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조이드의 기체, rd1=건 블라스터)] [include(틀:V건담 주요 기체)] ||
[[파일:건블래스터(정면).png|width=80%]] || [[파일:건블래스터(후면).png|width=80%]] || ||<-2> 설정화 || [목차] == 제원 == ||
<-2>
{{{#white LM111E03 Gunblaster}}} || ||<-2> {{{#!folding [접기 · 펼치기] ||
형식 번호 ||LM111E03 || || 기체 명칭 ||건블래스터[br]ガンブラスター || || 기체 형식 ||양산형 우주용 모빌슈트 || || 운용 ||[[리가 밀리티어]] || || 배치 ||U.C 153 || || 파일럿 ||[[유카 마일라스]][br][[오델로 헨리크]][br][[토마슈 마사리크]] || || 조종계 ||전방위 모니터 [[리니어 시트]] || || 전고 ||14.9 m || || 중량 ||기본중량: 7.6 t[br]완비중량: 21.3 t || || 장갑재 ||티타늄 합금 세라믹 복합 재료 || || 출력 ||4,820 kw || || 추력 ||20,180 kg[br]18,630 kg[br]15,520 kg X 2[br]10,870 kg X 2 || || 애포지 모터 ||47 || || 가속력 ||4.30 G || || 무장 ||발칸 건 X 2[br]빔 사벨 X 2[br]빔 쉴드[br]빔 라이플[br]2연장 멀티 런처[br]스파이더 넷[br]빔 바주카 || }}} || == 개요 == [[기동전사 V건담]]에 등장하는 [[리가 밀리티어]]의 양산형 [[모빌슈트]] [[건이지]]를 [[우주]]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조한 형태. [[등(신체)|등]] 뒤에 [[바인더#s-3|윙 바인더]] 형태의 대형 [[부스터]] 유닛을 장착만 하면 되기 때문에 개조가 편하여 나중에 연방군에서 사용하게 되는 [[건이지]]의 일부도 이 형태로 개조시키게 된다. 등 뒤의 대형 부스터 유닛 '트윈 테일'을 장착하고 도색패턴이 달라진 것을 제외하면 건이지와 큰 차이는 없지만, 이 트윈테일 덕분에 기동성과 운동성이 향상되었으며 장시간 비행이 가능해졌다. 무장으로 기존 장비였던 빔 바주카를 메가 빔 바주카로 변경해 화력도 증가됐다. 등 뒤의 대형 [[부스터]]의 유무에 따라 '건블래스터'와 '[[건이지]]'로 구분되는 것이기 때문에, [[건프라]] 'HG 건블래스터'에서도 등 뒤의 파츠를 교환하여 '건이지'로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과거에는 영문 표기를 Blaster가 아니라 Blastor라는 좀 갸우뚱하게 만드는 스펠링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었다. 하지만 관련 제품이나 작품 소개 등에서 GunBlaster로 표기가 수정되었다. == 모형화 == === 구판 === [anchor(구판)] || 박스아트 || [[파일:구판144_건블래스터_박스아트.jpg|width=100%]] || [[파일:구판100_건블래스터_박스아트.jpg|width=100%]] || || 스케일 || 1/144 || 1/100 || || 발매 || 1993년 10월 || 1993년 8월 || || 가격 || 700엔 || 1,000엔 || || 리뷰 ||<-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9em" {{{#73bd42 '''달롱넷'''}}}}}} [[http://www.dalong.net/reviews/old/v11/v11.htm|1/144]] / [[http://www.dalong.net/reviews/old/vh3/vh3.htm|1/100]] || 양쪽 스케일의 공통점으로 백팩을 교환하는 방식으로 건이지를 재현할 수 있다. 구판 1/144은 건이지에서 사출색이 변경되고 트윈테일만 추가된 사양으로, 구성도 거의 같고 배경 카드의 차이만 있다. 구판 1/100은 구판 1/144의 확대판이라고 볼 수 있는데, 구판 1/144의 어깨가 잘 빠지는 문제는 해결된 반면, 가동식 손가락의 악력이 약해 무장간 고정성이 안좋다. === RE/100 === [anchor(리백)] ||<-2>
[[파일:RE100_건블래스터_박스아트.jpg|width=100%]] || || {{{#white 등급}}} || [[RE/100]] || || {{{#white 스케일}}} || 1/100 || || {{{#white 발매}}} || 2019년 3월 || || {{{#white 가격}}} || 3,500엔 || || {{{#white 리뷰}}} || [include(틀:국내 건프라 리뷰 표시)] [[http://dalong.net/reviews/cg/cgre09/cgre09_p.htm|달롱넷]][br][include(틀:해외 건프라 리뷰 표시)] [[http://hobbynotoriko.yumenogotoshi.com/re100-gunblaster.html|#1]], [[http://gundamsblog.net/ガンプラ/re-100-ガンブラスター|#2]] || 프리미엄 반다이 한정으로 발매되었다. 근데 무려 대형 부스터가 추가되었음에도 일반판과 가격이 동일하다. 기본적인 특징은 대부분 건이지와 동일하고 트윈테일이 추가된 사양이다. 추가된 대형 부스터 '트윈테일'의 색분할이 별로라는 의견이 많다. 부스터를 제거하고 정크 파츠를 활용하면 건이지도 재현 가능한데, 리어 스커트가 달라 일반판 건이지로의 재현은 불가능하나 설정으로만 언급된 후기형 건이지를 재현했다고 볼 수 있다. == 게임 == === [[슈퍼로봇대전 시리즈]] === 우주로 갈시에 자동적으로 건이지가 건블래스트로 강화된다. [[슈퍼로봇대전 알파 외전]]에서는 건블래스터가 많이 등장한다. 바자에서 구입할 수도 있고 루트에 따라서도 최대 5기까지 구할 수 있다. 그런데 개조단가가 엄청나게 저렴한데다가 기본적으로 비행 가능, 강화파츠 슬롯 4개, 지형대응도 나쁘지 않고 EN소모 무기가 없어 연비까지 최고인 사기기체. 풀개조 건블래스터 몇대만 만들어놓으면 게임의 난이도가 급락한다. 흔히들 바자에서 살 수 있는 사기기체로 [[발바로]]를 떠올리지만 이쪽은 A어댑터같은 강화파츠를 달아주지 않아도 사기라는 점이 더 더럽다. [[슈퍼로봇대전 30]]에서 V건담이 오랜만에 참전하어 쥰코가 탄 버전으로 나오는데 이전작에서는 부동명왕 연출이다보니 이번에는 화려하게 움직이는 연출을 자랑한다. 슈라크 부대 일제공격을 통해 각종 전용대사를 들을 수 있기에 갈아태우는 재미도 쏠쏠하다. === [[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 === V & F91 & 크로스본 테마 웹 캡슐머신에 뜬금없이 등장했다. ==== 기본 사항 ==== * 랭크 : BR * 속성 : 중거리형 * 무장 일람 : 뒤는 가변 후 * 1번 무기 : None/빔 사벨 * 빔 사벨 : 4타 다운 빔샤벨. 선타능력은 떨어지는 편이니, 근접기가 덤벼오면 그냥 2번으로 대항하자. * 2번 무기 : 빔 라이플/2연장 멀티플 런처 * 빔 라이플 : 평범한 빔라이플. 선딜이 아주 약간 있다. * 2연장 멀티플 런처 : 4번 발사 가능한 2연사 탄창식 그레네이드 런처. 위력과 리로드는 괜찮으며 슬로우가 달려있다. * 3번 무기 : 빔 바주카/None * 4번 무기 : 전탄필/난무필 * 스킬 구성 : 저력발동, 공격력 업 ==== 성능 ==== 없을거 없는 만능기체로 보이지만 장거리 무기는 선딜이 길고 근거리 무기는 선타잡기가 딸린다. 조작에 익숙하지 못한 [[파일럿]]에겐 다재무능. 하지만 저력과 공업의 힘으로 공격력은 상당하게 강하여, 연습을 통해 빔바주카의 느린 선딜을 극복하고 명중률을 높인다면 원거리 딜러 혹은 후방지원으로서 충분한 위력을 발휘할 것이다. 될 수 있으면 근접전은 피하며 후방 화력지원을 담당하자. ==== 입수 방법 ==== 상술한 테마 웹 캡슐머신에서만 뽑을 수 있었다. --약 75% 확률로 나오는 C랭크 유닛의 압박을 이겨내야 했다.-- [[분류:우주세기/모빌슈트]][[분류: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유닛]][[분류:건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