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12대 경남도의원/지역구)] ||<-4> '''[[대한민국|[[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height=20]]]] {{{#fff [[경상남도|{{{#fff 경상남도}}}]]의 [[경상남도의회|{{{#fff 의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경상남도의회|[[파일:지방의회 휘장.svg|height=70]]]]}}}||{{{#!wiki style="margin: -5px 0" '''{{{+2 {{{#fff 거창군 제1선거구}}}}}}'''[br]{{{-1 {{{#fff 상림리 상동을 제외한 거창읍[br]居昌郡 第一選擧區[br]Geochang District 1}}}}}}}}}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거창군_제1선거구8.png|width=100%]]}}} || ||<-2> '''선거인 수''' ||<-2> 27,345명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2년]]) || ||<-2> '''상위 행정구역''' ||<-2> [[경상남도]]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거창군 일부'''[br]거창읍(중앙리, 대동리, 대평리, 김천리, 송정리, 정장리, 장팔리, 서변리, 동변리, 학리, 양평리, 가지리, 상림리 원상동)}}} || ||<-2> '''도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 || [[박주언(정치인)|박주언]] ,,(초선),,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남도의회]]의 선거구로 상림리 상동을 제외한 [[거창읍]]을 관할한다. [[거창군]] 인구의 대부분이 거창읍에 살다보니 균형을 맞추기 위한 고충인 것으로 보인다. 읍내로 이루어진 지역인만큼 [[거창군 제2선거구|옆 지역]]보다는 당연히 보수세가 비교적 약하다. 하지만, 거창군 자체가 군 지역인데다 [[부산광역시]], [[창원시]]보다는 [[대구광역시]]와 더 가까울 정도로 [[대경권]]에 인접해 있으므로 [[국민의힘]] 지지세가 압도적이므로 이 곳도 그런 양상을 보인다. == 역대 선거 결과 == || 대수 || 당선자 || 당적 || 임기 || 비고 || ||<-5> '''거창군 제1선거구''' || || 제5대 || 김칠환 || [include(틀:민주자유당)]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 '''거창읍'''] || || 제6대 || 정종기 ||<|2>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4> [* '''거창읍''', 북상면, 위천면, 마리면] || || 제7대 ||<|3> [[백신종]]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 제8대 ||<|2> [include(틀:한나라당)]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 제9대 || [[2010년]] [[7월 1일]] ~ [[2014년]] [[3월 21일]][*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6회 지선]] 거창군수 출마를 위해 사직.] || || 제10대 || [[안철우(정치인)|안철우]]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4년]] [[7월 1일]] ~ [[2018년]] [[4월 2일]][*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7회 지선]] 거창군수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 ||<|3> [* '''거창읍'''('''중앙리''', '''대동리''', '''대평리''', '''김천리''', '''송정리''', '''정장리''', '''장팔리''', '''서변리''', '''동변리''', '''학리''', '''양평리''', '''가지리''', '''상림리 원상동''')] || || 제11대 || 강철우 || [include(틀:무소속)]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2> 제12대 || [[박주언(정치인)|박주언]] || [include(틀:국민의힘)] || [[2022년]] [[7월 1일]] ~ 현재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거창군 제1선거구'''}}}}}}[br]{{{#ffffff 거창읍}}}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칠환(金七煥)''' || '''11,518''' || '''1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62.91%''' || '''당선''' || ||<|2> {{{#FFFFFF {{{+5 '''2'''}}}}}} || 신홍습(愼虹濕) || 6,788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37.0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5,774 ||<|3> '''투표율'''[br]75./2% || || '''투표 수''' || 19,338 || || '''무효표 수''' || 1,032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거창군 제1선거구'''}}}}}}[br]{{{#ffffff 거창읍, 북상면, 위천면, 마리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정종기(鄭鍾己)''' || '''13,770'''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69.30%''' || '''당선''' || ||<|2> {{{#FFFFFF {{{+5 '''4'''}}}}}} || 민병주(閔丙周) || 6,098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30.6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33,421 ||<|3> '''투표율'''[br]62.29% || || '''투표 수''' || 20,819 || || '''무효표 수''' || 951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거창군 제1선거구'''}}}}}}[br]{{{#ffffff 거창읍, 북상면, 위천면, 마리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백신종]](白信鍾)''' || '''13,464'''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60.56%''' || '''당선''' || ||<|2> {{{#FFFFFF {{{+5 '''3'''}}}}}} || 신중광(愼重廣) || 8,766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39.4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33,750 ||<|3> '''투표율'''[br]68.64% || || '''투표 수''' || 23,168 || || '''무효표 수''' || 938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거창군 제1선거구'''}}}}}}[br]{{{#ffffff 거창읍, 북상면, 위천면, 마리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2'''}}}}}} || '''[[백신종]](白信鍾)''' || '''14,300'''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65.25%''' || '''당선''' || ||<|2> {{{#FFFFFF {{{+5 '''6'''}}}}}} || 임종귀(林鍾貴) || 7,614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34.7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34,600 ||<|3> 투표율[br]65.23% || || '''투표 수''' || 22,571 || || '''무효표 수''' || 657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거창군 제1선거구'''}}}}}}[br]{{{#ffffff 거창읍, 북상면, 위천면, 마리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백신종]](白信鍾)''' || '''8,567'''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36.02%''' || '''당선''' || ||<|2> {{{#FFFFFF {{{+5 '''7'''}}}}}} || 장인범(章仁範) || 1,896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7.96% || 낙선 || ||<|2> {{{#FFFFFF {{{+5 '''8'''}}}}}} || 김덕선(金德善) || 7,333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30.83% || 낙선 || ||<|2> {{{#FFFFFF {{{+5 '''9'''}}}}}} || 이태헌(李汰憲) || 5,987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25.1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35,191 ||<|3> '''투표율'''[br]69.98% || || '''투표 수''' || 24,630 || || '''무효표 수''' || 850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거창군 제1선거구'''}}}}}}[br]{{{#ffffff 거창읍(중앙리, 대동리, 대평리, 김천리, 송정리, 정장리, 장팔리, 서변리, 동변리, 학리, 양평리, 가지리, 상림리 원상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안철우(정치인)|안철우]](安哲右)''' || '''8,725'''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56.09%''' || '''당선''' || ||<|2> {{{#FFFFFF {{{+5 '''4'''}}}}}} || [[박주언(정치인)|박주언]](朴炷彦) || 6,828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43.9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4,829 ||<|3> '''투표율'''[br]65.32% || || '''투표 수''' || 16,220 || || '''무효표 수''' || 667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거창군 제1선거구'''}}}}}}[br]{{{#ffffff 거창읍(중앙리, 대동리, 대평리, 김천리, 송정리, 정장리, 장팔리, 서변리, 동변리, 학리, 양평리, 가지리, 상림리 원상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홍정희(洪正熙) || 4,836 || 3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6.22% || 낙선 || ||<|2> {{{#FFFFFF {{{+5 '''2'''}}}}}} || [[박주언(정치인)|박주언]](朴炷彦) || 6,561 || 2위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35.57% || 낙선 || ||<|2> {{{#FFFFFF {{{+5 '''6'''}}}}}} || '''강철우(姜喆宇)''' || '''7,044'''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38.19%'''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26,509 ||<|3> '''투표율'''[br]71.72% || || '''투표 수''' || 19,013 || || '''무효표 수''' || 572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거창군 제1선거구'''}}}}}}[br]{{{#ffffff 거창읍(중앙리, 대동리, 대평리, 김천리, 송정리, 정장리, 장팔리, 서변리, 동변리, 학리, 양평리, 가지리, 상림리 원상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2'''}}}}}} || '''[[박주언(정치인)|박주언]](朴炷彦)''' || '''8,367'''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52.15%''' || '''당선''' || ||<|2> {{{#FFFFFF {{{+5 '''4'''}}}}}} || 김기범(金起範) || 7,676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47.8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7,345 ||<|3> '''투표율'''[br]60.99% || || '''투표 수''' || 16,679 || || '''무효표 수''' || 636 || 현역 도의원인 [[무소속(정치)|무소속]] 강철우 도의원이 불출마하며 무조건 새 인물이 나오게 된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저번 지선때도 3등을 할 정도로 사지인데다가, [[제20대 대통령 선거|얼마 전 대선]] 패배 직후 치러지는 선거이므로 당선될 가능성이 아예 전무한 상황이다. 그러다보니 후보군을 찾지 못하고 후보를 내지 못했다. [[국민의힘]]에서는 저저번에는 [[무소속(정치)|무소속]], 저번에는 공천을 받아 출마했다 낙선한 박주언 전 경남, 울산지구 청년회의소(JC) 내무부회장과 성창헌 전 거창군 소상공인연합회장, 이 지역에서 재선 군의원을 지내는 중인 [[표주숙]] 전 군의회 부의장이 경선을 치러 박주언 후보가 승리하며 재도전이 확정되었다. 한편 경선 기회도 받지 못한 김기범 거창뉴딜정책연구소 소장이 무소속으로 출마한다. 개표 결과 국민의힘 박주언 후보가 5% 이내의 접전 끝에 3수만에 도의회에 입성하였다. [[분류:선거구/경상남도]][[분류:거창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