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ffffff {{{+1 갯첨서}}}(물땃쥐)[br]Water shrew}}}''' || ||<-5>{{{#!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갯첨서.jpg|width=100%]]}}} || ||<#F93> '''학명''' || ''' ''Neomys'' '''[br]Kaup, 1829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포유류|포유강]]^^Mammali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상목'''}}}]] ||[[로라시아상목]]^^Laurasiatheri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진무맹장목^^Eulipotyphl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땃쥐과^^Soricidae^^|| || [[생물 분류 단계#족|{{{#000 '''족'''}}}]] ||갯첨서족^^Nectogalini^^||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갯첨서속^^''Neomys''^^'''|| [목차] [clearfix] == 개요 == 갯첨서, 또는 물땃쥐는 [[땃쥐]]의 일종으로 지상성인 다른 땃쥐들과 달리 반수생 생활에 특화된 종류다. 좁은 의미에서 갯첨서(Neomys fodiens) 한종만을 가리키기도 한다. [[데스만]]과 생김새와 생태가 유사하나 데스만은 두더지과, 갯첨서는 땃쥐과에 속하므로 가까운 관계는 아니다. == 분포 == 대부분 아시아 일대와 유럽 지역에 분포하며, 갯첨서(Neomys fodiens)는 아시아 북부(한반도 중부 이북, 중국 북부, 러시아)부터 유럽 전역에 분포한다. 이 종은 [[한반도]] 중부 이남에선 발견되지 않으며, 강원도 일부지역에서나 드물게 관찰된다. == 생태 == 일반 땃쥐류에 비해 털이 매우 촘촘하게 나 있으며 방수성이라 물을 튕겨낸다. 조밀한 털에 공기를 가둬 체온을 보존하며 물에서 나오면 꼭 털을 다듬어 물기를 털어낸다. 발에는 뻣뻣한 털이 나있어 마치 물갈퀴 같은 역할을 한다. 물가에 굴을 파서 살고 주로 물속에서 먹이사냥을 하는데, 약 20초까지 잠수할 수 있으며 물속을 분주히 쏘다니며 수생동물이면 뭐든 잡아먹는다. 독을 분비하여 사냥감을 제압하는 땃쥐 중 하나다.[* 모든 땃쥐가 독을 지니고 있지는 않다.] 번식기는 4월부터 9월까지 2~3회 번식하며 새끼는 7주가 지나면 독립한다. 수명은 3년 정도다. [[분류:갯첨서속]][[분류:독이 있는 포유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