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삼성 갤럭시 북 시리즈)] ||<-2> [br] {{{#000,#fff {{{+5 '''Galaxy Book2 Pro 360''' }}}}}} [br] {{{#000,#fff {{{-3 13인치-'''NT930QED, NT930QEW''' | 15인치-'''NT950QED, NT950QEW''' }}}}}} [br] [br] || ||<-2> [[파일:4.-삼성-갤럭시-북2-프로-360_13형_라이프스타일-1024x768.jpg|width=100%]] || ||<-2> [[https://www.samsung.com/sec/pc/galaxybook/|{{{#ffffff 한국 삼성전자 공식 사이트}}}]] || [목차] == 개요 == [[삼성전자]]가 2022년 2월 27일 공개한 [[Windows 11]] [[노트북 컴퓨터]] 겸 [[컨버터블 PC]]다. [[갤럭시 북 Pro 360]]의 후속작으로 개발되었다. == 사양 == === 13.3인치 === ||<-2> '''{{{+1 갤럭시 북2 Pro 360}}}''' [br] {{{-1 NT930QE*}}} [br] || ||<|3> CPU || ||Intel Core [[엘더레이크|i5-1240P 프로세서]] (4P [[SMT]] + 8E, 최대 4.4GHz) || ||Intel Core i7-1260P 프로세서 (4P SMT + 8E, 최대 4.7GHz) || || iGPU ||Intel [[인텔/GPU#s-3.15|Iris Xe Graphics]] (80EU / 96EU) || || RAM ||8 / 16GB LPDDR5 SDRAM || || 화면 ||13.3인치 1920 x 1080 Super AMOLED 디스플레이 ([[DCI-P3|P3]] 컬러 볼륨 120%)[br][[터치스크린]], 와콤 EMR 센서 ([[S펜]] 지원) || || 스토리지 ||256GB / 512GB / 1TB PCIe 4.0 M.2 SSD || || 네트워크 ||Wi-Fi 6E, 블루투스 5.2 지원 ([[인텔#s-5.6.2|AX211D2W]]) || || 카메라 ||1080p FHD 카메라 || || 배터리 ||63Wh 내장형 [[이차 전지#s-2.3|Li-Ion 배터리]] || || 규격 ||302.5 x 202.0 x 11.5mm, 1.04kg|| || 포트 ||1 x [[Thunderbolt(인터페이스)#s-4.4|Thunderbolt 4]] (USB4)[br]2 x USB Type-C[br]1 x microSD 카드 슬롯[br]1 x 3.5mm 콤보 잭|| || 운영체제 ||미탑재[*OS Tiny Core Linux] / Windows 11 Home || || 보안기능 ||지문인식 || || 오디오 ||2채널 4W 스피커 (스마트 앰프) [br] [[AKG]] 튜닝 및 [[Dolby Atmos]] 지원 || || 기타 ||[[Intel Evo]] 인증, [[밀스펙|MIL-STD-810H]] 통과[br]키보드 백라이트 탑재,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1 {{{#!folding [센서 정보] ||주변광, 가속도, 자이로||}}}}}}}}}|| * 2023년 1월 출시한 Snapdragon 8cx Gen 3를 탑재한 NT930QNA-K58G {{{#!wiki style="word-break:keep-all" ||[[SoC]]||[[퀄컴]] [[퀄컴 스냅드래곤/컴퓨트 플랫폼 라인업#8CX / SC8180X|스냅드래곤 8cx]] Gen 3 Compute Platform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1 {{{#!folding [사양 정보] ||<|2>[[CPU]]||4x Qualcomm Kryo 680 Prime, 최대 3.0 GHz|| ||4x Qualcomm Kryo 680 Gold, 최대 2.4 GHz|| ||[[GPU]]||Qualcomm Adreno 690, --- MHz|| ||[[모뎀]]||Qualcomm Snapdragon X24 LTE Modem|| ||기타||10 MB L3 Cache 등||}}}}}}}}}|| ||[[RAM]]||8 GB LPDDR4X SDRAM|| ||스토리지||256 GB [[UFS]] 3.0 규격 내장 메모리|| ||화면||13.3인치 16:9 비율 [[해상도/목록|1920 x 1080]] (FHD) 광시야각 [[LED]] Display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1 {{{#!folding [사양 정보] ||<:>공급사||[[BOE]]|| ||종류||RGB 서브픽셀 방식 TFT-LCD|| ||사양||-|| ||기타||-||}}}}}}}}}, [br] 10점 터치 지원 [[터치 스크린]]|| ||[[네트워크]]||{{{#!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 '''기본지원''' || [[LTE]] Cat.18·13 FDD & [[TD-LTE|TDD]]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 '''기본지원''' ||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 ||근접통신||[[Wi-Fi]] 1/2/3/[[Wi-Fi 4|4]]/[[Wi-Fi 5|5]], [[블루투스]] 5.1+LE|| ||위성항법||[[GPS|GPS & A-GPS]], [[GLONASS]], Galileo, [[Beidou]]|| ||[[카메라]]||웹캠 130만 화소 및 얼굴인식 지원|| ||[[배터리]]||내장형 Li-Polymer 63 Wh - - Cell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 || 유선고속충전 ||[[USB PD|USB Power Delivery]] 2.0 (25W[* 제품 표기상 정격입력 9V 2.77A]) ||}}}}}}|| ||<|2>[[운영체제]]||[[Windows 11|Windows 11 Home]]|| ||[[Windows 10|Windows 10 Pro]] → [[Windows 11|Windows 11 Pro]]|| ||규격||302.5 x 202 x 11.5 mm, 1.04 kg|| ||단자||[[USB 3.0|USB 3.1 Gen1]] Type-C x 3, 3.5 mm 단자 x 1, [[Secure Digital|micro SDXC]] 카드 슬롯 x 1|| ||생체인식||[[지문인식]] - [[Windows Hello]] 연계(에어리어 방식 별도 센서 탑재)|| || 오디오 ||2채널 4W 스피커 (스마트 앰프) [br] [[AKG]] 튜닝 및 [[Dolby Atmos]] 지원 || ||기타||{{{#!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기타 탑재 센서 정보 ] ||홀, 조도 ||}}}}}}|| }}} === 15.6인치 === ||<-2> '''{{{+1 갤럭시 북2 Pro 360}}}''' [br] {{{-1 NT950QE*}}} [br] || ||<|3> CPU || ||Intel Core [[엘더레이크|i5-1240P 프로세서]] (4P [[SMT]] + 8E, 최대 4.4GHz) || ||Intel Core i7-1260P 프로세서 (4P SMT + 8E, 최대 4.7GHz) || || iGPU ||Intel [[인텔/GPU#s-3.15|Iris Xe Graphics]] (80EU / 96EU) || || RAM ||8 / 16 / 32GB LPDDR5 SDRAM || || 화면 ||15.6인치 1920 x 1080 Super AMOLED 디스플레이 ([[DCI-P3|P3]] 컬러 볼륨 120%)[br][[터치스크린]], 와콤 EMR 센서 ([[S펜]] 지원) || || 스토리지 ||256GB / 512GB / 1TB PCIe 4.0 M.2 SSD + 추가 슬롯 1 || || 네트워크 ||Wi-Fi 6E, 블루투스 5.2 지원 ([[인텔#s-5.6.2|AX211D2W]]) || || 카메라 ||1080p FHD 카메라 || || 배터리 ||68Wh 내장형 [[이차 전지#s-2.3|Li-Ion 배터리]] || || 규격 ||354.9 x 228 x 11.9mm, 1.41kg || || 포트 ||1 x [[Thunderbolt(인터페이스)#s-4.4|Thunderbolt 4]] (USB4)[br]2 x USB Type-C[br]1 x microSD 카드 슬롯[br]1 x 3.5mm 콤보 잭|| || 운영체제 ||미탑재[*OS] / Windows 11 Home || || 보안기능 ||지문인식 || || 오디오 ||2채널 5W 스피커 (스마트 앰프) [br] [[AKG]] 튜닝 및 [[Dolby Atmos]] 지원 || || 기타 ||[[Intel Evo]] 인증, [[밀스펙|MIL-STD-810H]] 통과[br]키보드 백라이트 탑재,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1 {{{#!folding [센서 정보] ||주변광, 가속도, 자이로||}}}}}}}}}|| == 상세 == [[갤럭시 북 시리즈]]는 2021년 4월을 기점으로 초경량 라인업인 [[갤럭시 북 Pro]] 시리즈, 기본 라인업인 [[갤럭시 북]], 게이밍 기어 라인업인 [[갤럭시 북 Odyssey]]으로 분화되었다. 이 중 갤럭시 북2 Pro는 [[갤럭시 북 시리즈]] 중에서 고성능 모델로서 그 해에 공개되는 [[갤럭시 북 시리즈]] 중에서 최고 사양을 구현한 노트북이다. 그 중 갤럭시 북2 Pro 360은 일반적인 노트북 사용 환경을 지원하는 본 모델인 [[갤럭시 북2 Pro]]과 달리 2-in-1 컨버터블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360도 회전 힌지 부품, 터치스크린, [[S펜]]을 지원한다. 단, S펜을 기기 내부에 수납할 수는 없다. '''그에 따라 [[갤럭시 북 Flex|이전]] 대비 S펜 분실 위험이 상당히 커졌으니 주의할 것.''' === 기능 === ==== 기본 앱 ==== [[갤럭시 에코시스템]]의 구축을 위해 [[삼성 갤럭시]]의 기본 앱이 [[갤럭시 북 시리즈]]에도 추가 및 업데이트 되었다. * [[SmartThings]] * [[PENUP]] * 라이브 메세지 * 라이브 월페이퍼 * [[링크 공유]] * 퀵 서치 * [[퀵 쉐어]] * [[삼성 DeX]] * [[삼성 갤러리]] * [[삼성 노트]] * 삼성 블루투스 동기화 * 삼성 스튜디오 플러스 * [[삼성 플로우]] * Galaxy Book Experience * [[빅스비]] * [[삼성 TV 플러스]] == 주변기기 및 액세서리 == === [[삼성전자/액세서리 목록|액세서리]] === * [[S펜]] * [[삼성 PD 배터리 팩]] * [[삼성 유니버셜 충전기|삼성 유니버셜 충전기 (삼성 65 W PD 충전기)]] * [[삼성 멀티 포트 어댑터]] * [[삼성 스마트 키보드 트리오 500]] ==== 번들 액세서리 ==== * [[S펜]] * [[삼성 유니버셜 충전기|삼성 유니버셜 충전기 (삼성 65 W PD 충전기)]] == 출시 == === 한국 시장 === 2022년 3월 18일 사전 판매가 공식 런칭 했다. [[https://www.samsung.com/sec/event/galaxybook2/pre-order/]] 2022년 4월 1일 정식 판매 시작했다. === 한국 시장 이외 === == 소프트웨어 지원 == === 제조사 공식 === ==# 공개 전 정보 #== "갤럭시북2 프로" 라는 이름의 삼성 노트북들이 블루투스 인증 리스트에 등록되었다. 이 모델들은 내년에 출시될 갤럭시북 프로 시리즈의 후속작으로 보인다. [[파일:laptop-20211227-012855-000.png]] 리스트에 등록된 모델들은 다음과 같다. NT930QED → 13인치 투인원 모델 NT930QEW → 13인치 투인원 모델 변형 NT950QED → 15인치 투인원 모델 NT950QEW → 15인치 투인원 모델 변형 얼마 전 삼성 930QED 모델에 14코어(6빅 + 8리틀) 엘더레이크와 ddr5를 탑재했다는 정보가 유출된 적이 있다.[[https://www.sammobile.com/news/samsung-next-laptop-intel-alder-lake-cpu-ddr5-spotted-online/|#]] 따라서 위 모델들에는 모두 엘더레이크가 탑재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투인원 모델이 qed와 qew로 나누어져 있는데 무슨 차이가 있을지 의문. 13인치가 존재하지 않았다면 외장그래픽 탑재라고 추측이 가능한데 nt930qew도 존재해서 그건 아닐것 같다. [[파일:galaxy-20220125-231341-000.png]] 삼성전자는 2월 28일~3월 3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WC 2022'에서 갤럭시북2 프로, 갤럭시북2 프로360 등을 공개하는 언팩 행사를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온라인 진행을 논의하되 실물 전시는 병행할 것으로 보인다. 갤럭시북2 프로와 갤럭시북2 프로360은 13.3형, 15.6형 2개 크기로 출시될 전망이다. 인텔 12세대 앨더 레이크 혹은 AMD 젠4 기반 라이젠 6000 시리즈 등 최신 중앙처리장치(CPU)를 탑재하고, 능동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디스플레이를 기본 적용할 것으로 보인다. 와이파이(Wi-Fi) 6E, 블루투스 5.2를 지원하는 AX211 또는 AX210 모뎀 탑재도 유력하다. 360도 회전이 가능한 갤럭시북2 프로360은 이전 모델과 마찬가지로 슈퍼 AMOLED와 S펜이 기본 탑재될 것으로 예상된다. == 논란 및 문제점 == * Caps Lock 키는 불이 켜져서 눌러졌다는 걸 알 수 있는데 Num Lock 키는 [[그런 거 없다|그런 게 없다.]] 이건 전작인 [[갤럭시 북 Pro 360]] 에서도 마찬가지다. * 전작에서도 탑재되지 않은 120Hz 주사율이 또 탑재되지 않았다. 이로 인해 S펜 레이턴시가 갤럭시 탭 S8 시리즈보다 느리다. * 전작과 마찬가지로 S펜 에어액션을 사용할 수 없다. 아무래도 갤럭시북 특성상 기기 내장 수납이 가능해야 S펜 에어 액션을 지원할 수 있다 보니 갤럭시탭처럼 무선충전 커낵터를 탑재하지 않는 한 내장 S펜이 아닌 S펜은 에어액션 탑재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 OLED 디스플레이로 인한 문제점 === AMOLED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면서 기존 제품에 비해 명암비가 개선되었고, 색재현력에서도 장점이 있으나[* DCI-P3를 120% 충족한다.] 없던 단점이 발생했다. '''영상 시청에는 이점을 가지지만 텍스트 가독성 문제가 매우 심각한 수준인 것.''' 디스플레이에 OLED를 쓰면서 기존 RGB배열이 아닌 서브픽셀 RGB 방식의 배열을 채택하여 Windows의 [[클리어타입]] 글꼴과 호환이 되지 않는 현상이 일어나 기존에 '''꺼져야하는 화소가 켜지면서''' 글자가 뿌옇게 보이는 문제다. 해결책은 두가지가 있다. [[클리어타입]]을 끄거나[* 클리어타입을 끄면 글씨가 뿌옇게 된다. 벡터 글꼴을 쓰기에는 해상도가 부족하다는 의미이다. 비트맵 글꼴([[굴림체]], [[돋움체]])로 바꿔 사용하면 예전처럼 선명한 글씨를 볼 수 있다.], MS가 Windows의 [[클리어타입]] 업데이트 해주길 손가락 빨며 기다린다. 그래픽 드라이버 등의 삼성 업데이트를 통해서도 해결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업데이트 이후에도 여전히 같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파일:업데이트 전후.jpg|width=700px]]] [[클리어타입]](=[[LCD]]의 서브픽셀 배열에 최적화된 X축 안티에일리어싱)이 저해상도에서 글꼴의 선예도를 높이기 위해 서브픽셀을 개별적으로 컨트롤하는 일종의 꼼수이니만큼, 사실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의 해상도를 높여야 한다. 즉 이 문제는 O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하면서 OLED 수명을 손쉽게 늘리기 위해 서브픽셀을 바꿨으면서도 해상도를 FHD(1920×1080)로 그대로 유지했다는 점이 가장 근본적인 문제이다. 통상 OLED는 번인 문제로 인해 RGB 소자들 중 번인이 가장 잘 생기는 Blue 소자를 LCD보다 더 넓게(색소를 더 많이) 집어넣는데, [[갤럭시 탭]]같은 자사 기기나 다른 브랜드의 OLED 탑재 노트북들에서는 QHD나 4K의 고해상도로 특수한 소자 배치에서 오는 가독성 문제를 커버하는 반면 '''갤럭시 북 Pro는 그냥 FHD의 낮은 해상도를 집어넣은 것이 문제였다.''' [[https://youtu.be/IJHqvJSGXnY|Colorscale 리뷰]] 다만 번인이 일어나는 OLED 특성상 번인의 방지를 막기 위해 픽셀의 크기를 (다른 소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키우는 것이 아닌 절대적 크기를) 키우기 위한 방안으로 FHD를 넣었을 수 밖에 없는 가능성도 있으며(갤럭시탭보다 노트북이 화면을 더 오래 킨다.), 이는 배열에서 번인에 특히 취약한 청색 소자가 유독 크다는 부분에서 이에 대한 고려를 했음을 추측해 볼 수도 있다. [[분류:삼성 갤럭시 북 시리즈]][[분류:인공지능 디바이스(Bixby)]][[분류:노트북 컴퓨터(윈도우)/삼성]][[분류:스마트 디바이스/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