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建元 / 乾元'''}}} == 개요 == 건원은 연호를 세운다는 뜻으로 '칭제건원(稱帝建元)'에서 유래한 말이다. 연호로도 사용되었다. == 한국의 연호 == ||<-5><:> '''[[신라|{{{#ffffff 신라의}}}]] [[연호|{{{#ffffff 연호}}}]]''' || || -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fff 건원[br]建元[br]{{{-2 ([[536년|{{{#fff 536년}}}]] ~ [[550년|{{{#fff 550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개국]][br]開國[br]{{{-2 ([[551년]] ~ [[568년]])}}}}}} || [[신라]]의 [[법흥왕]]과 [[진흥왕]]이 사용한 신라의 연호이다. 536년에 건원 연호를 제정하였는데, 신라의 연호들 중에서는 기록상으로 확인되는 최초의 연호가 된다. == 중국의 연호 == === [[전한]]의 제7대 황제인 [[무제(전한)|무제]] 유철이 사용한 연호 === ||<-5><:><#a11> '''[[전한|{{{#fff 전한}}}]]{{{#fff 의}}} [[연호|{{{#fff 연호}}}]]''' || ||<:> 연호 제정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fff [[무제(전한)|{{{#fff 무제}}}]][br]건원(建元)[br]{{{-2 ([[기원전 140년|{{{#fff BCE 140년}}}]] ~ [[기원전 135년|{{{#fff BCE 135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무제(전한)|무제]][br]원광(元光)[br]{{{-2 ([[기원전 135년|BCE 135년]] ~ [[기원전 129년|BCE 129년]])}}}}}} || 중국 [[전한]]의 제7대 황제인 [[무제(전한)|무제]] 유철이 사용한 연호로 중국 역사 최초의 연호이다. 다만 중국 역사에서 연호를 본격적으로 사용한 시기는 무제 원정(元鼎) 연간[* 기원전 117년~기원전 111년]으로, 이때 앞의 연호들을 소급 적용하였고, 건원 연간에 일반 세년을 사용하였다. === [[전조(오호십육국시대)|전조]]의 제3대 황제인 소무제 [[유총(전조)|유총]]이 사용한 연호 === ||<-5><:><#7C283F> '''[[전조(오호십육국시대)|{{{#fff 전조}}}]]{{{#fff 의}}} [[연호|{{{#fff 연호}}}]]'''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유총(전조)|소무제]][br][[가평(연호)#s-3|가평]](嘉平)[br]{{{-2 ([[311년]] ~ [[315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fff [[유총(전조)|{{{#fff 소무제}}}]][br]건원(建元)[br]{{{-2 ([[315년|{{{#fff 315년}}}]] ~ [[316년|{{{#fff 316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유총(전조)|소무제]][br]인가(麟嘉)[br]{{{-2 ([[316년]] ~ [[318년]])}}}}}} || 중국 [[오호십육국시대]]의 십육국 중 하나인 [[전조(오호십육국시대)|전조]]의 제3대 황제인 소무제 [[유총(전조)|유총]]이 사용한 연호로 315년부터 316년까지 사용되었다. 318년에 인가(麟嘉)로 개원하였다. === [[동진]]의 제4대 황제인 [[강제(동진)|강제]] 사마악이 사용한 연호 === ||<-5><:><#800080> '''[[동진|{{{#fff 동진}}}]]{{{#fff 의}}} [[연호|{{{#fff 연호}}}]]'''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성제(동진)|성제]][br]함강(咸康)[br]{{{-2 ([[335년]] ~ [[342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fff [[강제(동진)|{{{#fff 강제}}}]][br]건원(建元)[br]{{{-2 ([[343년|{{{#fff 343년}}}]] ~ [[344년|{{{#fff 344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목제(동진)|목제]][br]영화(永和)[br]{{{-2 ([[345년]] ~ [[357년]])}}}}}} || 동진의 제4대 황제인 [[강제(동진)|강제]] 사마악이 사용한 연호로 343년부터 344년까지 약 1년간 사용되었다. === [[전진(오호십육국시대)|전진]]의 제3대 황제 선소제 [[부견]]이 사용한 연호 === ||<-5><:> '''[[전진(오호십육국시대)|{{{#fff 전진}}}]]{{{#fff 의}}} [[연호|{{{#fff 연호}}}]]'''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부견|선소제]][br][[감로#s-1.4]](甘露)[br]{{{-2 ([[359년]] ~ [[364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fff [[부견|{{{#fff 선소제}}}]][br]건원(建元)[br]{{{-2 ([[365년|{{{#fff 365년}}}]] ~ [[385년|{{{#fff 385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부비(전진)|애평제]][br]태안(太安)[br]{{{-2 ([[385년]] ~ [[386년]])}}}}}} || 전진의 제3대 황제인 선소제 [[부견]]이 사용한 연호로 부견의 치세에 사용된 3번째 연호이다. 365년부터 385년까지 사용된 연호로, 건원 연간에 부견이 화북을 통일하고 동진과의 [[비수대전]]이 벌어졌다. 그러나 비수대전으로 참패한 전진이 이후 급격히 몰락한 시기이다. ==== 주요 사건 ==== * 건원 원년([[365년]]): 감로 6년을 건원으로 개원 * 건원 6년([[370년]]): 부견이 [[전연]]을 멸망시킴. * 건원 11년([[376년]]): 부견이 [[전량(오호십육국시대)|전량]]과 [[대나라]]를 멸망시킴. * 건원 19년([[383년]]): [[비수대전]] * 건원 20년([[384년]]): [[모용수]], [[요장]], [[모용홍]]의 반란 * 건원 21년([[385년]]): 부견이 [[요장]]에게 살해당하고 [[부비(전진)|부비]]가 전진의 제4대 황제로 즉위함 === [[남북조시대]] [[제(육조)|남제]]의 초대 황제 고제 소도성이 사용한 연호 === ||<-2><:><#3c3c3c> '''[[송(육조)|{{{#fff 유송}}}]]{{{#fff 의}}} [[연호|{{{#fff 연호}}}]]''' ||<-3><:><#3797E8> '''[[제(육조)|{{{#fff 남제}}}]]{{{#fff 의}}} [[연호|{{{#fff 연호}}}]]'''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순제(유송)|순제]][br][[승명]](昇明)[br]{{{-2 ([[477년]] ~ [[479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fff [[소도성|{{{#fff 고제}}}]][br]건원(建元)[br]{{{-2 ([[479년|{{{#fff 479년}}}]] ~ [[482년|{{{#fff 482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소색|무제]][br]영명(永明)[br]{{{-2 ([[483년]] ~ [[493년]])}}}}}} || [[제(육조)|남제]]의 초대 황제인 고제 [[소도성]]이 사용한 연호로 남제 건국 이후 최초로 사용된 연호이다. 479년부터 482년까지 사용되었다. === [[당나라]]의 제7대 황제인 이형이 사용한 연호 === ||<-5><:><#a48252> '''[[당나라|{{{#fff 당나라}}}]]{{{#fff 의}}} [[연호|{{{#fff 연호}}}]]'''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숙종(당)|숙종]][br][[지덕]](至德)[br]{{{-2 ([[756년]] ~ [[758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fff [[숙종(당)|{{{#fff 숙종}}}]][br]건원(乾元)[br]{{{-2 ([[758년|{{{#fff 758년}}}]] ~ [[760년|{{{#fff 760년}}}]])}}}}}}'''}}} ||<:> {{{+1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숙종(당)|숙종]][br][[상원(연호)|상원]](上元)[br]{{{-2 ([[760년]] ~ [[762년]])}}}}}} || 당나라의 제7대 황제인 [[숙종(당)|숙종]] 이형이 사용한 연호이다. 758년 지덕에서 개원하여 760년까지 사용되었다. 이 시기에 천보 3재(744년)부터 지덕 3재(758년)까지 사용된 n재를 폐기하고, n년으로 회귀하였다. == 일본의 연호 == 가마쿠라 시대에 사용된 연호이다. 한자는 당숙종의 연호 건원(乾元)과 동일하다. [[분류:법흥왕]][[분류:연호]][[분류:남북조시대]][[분류:당나라의 연호]][[분류:동음이의어]][[분류:무제(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