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검은목두루미}}}(일반두루미)[br]Common cran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검은목두루미.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Grus grus'' '''[br]Linnaeus, 1758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조강(Aves) || || '''하강''' ||신악하강(Neognathae) || || '''상목''' ||신조상목(Neoaves)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두루미목(Gruiformes) || || '''아목''' ||두루미아목(Grui)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두루미과(Gruidae) || || '''아과''' ||두루미아과(Gruin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두루미속(''Gru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검은목두루미(''G. grus'')''' || [목차] [clearfix] == 개요 == 검은목두루미는 두루미과 두루미목에 속하는 조류이다. == 생김새 == 몸길이는 100~130cm, 날개너비 180~240cm 정도이다. 정수리 부분에는 붉은색 피부가 노출되어있으며, 이름처럼 눈앞에서부터 목을 따라 검은색이며, 목 뒤쪽은 흰색이다. 울 때 붉은 턱주머니가 드러난다. 전체적인 날개의 색은 옅은 회색이다. 어린새는 목이 황갈색이다. == 생태 == 스칸디나비아반도, 시베리아 등지에서 번식하고 남유럽, 인도 북부, 중국, 한국, 일본 등지에서 월동한다. 강 하구나 논 등의 습지에서 서식하며, 한국에서는 매우 드문 겨울철새로 철원평야, 충남 천수만, 전남 순천만 등지에서 목격된다. [[물고기]]와 [[곤충]], [[달팽이]], [[게]], [[개구리]], [[거미]], [[지렁이]] 등의 수생동물이나 작은 새를 잡아먹기도 하지만 주로 풀뿌리, [[줄기]], [[나뭇잎]], [[열매]], [[씨앗]], [[콩]], [[감자]], [[올리브]], [[도토리]], [[땅콩]] 따위를 먹는 채식 위주의 잡식성이다. 번식기에는 적의 눈에 띄지 않기 위해 몸에 진흙을 바르기도 한다. 새끼의 천적은 [[멧돼지]], [[울버린]], [[붉은여우]]가 있고 성체의 천적은 [[흰꼬리수리]], [[검독수리]] 등이 있다. [[흑두루미]]와 교잡한 개체들이 눈에 자주 띄는데, 교잡 개체들은 날개 색은 검은목두루미와 같지만 목의 검은색이 옅거나 아예 없다. == 기타 == 2005년 3월 17일 천연기념물 451호로 지정되었고, 2012년 5월 31일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지정되었다. 포획된 개체는 서울대공원 큰물새장에서 유일하게 보유하고 있었으나 현재는 포획된 개체를 볼 수가 없다. [[분류:두루미속]][[분류: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