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링크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갤럭시(유희왕), top2=No.)] [[파일:銀河衛竜.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 명칭=갤럭시 새털라이트 드래곤, 일어판 명칭=銀河衛竜(ギャラクシー・サテライト・ドラゴン), 영어판 명칭=Galaxy Satellite Dragon, 레벨=2, 속성=어둠, 종족=드래곤족, 공격력=2000, link1=, link3=, 소재=드래곤족 몬스터 2장,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 상대의 배틀 페이즈에\, 필드 /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필드의 원래의 종족 / 속성이 드래곤족 / 빛 속성인 "No."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배틀 페이즈 종료시까지\, 상대가 받는 전투 데미지는 절반이 되고\, 대상 몬스터의 공격력은\, 그 몬스터가 가지는 "No."의 수치 × 100이 된다., 효과2=②: 상대 엔드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카드 1장을 골라 덱의 맨 위에 놓는다.)] [[카오스 임팩트]]에서 등장한 2번째 [[갤럭시(유희왕)|갤럭시]] 링크 몬스터로, "은하위룡"이라 쓰고 "갤럭시 새털라이트 드래곤"이라 읽는다. [[갤럭시아이즈 솔플레어 드래곤]]이 포톤 / 갤럭시와 관계된 효과가 있다면, 이쪽은 드래곤족 / 엑시즈 몬스터, 특히 [[No.]]와 관계된 효과가 있는 게 특징이며, [[RUM-더 세븐스 원]]과 연계가 가능하다. 효과와 링크 소재, 그리고 [[No.107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드래곤]]을 닮은 외형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텐조 카이토]]의 지원이라기보단 [[미자엘]]의 지원에 가깝다. ①의 효과는 카이토의 최종 몬스터인 [[No.62 갤럭시아이즈 프라임 포톤 드래곤|프라임 포톤]]과 비슷한 공격력 상승 효과지만, 더 정확히는 해당 [[No.]]의 공격력을 일정치로 만드는 효과. 최소 수치도 [[No.38 희망괴룡 타이타닉 갤럭시]]의 3800, 최대 수치는 [[No.107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드래곤]] 또는 [[CNo.107 네오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드래곤]]의 '''10700'''이 되므로 어떤 몬스터든 강화시킬 수 있다. 전투 데미지가 반감되지만 9000 이상이 되면 강화 전보다 데미지가 커져 이 카드로 공격을 실행하면 디메리트도 경감시킬 수 있다. 효과 대상이 되는 몬스터는 다음과 같다. *[[No.107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드래곤]], [[CNo.107 네오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드래곤]] - 10700 *[[No.100 누메론 드래곤]] - 10000 *[[No.99 희망황룡 호프드라군]] - 9900 *[[No.91 썬더 스파크 드래곤]] - 9100 *[[No.62 갤럭시아이즈 프라임 포톤 드래곤]], [[CNo.62 네오 갤럭시아이즈 프라임 포톤 드래곤]] - 6200 *[[No.46 신영룡 드래글루온]] - 4600 *[[No.38 희망괴룡 타이타닉 갤럭시]] - 3800 ②의 효과는 상대 엔드 페이즈에 덱 맨 위의 카드를 서치할 수 있는 효과. 카드 종류를 불문하고 드로우 페이즈에 드로우할 수 있지만, 자신의 능력치가 낮아 상대 턴에 제거될 가능성이 높다. 상대 엔드 페이즈에 소생시켜 효과를 발동시키거나 [[No.38 희망괴룡 타이타닉 갤럭시]]와 같은 공격대상을 바꾸는 카드를 쓰는 편이 현실적인 전략이다. 가장 상성이 좋은 카드는 [[RUM-더 세븐스 원]]으로, 다음 턴에 드로우하면 네오 타키온을 엑시즈 소환할 수 있다. 그 경우,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연속 공격을 발동해 묘지에서 ①의 효과도 발동할 수 있어 원턴킬이 쉬워진다. 일단 링크 소재와 속성 때문에 일반적인 갤럭시 덱에선 쓰기 힘들다보니 [[갤럭시 스텔스 드래곤]]처럼 드래곤족 위주의 덱이나 거신룡 갤럭시 덱에서 쓸만한 카드. 또한 ①의 대상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라도 드래곤족을 주축으로 하면 ②를 목적으로 채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No.의 숫자에 관련된 효과는 여태까지 특정 범위에 있거나 같은 숫자의 No.인지를 참조하는 것이었지만, 이 몬스터의 ①의 효과는 숫자가 얼마나 크냐에 따라 달린 최초의 사례.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카오스 임팩트]] || CHIM-KR047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카오스 임팩트|CHAOS IMPACT]] || CHIM-JP047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br]20th [[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카오스 임팩트|Chaos Impact]] || CHIM-EN047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분류:유희왕/OCG/링크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