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40000, #D40000 20%, #D40000 80%, #a40000)" '''{{{#ffe400,#ffe300 {{{+1 게오르기 티모페예비치 베레고보이}}}[br]Гео́ргий Тимофе́евич Берегово́й[br]Georgy Timofeevich Beregovoy}}}'''}}}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게오르기 베레고보이.jpg|width=100%]]}}} || ||<|2> '''출생''' ||[[1921년]] [[4월 15일]] || ||[[우크라이나 SSR]] [[폴타바주]] 페도로브카[br](現 [[우크라이나]] 폴타바주 하를롭스키구 페도리우카) || ||<|2> '''사망''' ||[[1995년]] [[6월 30일]] (향년 74세) || ||[[러시아]] [[모스크바]][br](現 러시아 [[중앙 연방관구]] 모스크바) || || '''묘소''' ||[[노보데비치 묘지]] || || '''우주비행''' ||1회 || || '''우주체류''' ||3일 22시간 50분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티모페이 니콜라예비치 베레고보이[* 철도 노동자][br]어머니 마리아 세묘노브나 베레고바야[* 혼전성은 시트니코바. 교사 출신.] || || '''형제자매''' ||큰형 미하일[* 독소전쟁 참전용사][br]작은형 빅토르[* [[대숙청]]으로 사망한 교사] || || '''배우자''' ||리디야 마트베예브나 베레고바야[* 혼전성은 베세돕스카야. 교사 출신.] || || '''자녀''' ||아들 빅토르[* 모스크바 항공연구소장][br]딸 류드밀라[* [[패션 디자이너]]] || ||<|4> '''복무''' ||[[노농적군]] 공군 || ||[[1938년]] ~ [[1946년]] || ||[[소련 공군|소비에트 공군]] || ||1946년 ~ [[1987년]] || || '''최종 계급''' ||[[중장|항공중장]] {{{-2 (소비에트 공군)}}} || || '''주요 참전''' ||[[독소전쟁]] || || '''주요 서훈''' ||[[레닌훈장]] (2회)[br][[불가리아 인민공화국]] 사회주의노력영웅[br][[소비에트 연방 영웅]] (2회)[br][[알렉산드르 넵스키 훈장]][br][[적기훈장]] (2회)[br][[적성훈장]] (2회) ||}}}}}}}}} || [목차] [clearfix] == 개요 == [[소련]]의 [[우주 비행사]]. == 생애 == 1938년 노농적군 공군에 징집돼 1941년 보로실로프그라드 조종사관학교를 졸업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 ==== [[독소전쟁]] ==== 1943년 3월부터 제5공군 제5돌격항공군단 제4근위돌격항공사단 소속으로 보로네시 전선군, [[제1우크라이나전선군]], [[제2우크라이나전선군]]을 지원했다. 1943년 10월 20일, 21번의 임무 투입 후 130번의 작전을 완수한 베레고보이는 레닌훈장과 알렉산드르 넵스키 훈장을 받았다. [[리보프-산도미에시 작전]] 당시 [[독일 국방군]]의 전차, [[열차포]] 다수를 파괴했으며, 짧은 시간 내에 방공망이 가장 취약한 곳을 찾아내는 실력이 좋았다고 한다. [[쿠르스크 전투]] 당시 베레고보이는 [[일류신]] 전투기 편대 선두에 서던 도중 2배 정도 되는 [[독일 공군(나치 독일)|독일 공군]] 전투기를 마주하게 됐다. 아군이 이목을 끌어 베레고보이의 도주를 지원했지만 [[메서슈미트]] 전투기의 공격으로 그의 [[Il-2]]는 격추되고 말았다. 위 사고를 포함해 베레고보이는 3번의 추락을 겪고 3번 모두 탈출에 성공했다. 총 186회의 전투를 끝낸 베레고보이는 1944년 10월 26일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법령에 따라 [[소비에트 연방 영웅|금성메달]]을 받았다. === 전후 === 1948년 고등장교과정, [[테스트 파일럿]] 훈련과정을 수료해 소련 공군 국립 연구소에서 테스트 파일럿으로 복무했다. [[MiG-15]], [[MiG-19]]를 비롯한 60가지 이상의 항공기를 직접 조종했으며, 소련 최초로 제트 추진식 전투기 조종을 마스터하는 영광을 누리기도 했다. 그의 능력을 인정받아 [[수호이]] 설계국에서 파일럿들에게 요잉 현상 탈출법을 비롯한 여러 전술을 가르쳤다. === [[우주비행]] === 1963년, 베레고보이는 40세가 넘는 나이에 우주 비행사를 꿈꾸게 됐다. 의사와 여러 전문가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마침내 1968년 10월 26일, 소유즈 3호에 탑승했다. 30일 무사히 귀환한 베레고보이는 후배 비행사들에게 자신의 경험을 말해주며 여러 번 [[우주]]에 나가고 싶다는 입장을 밝혔다. 많은 나이를 무릅쓰고 우주 비행사로서의 꿈을 이룬 뒤 11월 1일 두 번째 금성메달을 받았다. === 사고 === 1969년 1월 22일, [[붉은 광장]]에서 개최된 우주 비행사 퍼레이드에 참석했는데 빅토르 일린이 베레고보이의 차량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가 탄 차량으로 착각하고 차체에 총격을 가했다. 운전기사는 치명상을 입었지만 베레고보이는 작은 [[유리]] 파편에 긁히는 데에 그쳤다. === 사망 === 1995년 6월 30일, [[심장]] 수술을 받던 도중 사망했다. 시신은 노보데비치 묘지에 매장됐다. == 진급 이력 == * 1945년 6월 8일: [[소령]] * 1949년 10월 15일: [[중령]] * 1956년 4월 2일: [[대령]] * 1968년 10월 30일: [[소장(계급)|항공소장]] * 1977년 2월 14일: [[중장|항공중장]] [[분류:1921년 출생]][[분류:1995년 사망]][[분류:폴타바주 출신 인물]][[분류:노보데비치 묘지 안장자]][[분류:의료사고로 죽은 인물]][[분류:소련의 군인]][[분류:소련의 우주 비행사]][[분류:독소전쟁/군인]][[분류:소비에트 연방 영웅]][[분류:소련 공산당 24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소련 공산당 25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소련 공산당 26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러시아의 테러 피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