자스시티 로열스]] 원정에서는 홈런 포함 멀티히트를 기록하며 좋은 활약을 보여주었다. 8월 15일 [[밀워키 브루어스]]전에서 투런 홈런을 때려냈다. 8월 16일 [[밀워키 브루어스]]와의 2차전에서는 4타석 4삼진이라는 부진한 모습을 보여줬다. 8월 17일 경기에서는 결장했고, 18일 밀워키 원정 마지막 경기에서는 6회초 2사 1,2루 상황에서 [[코빈 번스]]를 상대로 스리런 홈런을 날릴 뻔 했으나, 중견수의 글러브에 맞고 인플레이가 되며 2타점 3루타로 변했다. 팀은 패했지만 그래도 4타수 2안타 2타점을 기록하며 부진을 떨쳐냈다. 미국시간 8월 22일 기준 .295/.371/.438 OPS .809를 찍어내며 (349타석으로 규정타석을 채운 성적이) 홈런이 다소 부족하긴 하지만 자신이 왜 다저스 탑 유망주인지를 몸소 증명중이다. 8월 30일 [[뉴욕 메츠]]전에서는 결승타 포함 4타수 2안타 3타점으로 팀의 4:3 승리를 이끌었다. === 9~10월 === ||<-15>
'''{{{#FFFFFF 9~10월 월간 기록}}}''' || || '''{{{#005A9C 경기}}}''' || '''{{{#005A9C 타수}}}''' || '''{{{#005A9C 안타}}}''' || '''{{{#005A9C 2루타}}}''' || '''{{{#005A9C 3루타}}}''' || '''{{{#005A9C 홈런}}}''' || '''{{{#005A9C 득점}}}''' || '''{{{#005A9C 타점}}}''' || '''{{{#005A9C 볼넷}}}''' || '''{{{#005A9C 삼진}}}''' || '''{{{#005A9C 도루}}}''' || '''{{{#005A9C 타율}}}''' || '''{{{#005A9C 출루율}}}''' || '''{{{#005A9C 장타율}}}''' || '''{{{#005A9C OPS}}}''' || || 15 || 56 || 9 || 2 || 0 || 0 || 5 || 0 || 1 || 17 || 0 || .161 || .175 || .196 || .372 || 9월 1일 [[뉴욕 메츠]]전에서는 [[답이 없는 한화의 수비|답이 없는 수비]]로 아주 그냥 경기를 말아먹으며 [[클레이튼 커쇼]]의 5이닝 1실점 호투에 먹칠을 했다. == 포스트시즌 == === [[2022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NLDS]] === ||<-15>
'''{{{#FFFFFF 2022 NLDS 기록}}}''' || || '''{{{#005A9C 경기}}}''' || '''{{{#005A9C 타수}}}''' || '''{{{#005A9C 안타}}}''' || '''{{{#005A9C 2루타}}}''' || '''{{{#005A9C 3루타}}}''' || '''{{{#005A9C 홈런}}}''' || '''{{{#005A9C 득점}}}''' || '''{{{#005A9C 타점}}}''' || '''{{{#005A9C 볼넷}}}''' || '''{{{#005A9C 삼진}}}''' || '''{{{#005A9C 도루}}}''' || '''{{{#005A9C 타율}}}''' || '''{{{#005A9C 출루율}}}''' || '''{{{#005A9C 장타율}}}''' || '''{{{#005A9C OPS}}}''' || || 4 || 13 || 3 || 1 || 0 || 0 || 0 || 1 || 0 || 5 || 0 || .231 || .231 || .308 || .538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의 [[2022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에선 4경기 13타수 3안타를 기록했다. 불안 요소였던 수비도 1차전과 4차전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우려를 잠재웠다.--오히려 트레이 터너가 2경기 연속 실책을 기록했고, 하나는 경기 승패에 직결됐다-- 하지만 2차전 6회말 1사 1,3루에서 초구를 타격해 병살타로 찬물을 끼얹었고, 팀도 시리즈 내내 빈타에 허덕이며 1승 3패로 탈락했다. == 총평 == 2022 시즌 들어 럭스는 과연 다저스 탑 유망주라는 것을 보여주며 타격 성적이 확연히 좋아졌다. 하지만 미흡한 부분도 있었는데, 홈런이 기대치보다는 부족했으며 무엇보다 타구 판단 미스와 보이지 않는 실책 등 수비에서 미흡한 부분이 많았다. 내년에는 수비에서의 미흡한 부분을 반드시 보완해야 하며 홈런을 자주 때려낼 수 있는 능력도 갖춰야 완성형 타자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2023 시즌은 무릎 부상으로 시즌아웃되고 말았다. == 관련 문서 ==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2022년]]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개빈 럭스/선수 경력, version=10, paragraph=3.4)] [[분류:개빈 럭스]][[분류:야구선수/커리어]][[분류:로스앤젤레스 다저스/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