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한의 일반철도 노선)]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고사성어, rd1=개과천선)] [목차] == 개요 == [[신안주청년역]]과 [[개천역]]을 잇는 철도 노선. 총 연장길이 29.5km. 두 역은 각각 [[평의선]]과 [[만포선]]이라는 장거리 간선 철도(평의선 224.8km, 만포선 303.4km)에 소속되어 있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일단 중요하며, 특히나 개천역의 경우 '''평안북도, 자강도 전체 및 평안남도 일부의 역 모두'''를 총괄하고 있는 중요한 역이라서(일명 개천철도총국) 이 노선의 주가가 꽤 높다. 상세한 정보는 [[개천역]] 문서를 참고할 것. 게다가 평의선과 만포선 모두 국제 철도로 연계된다. 평의선은 [[안봉선]](소위 말하는 [[남만주철도]]가 바로 이것)을 통해서 단둥(丹東)을 거쳐 선양(瀋陽 - 고려 후기에 등장하는 심양왕의 심양이 바로 이거다)에 이르고, 만포선은 지안(集安)을 지나 퉁화(通化), 랴오위안(遼源)을 거쳐 쓰핑(四平)에 이른다. 참고로 쓰핑에서 북쪽으로 가면 창춘(長春)이 나오는데, 이 지역에 러시아가 부설한 철도가 바로 둥칭 철도. 단 개천선의 건설 시기는 1915년으로 만포선의 1939년보다 무려 24년이나 앞선다. 따라서 초기에는 중요 도시인 [[안주시|안주군]][* 시로 승격된 것은 북한 체제의 성립 이후의 일이다.][* 평안도의 '안'이 바로 이 '''안주'''에서 따온 것이다.]과의 연계성 및 자원의 수탈[* 개천선을 따라 [[청천강]]이 흐르는데, 이 일대로 [[안주 평야]]가 펼쳐져 있다.]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음을 추정해볼 수 있다. 원래는 협궤로 건설되었으나, 북한 정권 수립 후 [[경의선]]과의 연계성 문제 때문에 1435mm 표준궤로 건설했으며, 전 구간이 전철화되어 있다. 신안주 이북의 평의선과 안주,숙천과 만포선을 오가는데 유용해졌다. 신의주-신안주-개천-희천간 열차도 운행하고있다. == 역 목록 == 두음법칙을 인정하지 않는 [[문화어]] 규정에 따라 적었다. |||||||||||||||| 개천선 역 목록 || |||| 역 명 || 역간거리 || 기점거리 || 종점거리 || 분기노선 || 비고 || 소재지 || || [[신안주청년역|신안주청년]] || 新安州靑年 || 기점 || 0.0 || 29.5 || [[평의선]] || ||<|5><#e0e0ff><:> 평남 안주시 || || [[안주역|안 주]] || 安 州 || 5.6 || 5.6 || 23.9 || || || || [[북송리역|북송리]] || 北松里 || 7.4 || 13.0 || 16.5 || || || || [[연풍역(북한)|연 풍]] || 延 豊 || 4.7 || 16.7 || 12.8 || || || || [[운흥리역|운흥리]] || 雲興里 || 5.5 || 22.2 || 7.3 || || || || [[개천역|개 천]] || 价 川 || 7.3 || 29.5 || 0.0 || [[만포선]][br][[구성선]][br][[조양탄광선]] || || 평남 개천시 ||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분류:북한의 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