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인도유럽어족)] [목차] == 개요 == {{{+1 '''Proto-Germanic, PGmc'''}}} [[게르만어파]]의 [[조어#-2]]([[祖]][[語]]). '원시([[原]][[始]]) 게르만어'라는 번역어도 쓰인다. 게르만조어는 기원전 500년경에서 서기 1세기 사이에 선게르만조어(Pre-Proto-Germanic language)[* 게르만조어의 직계 조상이 되는 언어다. [[아르메니아어|아르메니아 가설]]에 의하면, 이 언어는 기원전 1000년 경에 [[슬라브어파]] 및 [[발트어파]]와의 공통 조어에서 분화된 언어라고 한다.]에서 비롯된 언어로, 현 [[게르만어파]] 언어들의 공통조상이다. 게르만어파의 가장 큰 특징인 [[그림의 법칙]]이라는 음운변화를 완전히 겪었다. 게르만조어로 된 완전한 기록은 [[인도유럽조어]]처럼 오늘날 전해지지 않기 때문에, 현대의 언어학자들이 [[비교언어학]]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후기 게르만조어로 기록된 짧은 기록은 일부 [[룬 문자]]로 남아 있다. 다른 [[인도유럽어족]] 언어에는 나타나지 않는 [[게르만어파]]만의 어휘나 형태가 있어 미지의 [[기층이론|기층언어]]가 있다는 [[게르만어파 기층설|가설]]이 있다.[* 다만 [[그리스어]]와는 달리 그다지 많진 않다.] == 음운론 == === 자음 === ||<|2><-2> ||<|2> [[양순음]] ||<|2> [[치음]] ||<|2> [[치경음]] ||<|2> [[경구개음]] ||<-2> [[연구개음]] || || 일반 || 순음화 || ||<-2> [[비음]] || m || || n || || (ŋ) || (ŋʷ) || ||<|2> [[파열음]] || [[무성음|무성]] || p || t || || || k || kʷ || || [[유성음|유성]] || b || d || || || g || gʷ || ||<|2>[[마찰음]] || [[무성음|무성]] || ɸ || θ || s || || x || xʷ || || [[유성음|유성]] || (β) || (ð) || z || || (ɣ) || (ɣʷ) || ||<-2> [[접근음]] || || || || j || || w || ||<-2> [[설측음|설측]] [[접근음]] || || || l || || || || ||<-2> [[전동음]] || || || r || || || || === 모음 === ||<-8> 일반 모음 || ||<-2><|2> ||<-3> [[전설모음]] ||<-3> [[후설모음]] || || 단모음 || 장모음 || 초장모음 || 단모음 || 장모음 || 초장모음 || ||<-2> [[고모음]] || i || ī || || u || ū || || ||<-2> [[중고모음]] || e || ē² || || || || || ||<-2> [[중저모음]] || || ē¹ || ê || || ɔ̄ || ɔ̂ || ||<-2> [[중저모음]] || || || || ɑ || ɑ̄ || || ||<-8> 비모음 || ||<-2><|2> ||<-2> [[전설모음]] ||<-2> [[후설모음]] || || 단모음 || 장모음 || 단모음 || 장모음 || ||<-2> [[고모음]] || į || į̄ || ų || ų̄ || ||<-2> [[중저모음]] || || || ǫ || ǭ || ||<-2> [[중저모음]] || || || ą || ą̄ || === [[그림의 법칙]]과 [[베르너의 법칙]] === [[분류:인도유럽어족]][[분류:게르만어파]][[분류:고어(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