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걸즈 밴드 크라이)] ||<-2>
{{{#000000,#000000 '''{{{+1 걸즈 밴드 크라이}}}''' (2024)[br]ガールズバンドクライ[br]GIRLS BAND CR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걸스밴드크라이_키비주얼1.jpg|width=100%]]}}} || ||<-2>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ffffff,#ffffff 장르}}}''' ||[[음악물|음악]] || || '''{{{#ffffff,#ffffff 원작}}}''' ||<|3>[[토에이 애니메이션]]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제작}}}''' || || '''{{{#ffffff,#ffffff 제작}}}''' || || '''{{{#ffffff,#ffffff 기획}}}''' ||키타자키 히로미(北﨑広美) || || '''{{{#ffffff,#ffffff 시리즈 디렉터}}}''' ||[[사카이 카즈오]] || || '''{{{#ffffff,#ffffff 시리즈 구성}}}''' ||[[하나다 줏키]] || || '''{{{#ffffff,#ffffff 캐릭터 디자인}}}''' ||테시마 nari(手島 nari) || || '''{{{#ffffff,#ffffff 캐릭터 모델링[br]슈퍼바이저}}}''' ||요네자와 신이치(米澤真一) || || '''{{{#ffffff,#ffffff 리깅 슈퍼바이저}}}''' ||토누마 유스케(戸沼祐介) || || '''{{{#ffffff,#ffffff 세츠&프롭스 모델링[br]슈퍼바이저}}}''' ||이시가미 유카리(石上由佳莉)[br]쿠로다 세이이치(黒田誠一) || || '''{{{#ffffff,#ffffff 이펙트 슈퍼바이저}}}''' ||와타나베 료타(渡邊亮太) || || '''{{{#ffffff,#ffffff 룩 디벨롭멘트[br]슈퍼바이저}}}''' ||아시노 켄타로(芦野健太郎) || || '''{{{#ffffff,#ffffff 라이딩 컴포짓[br]슈퍼바이저}}}''' ||이시즈카 케이코(石塚恵子) || || '''{{{#ffffff,#ffffff 라인 테크니컬 디렉터}}}''' ||모리시게 코타(森重孝太) || || '''{{{#ffffff,#ffffff 미술 감독}}}''' ||노무라 마사노부(野村正信) || || '''{{{#ffffff,#ffffff 미술 설정}}}''' ||아마타 토시키(天田俊貴) || || '''{{{#ffffff,#ffffff 프롭 디자인}}}''' ||타무라 쇼헤이(田村正平) || || '''{{{#ffffff,#ffffff 색채 설계}}}''' ||타케자와 사토시(竹澤 聡) || || '''{{{#ffffff,#ffffff 촬영 감독}}}''' ||쿠와바라 신야(桑原真也) || || '''{{{#ffffff,#ffffff 비주얼 디렉터}}}''' ||와쿠모토 토모타카(樋元トモタカ) || || '''{{{#ffffff,#ffffff 편집}}}''' ||나가사카 토모키(長坂智樹) || || '''{{{#ffffff,#ffffff CG 프로듀서}}}''' ||오구라 유타(小倉裕太) || || '''{{{#ffffff,#ffffff CG 디렉터}}}''' ||정재훈(鄭載薫)[br]오오조네 유스케(大曽根悠介)[br]콘도 마리(近藤まり) || || '''{{{#ffffff,#ffffff 라인 CG 디렉터}}}''' ||나카니시 신고(中西信棋) || || '''{{{#ffffff,#ffffff 음향 감독}}}''' ||미요시 케이이치로(三好慶一郎) || || '''{{{#ffffff,#ffffff 음악}}}''' ||타마이 켄지(玉井健二) || || '''{{{#ffffff,#ffffff 배경 음악}}}''' ||타나카 유스케(田中ユウスケ) || || '''{{{#ffffff,#ffffff 음악}}}''' ||agehasprings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슈퍼바이저}}}''' ||関祖輝[br]코이즈미 마사유키(小泉正行)[br]나카무라 유키에(中村有希恵)[br]타케나카 유키(竹中佑城) || || '''{{{#ffffff,#ffffff 제작 총지휘}}}''' ||타카기 카츠히로(高木勝裕) || || '''{{{#ffffff,#ffffff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시노하라 사토시(篠原智士)[br]츠지 히데노리(辻 秀典) || || '''{{{#ffffff,#ffffff 제작총괄}}}''' ||나가미 타케시(永見武士) || || '''{{{#ffffff,#ffffff 프로듀서}}}''' ||히라야마 타다시(平山理志) || || '''{{{#ffffff,#ffffff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24년 4월|2024. 04. 06.]] ~ 방영 중 || || '''{{{#ffffff,#ffffff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도쿄 MX]] / (토) 00:3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플러스]] / (토) 01:30 || || '''{{{#ffffff,#ffffff 스트리밍}}}''' ||[include(틀:애니플러스 표시)] [[https://www.aniplustv.com/items/3187|▶]][br][include(틀:Laftel 표시)] [[https://laftel.net/item/42112|▶]][br][include(틀:왓챠 표시)] [[https://watcha.com/contents/tRzLA1Q|▶]]^^공개 예정^^[br][include(틀:TVING 표시)] [[|▶]]^^공개 예정^^[br][include(틀:wavve 표시)] [[|▶]]^^공개 예정^^[br][include(틀:네이버 시리즈온 표시)] [[|▶]]^^공개 예정^^ || || '''{{{#ffffff,#ffffff 편당 러닝타임}}}''' ||24분 || || '''{{{#ffffff,#ffffff 화수}}}''' ||○○화 || || '''{{{#ffffff,#ffffff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2 {{{#373a3c (주제, 모방위험)}}}}}} || || '''{{{#ffffff,#ffffff 관련 사이트}}}''' ||[[https://girls-band-cry.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girlsbandcry)] | [[https://www.youtube.com/@girlsbandcr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instagram.com/toge0toge1/|[[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tiktok.com/@girlsbandcry|[[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5]]]] || }}}}}}}}}}}} || [목차] [clearfix] == 개요 == [[토에이 애니메이션]]이 기획하는 신작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약칭은 '''걸크라(ガルクラ)'''. 감독은 [[사카이 카즈오]], 방영 시기는 [[애니메이션/2024년 4월|2024년 4윌]]. 풀 [[CG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된다. [[러브 라이브 시리즈]]의 아버지라 불리는 프로듀서 히라야마 타다시(平山理志)가 토에이 애니메이션으로 이적해서 새로 만드는 기획이다. 감독, 각본, 애니메이터 등 러브 라이브 시리즈의 초기 스태프가 이쪽으로 모였다. 현재는 공식에서도 '애니메이션' 걸즈 밴드 크라이로 소개하고 있으나, 성우진을 뽑을 때의 오디션에서는 '걸즈 밴드 프로젝트'라고 소개했기 때문에 추후 미디어 믹스 프로젝트로 정의가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 공개 정보 == * 2023년 12월 20일 티저 PV와 키 비주얼, 추가 스태프 정보가 공개되었다. === PV === ==== 본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r6fyHlyDsyw, width=100%)]}}} || || '''티저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LYACbFOQDxw, width=100%)]}}} || || '''본 예고 제1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eIFTnaPXnRM, width=100%)]}}} || || '''본 예고 제2탄''' || ==== 캐릭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EfSpT6SoO7I, width=100%)]}}} || || '''이세리 니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2ua7O6ROdFI, width=100%)]}}} || || '''카와라기 모모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1VTyLjtuQ98, width=100%)]}}} || || '''아와 스바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TDDbjkRcgvI, width=100%)]}}} || || '''에비즈카 토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Ia4rDO8aH6A, width=100%)]}}} || || '''루파''' || === 키 비주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걸스밴드크라이_프로젝트시동비주얼.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걸스밴드크라이_애니티저비주얼.jpg|width=100%]]}}} || || '''{{{#ffffff,#ffffff 프로젝트 시동 비주얼}}}''' || '''{{{#ffffff,#ffffff 티저 비주얼}}}''' || == 줄거리 == >'분노도 기쁨도 슬픔도 모조리 담아라.' >고등학교 2학년, 학교를 중퇴하고 홀로 도쿄에서 대학 입학을 목표하게 된 주인공. >동료에게 배신당해 어떻게 해야 될지 모르는 소녀. >부모에게 버려져 대도시에서 혼자 아르바이트를 하며 먹고사는 여자아이. >이 세계는 언제나 우리들을 배신하지만. >무엇 하나 맘대로 되는 게 없지만. >그래도, 우리들은 뭔가를 좋아하고 싶으니까. >자신의 안식처가 어딘가에 있다고 믿고 있으니까. >'그러니까, 노래한다.' >---- >[[https://www.aniplustv.com/items/3187|애니플러스]] == 등장인물 == === 주역 밴드: [[토게나시 토게아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토게나시 토게아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걸밴크 캐릭터 재업.png|width=100%]]}}} || || '''주인공 일행. 왼쪽부터 루파, 스바루, 니나, 모모카, 토모.''' || * '''이세리 니나'''(井芹 仁菜) - CV: 리나(理名) 17살. 보컬을 맡는다. 다소 큰 꿈을 바라지 않고 눈치껏 주변에 맞춰 살아온 평범한 여자아이. 쇼와 분위기가 취향으로, 불상을 좋아하며 취미는 고슈인 모으기. 분위기가 엄격한 구마모토현 집안에서 살아서 세상 물정에 다소 어둡다. 제대로 설명해주기 전까지는 [[Fuck You]]가 뭔지도 모른 채 모모카의 거짓말에 속아 고맙다는 뜻이라고 철썩 같이 믿었을 정도. * '''아와 스바루'''(安和 すばる) - CV: 미레이(美怜) 17살. 드럼을 맡는다. 연예학교에 다니는 주변을 향한 경쟁심이 강한 유망주. 밖에 나가기를 싫어하고 게임과 인터넷을 좋아한다. * '''카와라기 모모카'''(河原木 桃香) - CV: 유리(夕莉) 20살. 기타를 맡는다. 거리에서 스트리트 뮤지션으로 활동했었다. 밴드 다이아몬드 더스트의 전 멤버. 밝고 세심해서 옆에 기댈 수 있는 선배 같은 존재. 여리여리한 느낌을 싫어해서 보이시한 느낌이 강하다. 마음에 안 드는 상대에겐 냅다 [[Fuck You]]를 날릴 정도. * '''루파'''(ルパ) - 성우: 슈리(朱李) 22살. 베이스를 맡는다. 남아시아인 아버지와 일본인 어머니의 혼혈로 오리엔탈한 분위기를 풍긴다. 예술 감각이 뛰어나고 머리도 좋지만, 많이 소심하고 술고래다. * '''에비즈카 토모'''(海老塚 智) - CV: 나츠(凪都) 16살. 키보드를 맡는다. 본래는 유명한 부자 집안의 아가씨였지만 현재는 룸 셰어 아파트에 살고 있다. 고슴도치처럼 경계심이 강해 마음을 잘 열지 않는다. == [[/음악|음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걸즈 밴드 크라이/음악)] == 회차 목록 == [include(틀:애니플러스 신작)] * 전화 각본: [[하나다 줏키]] ||
'''회차''' ||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 제1화 || 東京ワッショイ[br]도쿄 으랏차 || [[사카이 카즈오]] || 사카이 카즈오[br][[이무라 켄지]][*L 라이브] || 야마자키 치카[br](山﨑智加) || 日/韓:[br]2024.04.06. || || 제2화 || 夜行性の生き物3匹[br]야행성 생물 세 마리 || || || || 日/韓:[br]2024.04.13. || == 평가 == [include(틀:평가/TV 프로그램 평점, ## IMDb=, IMDb_user=, ## IMDb_highlight=display, ## 로튼토마토=, 로튼토마토_tomato=, 로튼토마토_popcorn=, ##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 메타크리틱=, 메타크리틱_critic=, 메타크리틱_user=, ##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 레터박스=, 레터박스_user=,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 알로시네=, 알로시네_presse=, 알로시네_spectateurs=,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 키노포이스크=, 키노포이스크_user=, ## 키노포이스크_highlight=display, ## Filmarks=, Filmarks_user=, ## Filmarks_highlight=display, ## 도우반=, 도우반_user=, ## 도우반_highlight=display, ## 왓챠=, 왓챠_user=, ## 왓챠_highlight=display, ## 키노라이츠=, 키노라이츠_light=, 키노라이츠_star=,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 TMDB=, TMDB_user=, ## TMDB_highlight=display, ## 무비파일럿=, 무비파일럿_user=,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 MyDramaList=, MyDramaList_user=, ## MyDramaList_highlight=display, ## 라프텔=, 라프텔_user=, ## 라프텔_highlight=display, ## MyAnimeList=, MyAnimeList_분야=, MyAnimeList_user=, ## MyAnimeList_highlight=display, ## ANIPLUS=, ANIPLUS_user=, ## ANIPLUS_highlight=display, ## Filmarksanimes=, Filmarksanimes_user=, ## Filmarksanimes_highlight=display, ## 크런치롤=, 크런치롤_use=, 크런치롤_use_user=, ## 크런치롤_use_highlight=display, ## JustWatch=, JustWatch_user=, ## JustWatch_highlight=display, ## 네이버시리즈온=, 네이버시리즈온_heart=, ## 네이버시리즈온_highlight=display, ## RakutenViki=, RakutenViki_user=, ## RakutenViki_highlight=display, ## IGN=, IGN_user=, ## IGN_highlight=display, ## 4flix=, 4flix_user=, ## 4flix_highlight=display, ## NME=, NME_user=, ## NME_highlight=display, ## 인디펜던트=, 인디펜던트_user=, ## 인디펜던트_highlight=display, ## 긱컬쳐=, 긱컬쳐_user=, ## 긱컬쳐_highlight=display, ## 필름어피니티=, 필름어피니티_user=, ## 필름어피니티_highlight=display, ## 게임스팟=, 게임스팟_user=, ## 게임스팟_highlight=display, ## 위갓티스커버드=, 위갓티스커버드_user=, ## 위갓티스커버드_highlight=display, ## 게임랜트=, 게임랜트_user=, ## 게임랜트_highlight=display)] 같은 밴드 장르에 미디어 믹스인 [[BanG Dream!/애니메이션|BanG Dream!]]과는 확연히 다른 컨셉으로 무장한 작품으로서 화제가 되었으며, 일본 최대 규모의 애니메이션 제작사인 [[토에이 애니메이션]]이 기획하고 상당한 투자로 제작된 덕분인지 캐릭터들의 모델링과 무대 연출에도 각별히 신경을 쓴 부분이 많았다.[* 방영 전부터 [[코토부키야]]에서 주역 5인의 스케일 피규어화가 확정됐으며, 퍼스트 원맨 라이브 및 5개 싱글 발매 및 10곡 MV 제작도 모두 방영 전에 이뤄졌다. 8화까지를 모아서 진행하는 상영회도 방영 전부터 일찌감치 확정되었다. 최근 개당 20,000엔은 우습게 넘기는 스케일 피규어 업계를 감안하면 수요를 무시하고 확정부터 지은 것은 대단히 과감한 도전이라 할 수 있다.] 움직임도 부드럽고 조연들과 동물들까지 일일히 3D 모델링으로 제작되어 디테일 면에서도 호평을 받았다. 다만 전문 성우들이 연기하고 노래한 [[외톨이 THE ROCK!]]이나 [[케이온!/애니메이션|케이온!]] 등과는 달리 이 작품은 뱅드림의 일부 밴드처럼 실제 공연이 가능한지 여부를 먼저 따져 성우 경력이 없는 뮤지션들을 성우로 뽑았기 때문에 연기 쪽에서는 조금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기도 하다. 방영 전 공개했던 미니 드라마 콘텐츠에 비하면 많이 발전한 편이긴 하다. 평론가 [[마에Q]]가 호평했다. [[https://twitter.com/maeQ/status/1776273403122770428|#]] [[외톨이 THE ROCK!]]의 캐릭터 디자이너로 유명한 애니메이터 [[케로리라]]가 호평했다. [[https://twitter.com/kerorira1/status/1776301921042919747|#]] == 미디어 믹스 == [[토게나시 토게아리]] 라이브 관련 컨텐츠는 해당 항목을 참조. === 게임 === TSG2023의 [[토에이 애니메이션]] 부스에서 게임화 프로젝트 검토중이라는 발표가 있었다. 장르, 플랫폼, 개발사등은 미정. == 기타 == * 한국에서는 [[Anime X Game Festival 2023]]에서 토게나시 토게아리의 인사말과 [[爆ぜて咲く#爆ぜて咲く|爆ぜて咲く]]의 MV 영상으로 구성된 광고 영상[* 레드 스테이지와 블루 스테이지 중앙 화면에서 나오는 영상]으로 처음 소개하였다. [[분류:걸즈 밴드 크라이]][[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