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Guckkasten(앨범))] [include(틀:국카스텐)] ||<-2>
{{{#fff '''{{{+2 거울}}}'''[br]{{{-2 '''Guckkaste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카스텐_1집.jpg|width=100%]]}}} || || '''작사''' || [[하현우]] || || '''작곡·편곡''' || [[국카스텐]] || || '''발매''' || 2008. 12. 29. || || '''유통사''' || [[카카오엔터테인먼트|[[파일:카카오엔터테인먼트 로고.svg|width=70]]]] || ||<-2> [[국카스텐|[[파일:국카스텐 로고 블랙.sv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3 '''거울'''}}} {{{#7d7d7d {{{-1 '''01'''}}}}}}[br]{{{#7d7d7d 4' 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000; background-color: #000; font-size: 0.6em;" {{{#e8e8e8 '''TITLE'''}}}}}}[br] [br]{{{#999999 {{{-2 '''어느 날 거울 속에 비친 벌거벗은 내 모습과 TV에서 흘러나오던 '뽕짝'에 영감을 받아 만든 곡입니다. 국카스텐 결성 초기에 만들어졌는데요, 거울에 투영된 자아의 균열과 상실, 혼란을 노래하고 있습니다.'''}}}}}}[br] [br]|| [[록밴드]] [[국카스텐]]의 1집 타이틀 곡. [[EBS 스페이스 공감]] 2008년 헬로루키에서 대상을 받으며 주목을 받은 [[노래]]이다. '''2010년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록 노래부문'''을 수상했다. '''국카스텐을 상징하는 대표곡이자 2000년대 한국의 대표적인 사이키델릭 곡'''이다. 거울 속에 비친 자아의 균열과 상실, 혼란들을 노래한 곡으로 [[싸이키델릭 록]]을 연상하게 하는 멜로디와 중독성 강한 기타 리프가 자극적인 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뮤비는 초창기 버전으로, 앨범 버전과는 가사 순서 등 곡 진행에 있어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곡의 분위기에 맞게 상당히 기괴하다. == M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7px" [youtube(nj2b9teoQSY, width=100%)]}}} || || {{{#fff '''MV'''}}} || == 가사 == || 벌거벗은 너의 시선은 벌거벗은 내 몸을 보고 차갑게 너는 나를 안고 야속하게도 키스했네 단단했던 너의 향기에 흔들렸던 나의 발걸음은 비틀거리며 지쳐갔네 비참하게도 너를 찾네 조용히 귀를 막은 채 눈을 감으며 춤을 추는 너 등 뒤에 나를 놓은 채 거울을 보며 춤을 추는 너 거칠은 손을 내밀며 같이 하자고 말을 하는 넌 불안한 몸짓으로 난 거울을 보며 나를 찾고 있네 눈을 가린 채 춤을 추네 귀를 막은 채 춤을 추네 눈을 가린 채 춤을 추네 귀를 막은 채 춤을 추네 조용히 귀를 막은 채 눈을 감으며 춤을 추는 너 등 뒤에 나를 놓은 채 거울을 보며 춤을 추는 너 거칠은 손을 내밀며 같이 하자고 말을 하는 넌 불안한 몸짓으로 넌 거울을 보며 나를 찾고 있네 || == 인터뷰 == >Q. '''「거울」에 담긴 의미는 무엇인가?''' >A. 자아 균열에 관한 이야기다. 딱 내 노래라고 할 수 있다. 재떨이를 봐도 나 같고, 똥을 봐도 나 같은 것처럼 어떤 사물을 통해서 자기 자신을 바라본 것이다. 거울에 비친 내가 또 다른 인격체로 보이면서 흘러나오는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고, 그 거울의 또 다른 자아와 함께 춤을 추고 있는데 박자는 제대로 맞지 않고, 귀를 막고 눈을 가린 채로 춤을 추는데 자신은 점점 흔들리고. 이렇게 균열되어 가는 자아를 표현한 노래다. >----- >[[http://ch.yes24.com/Article/View/15097|#]] >Q. '''정규 1집 앨범을 리마스터링도 아니고 리레코딩(재녹음)해서 재발매했어요.''' >A. 국카스텐 1집은 분명 명반이 될 거니까요. 그걸 그 상태로 놔두면 안 될 것 같았어요. 사운드 적으로 모자란 부분이 많았기 때문에. 가진 돈 다 털어서 녹음했어요. 그리고 1집엔 '거울'이 있으니까. 딱 그 한 곡. ''''거울' ''' 때문에. >----- >(F.OUND magazine 인터뷰 中) >Q. '''현우씨한테 '거울'이라는 곡이 왜 그렇게 특별해요?''' >A. 내 상태와 많이 닮아있어서요. 나를 잘 대변하는 노래에요. 마지막 부분 있잖아요. '거울을 보며 나를 찾고 있네.' 그걸 나는 기호학적으로 이렇게 팔에 새겨 넣은 거죠. >----- >(F.OUND magazine 인터뷰 中) == 여담 == 조성 : 나단조(Bm) 최고음 : '''3옥타브 레(D5)''' 사실상 국카스텐의 이미지에 지대한 공헌을 한 곡으로, 그들의 정체성과 추구하는 바, 추구하는 사운드, 대중지향적인 멜로디의 모든 것이 버무려진 그들의 대표곡. 국카스텐이 이 곡을 라이브 하면 관객들이 기타 멜로디를 때창한다. 이 구절의 악보가 하현우의 왼팔에 [[문신]]으로 새겨져 있기도 하다. ~~따→라↗라↘라→ 따↗라↘라↗라→ 따↗라↘라↘라↘라↘ 따↗라↘라↘라↘라↘~~ 보컬 [[하현우]]가 벌거벗은 자신의 모습에서 영감을 얻어 만든 노래라고 한다. 기타 리프는 [[국카스텐|전규호]]와 [[하현우]]가 앉아서 통기타로 만들었다고 한다. 예전에 강원도에 있을 때 실내 포장마차를 했었는데, 일 끝나고 집에 와서 저녁에 트로트 같은 리듬으로 놀아볼까 하다가 만들어진 리프라고 한다.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지학사,2018년 개정판)에 2000년대~현재를 대표하는 곡으로 소개되었다. 실제로 이 곡을 커버하는 아마추어 밴드들의 숫자가 어마어마한 수준이라고 한다. 뮤직 비디오는 홍익대 다니는 학생들이 모션그래픽 과제로 그냥 아무런 이권없이 만들어 줬다고 한다. 개그콘서트 [[베테랑(개그콘서트)|베테랑]]의 BGM으로 사용되었으며, 음악프로그램 [[문화콘서트 난장]]에서 보컬 [[하현우]]가 MC로서 등장할 때 흘러나오기도 했다. == 관련 문서 == [[국카스텐/디스코그래피]] [[하현우]] [[국카스텐]]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거울(동음이의어), version=6)] [[분류:국카스텐/디스코그래피]][[분류:가요]][[분류:록]][[분류:2010년 노래]][[분류:한국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