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99년 출생]][[분류:콜럼버스(오하이오) 출신 인물]][[분류:미국의 농구 선수]][[분류:농구 선수 자녀]][[분류:슈팅 가드]][[분류:스몰 포워드]][[분류: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은퇴, 이적]][[분류:2018년 데뷔]][[분류:토론토 랩터스/현역]] [include(틀:토론토 랩터스/선수단)]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게트주2021_2.png|width=100%]]}}} || ||<-2> '''토론토 랩터스 No. 33''' || ||<-2> {{{#bd1b21 '''게리 다좐 트렌트 주니어[br](Gary Dajuan Trent Jr.)'''}}} || || '''생년월일''' ||[[1999년]] [[1월 18일]] ([age(1999-01-18)]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출신지''' ||[[오하이오]] 주 [[콜럼버스(도시)|콜럼버스]] || || '''출신학교''' ||[[듀크 대학교]] || || '''신체''' ||196cm / 95kg || || '''포지션''' ||[[슈팅 가드]], [[스몰 포워드]] || || '''등번호''' ||미국 U-17 농구 국가대표팀 - 7번[br][[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 - 9번[* 2018~2019], 2번[* 2019~2021][br]텍사스 레전즈- 9번[br][[토론토 랩터스]] - 33번 || || '''드래프트''' ||2018년 드래프트 2라운드 37순위[br][[새크라멘토 킹스]] 지명 || || '''소속 팀'''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 (2018~2021)[br]→ 텍사스 레전즈 (2019)[br][[토론토 랩터스]] (2021~) || || '''계약''' ||2021-22 ~ 2023-24 / $51,840,000 || || '''연봉''' ||2023-24 / $18,560,000 || || '''가족''' ||아버지 게리 트렌트 || || '''관련 링크'''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gtrentjr, 크기=24)] | [[https://www.instagram.com/gtrentjr/|[[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게리 트렌트 주니어는 [[미국]] 국적의 [[가드(농구)|가드]], [[포워드(농구)|포워드]]이다. == 선수 경력 == === NBA 입성 이전 === ==== [[듀크 대학교]] ==== 2017년 명문 듀크 블루 데블스에 진학해서 그레이슨 앨런과 블루 데블스의 백코트를 이끌며 ACC 준우승과 NCAA 토너먼트 미드웨스트 지역 결승까지 진출했다. ACC 37경기 33.9분 14.5득점 4.2리바운드 1.4어시스트 1.2스틸 3점슛 40.2%를 기록했고 친구인 [[마빈 베글리 3세]], [[웬델 카터 주니어]]와 1학년을 마치자마자 2018 NBA 드래프트에 참가했다. 드래프트에서 전체 37순위로 [[새크라멘토 킹스]]에 지명됐다. === NBA 커리어 === ====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 ==== 드래프트 당일에 트레이드됐다.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POR]] get: G [[게리 트렌트 주니어]] [[새크라멘토 킹스|SAC]] get: 2019 MIN 2라운드 지명권[* 이후 저스틴 제임스 지명], 2021 MIA 2라운드 지명권, $1,500,000|| 7월 7일 3년 $3,919,177 루키 계약으로 팀에 합류했다. ==== [[토론토 랩터스]] ==== 트레이드 데드라인에 트레이드됐다. 공교롭게도 아버지인 게리 트렌트 시니어도 현역 당시 포틀랜드와 토론토에서 뛴 경력이 있는데, 트렌트 주니어가 토론토로 이적하면서 부자가 포틀랜드-토론토에서 뛴 케이스가 되었다. ||[[토론토 랩터스|TOR]] get: G [[게리 트렌트 주니어]], G/F [[로드니 후드]]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POR]] get: G [[노먼 파웰]]|| 기대 이상의 퍼포먼스를 보여주고있다. 평득도 올랐지만, 무엇보다 고감도 3점포를 연일 쏟아내면서 팀을 플레이오프로 이끌고 있다는 평가. 여러 이적들로 어수선한 팀에서 슈팅 가드로써 만점에 가까운 활약을 이어가고있다. == 플레이 스타일 == 전형적인 3&D 슈팅가드로 출발했지만, 현재는 20득점 가까이 기대할 수 있는 득점력까지 갖추게 된 선수이다. 공격에서는 커리어 초기부터 좋았던 캐치앤슛에 더해, 무빙 슈팅과 풀업 점퍼까지 장착하게 되면서 한 단계 성장하게 되었다. 오픈 공간을 찾아가는 기동이 탁월하고, 슈팅 릴리즈도 빠른 편이라 상대 수비수에게 블락당하는 일이 적다. 또한 어느정도 볼핸들링도 섞을 줄 알아서 점퍼를 기대하고 있던 수비수를 농락하기도 한다. 운동능력과 퀵니스는 평범하지만 버티는 힘이 준수하고 끈기있는 수비를 보여준다. 사이드 스텝을 잘 밟고 따라가는 수비가 일품이다. 팀 수비 이해도가 높지는 않지만 늘 성실한 기동과 빠른 손질로 많은 스틸을 양산해낸다. 단점은 다소 부족한 볼핸들링과 돌파력, 시야. 핸들러를 맡기기에는 시야가 좁고, 핸들링도 불안한 편이다. 때문에 전통적인 포인트 가드 롤을 맡아줄 수 있는 선수와 함께할 때 능력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36분당 3개 내외의 리바운드 수치는 가드치고도 부족하다. 맞트레이드 상대였던 [[노먼 파웰]]과 비교하자면, 파웰이 운동능력이 더 뛰어나고 힘이 좋은 대신 트렌트 주니어는 슈팅의 섬세함이 낫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