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고양이속]][[분류: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취약]] [include(틀:멸종 위기 동물)] ||<-2> '''{{{#fff {{{+1 검은발고양이}}}(작은점박이고양이)[br]Black-footed cat}}}'''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Felis nigripes'' '''[br]Burchell, 1824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 ^^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 ^^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포유류|포유강]] ^^Mammali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식육목]] ^^Carnivor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고양이과]] ^^Fel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고양이속 ^^Feli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검은발고양이 ^^''Felis nigripes''^^''' || ||<-2><#f93> {{{#000 '''멸종위기등급'''}}} || ||<-2><#FFF> [[파일:멸종위기등급_취약.svg|width=240]] || [목차] [clearfix] == 개요 == 남아프리카의 건조한 대초원과 야생 사바나에 사는 남아프리카 고유종으로 아프리카에서 가장 작은 야생 고양이이다.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이름과 달리 발바닥만 검은색이나 짙은 갈색이다.]] == 발견 == 남아프리카 북부의 카루에서 발견되어 1824년에 기술되었다. 보츠와나 남부에서 기록되었고, 나미비아, 앙골라 남부, 짐바브웨 남부에서는 발견 기록이 없다. == 신체적 특징 == 집고양이보다도 훨씬 더 작아, [[모래고양이]]와 [[붉은점삵]]과 함께 고양이과 동물 중 가장 작은 편이다. 몸길이는 암컷은 15.7~17cm이고, 수컷은 42.5~50cm이다. 무게는 암컷은 1.1~1.65kg이고, 수컷은 1.6~2.4kg이다. 어깨 높이는 25cm 미만이다. 황갈색 털을 가지고 있고 전체적으로 검은 반점으로 뒤덮여 있다. 머리는 몸의 나머지 부분보다 어둡지만 눈 위쪽은 몸의 다른 부분보다 옅다. 수염은 흰색이고 귀에는 회색빛의 짙은 갈색 털이 나 있다. 목과 등에는 일부 줄무늬가 있으며 반점은 어깨에 줄을 지어 난다. 앞다리와 뒤다리에는 불규칙한 줄무늬가 있고 꼬리에는 불규칙한 얼룩무늬가 있다. 목의 고리무늬는 색상이 다양한 검은색 반원을 형성하며 눈 입에는 옅은 황백색이 늘어져 있다. 두 개의 검은 줄무늬가 눈꼬리에서 뺨을 가로질러 이어져 있다. 24~30mm의 겉털은 밑 부분이 회색이고 끝이 흰색이거나 어두운 색이다. 속털은 짧고 물결 모양으로 촘촘하다. 털은 겨울이 되면 더 두꺼워지고 길어진다. 눈의 동공은 수직으로 수축되고 연한 녹색에서 진한 노란색이다. == 행동과 생태 == 야행성이고 암컷이 새끼를 돌볼 때를 제외하고는 대개 혼자 산다. 빈 굴에 있는 속이 빈 흰개미 더미와 빽뺵한 덮개에서 하루를 보내고 이 굴을 피나처로 확장하기 위해 활발하게 파낸다. 궁지에 몰리면 맹렬하게 자신을 방어해서 개미집 호랑이라는 뜻의 'miershooptier'로 불린다. 땅딸막한 몸과 짧은 꼬리 때문에 나무를 잘 타지는 못한다. 암컷은 1년에 평균 6.23~15.53km의 범위를 돌아다니고 수컷은 19.44~23.61km의 범위를 돌아다닌다. 성체 수컷의 범위는 암컷 1~4마리의 범위와 겹친다. 전체 범위에 걸쳐 냄새로 영역을 표시한다. 짝짓기를 할 수 있는 암컷은 최대 41회 오줌을 뿌리고 임신한 암컷은 덜 뿌린다. 이밖에도 물체를 문지르거나 발톱으로 긁어내거나 눈에 띄개 배설물을 쌓아 놓아 표시를 하기도 한다. 먼 거리에서도 울음소리를 듣기 위해 울음소리가 다른 고양이들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지만 서로 가까이 있을 때는 더 조용히 가르랑거리거나 꾸룩꾸룩하는 소리를 낸다. 위협을 받으면 쉭쉭 소리를 내며 으르렁거린다. == 먹이 == [youtube(nl8o9PsJPAQ)] 날씨에 관계없이 섭씨 10~35도의 온도에서 밤에 사냥한다. 먹이를 뒤에서 공격하고 앞발을 옆구리에 대고 며느리발톱으로 먹이를 땅바닥에 놓는다. 2~3km/h의 속도로 이동하고 초목 덮개 밖으로 먹이를 쫓는 빠른 사냥, 0.5~0.8km/h의 속도로 먹이를 쫓고 조심스럽게 풀 사이를 구불구불하게 지나면서 머리를 좌우로 돌리면서 경계심 있게 주변을 확인하는 느린 사냥, 앉아서 기다리는 사냥의 세 가지 방식을 사용한다. 몸집이 작아 설치류나 작은 새 등 작은 먹이를 주로 사냥하지만, 자기보다 무거운 토끼도 잡아먹는다. 에너지 요구량이 매우 높아 하룻밤에 평균 체중의 약 6분의 1에 해당하는 약 250~300g의 먹이를 사냥한다. 먹이는 총 54종이 확인되었고 그 중 게르빌쥐가 가장 중요한 먹이다. 식단으로 충분히 수분을 얻을 수 있지만 가능하면 물을 마신다. 모든 고양이과 동물을 통틀어 사냥 성공률이 가장 높다.[* 사실 소형 육식동물들은 대형 육식동물들보다 사냥 성공률이 더 높은 경우가 더 많고, 그래야만 하다. 상위포식자들은 비교적 크고 종종 위험한 먹잇감들을 사냥하기 때문에 실패할 확율이 높지만 한 번 사냥에 성공하면 며칠은, 적어도 하루는 먹을 수 있다. 반면 소형 육식동물들은 신진대사도 상대적으로 더 빠르고 사냥감의 크기도 몸에 비해 훨씬 작기 때문에 하루에 한번 내지는 하루에 여러 번 사냥에 성공해야 연명할 수 있다.] == 번식 및 생활사 == 수컷은 9개월이 되면 성적으로 성숙해지고 암컷은 7개월이 되면 성적으로 성숙해진다. 발정 기간은 약 36시간, 임신 기간은 약 63~68일이다. 암컷은 10월~3월 사이에 연간 최대 2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암컷은 거의 5시간~10시간 동안만 교미를 받아들이며 교미는 20~50분마다 발생한다. 새끼는 태어났을 때 60~93g이며 태어났을 때는 눈을 뜨지 못하고 무력하지만 몇 시간만 지나면 기어갈 수 있다. 3~10일이 지나면 눈을 뜨고 2~3주가 지나면 젖니가 빠진다. 한 달 안에 단단한 먹이를 먹고 두 달이 지나면 젖을 뗀다. 영구치는 148~158일에 나온다. 2주 안에는 걸을 수 있고 3주 후에는 올라다닐 수 있다. 새끼는 주로 속이 빈 토끼굴이나 흰개미 둥지에서 태어난다. 생후 4일부터 어미는 밤에 최대 10시간 동안 새끼를 혼자 남겨 둔다. 3~4개월 후에 독립한다. == 위협 == 과도한 방목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 토끼 개체수 감소, 질병, 부적절한 농업 관행이 위협 요소로 여겨진다. 현재 IUCN에서 취약 등급으로 되어 있으며 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