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소련 육군 전선사령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40000, #D40000 20%, #D40000 80%, #a40000)" '''{{{#ffe400,#ffe300 소비에트 연방 제2대 동시베리아 군관구 사령관[br]{{{+1 게오르기 표도로비치 자하로프}}}[br]Георгий Фёдорович Захаров[br]Georgy Fyodorovich Zakharov}}}'''}}}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게오르기 자하로프 대장.jpg|width=100%]]}}} || ||<|2> '''출생''' ||[[1897년]] [[4월 23일]][* 구력: [[5월 5일]]] || ||[[러시아 제국]] [[사라토프|사라토프현]] 카미신스키 지구 실로보 (Шилово) || ||<|2> '''사망''' ||[[1957년]] [[1월 26일]] (향년 59세) || ||[[소련]]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러시아 SFSR]] [[모스크바]] || || '''묘소''' ||[[노보데비치 수도원|노보데비치 묘지]] || ||<|2> '''재임기간''' ||제2대 동시베리아 군관구 사령관 || ||[[1947년]] [[2월]] ~ [[1950년]] [[4월]]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6> '''복무''' ||[[러시아 제국 육군]] || ||[[1916년]] ~ [[1917년]] || ||[[노농적군]] || ||1917년 ~ [[1946년]] || ||[[소비에트 지상군]] || ||1946년 ~ [[1957년]] || || '''최종 계급''' ||[[중위]] {{{-2 (러시아 제국 육군)}}}[br][[대장(계급)|대장]] {{{-2 (소비에트 지상군)}}} || || '''주요 참전''' ||[[제1차 세계 대전]][br][[러시아 내전]][br][[독소전쟁]] || || '''주요 서훈''' ||[[레닌훈장]][br][[수보로프 훈장]] 1등급 (2회)[br]수보로프 훈장 2등급[br][[적기훈장]] (4회)[br]쿠투조프 훈장 1등급 ||}}}}}}}}} ||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 제국 육군]], [[소련 육군]]의 [[군인]]. == 생애 == 가난한 농민 가정에서 태어났다. 12명의 형제자매가 있었던 자하로프의 유년기는 암울했다. 11세가 되던 해, 아버지가 갑자기 사라토프로 데려가 양장점 심부름꾼, 창고 포장부로 일하게 했다. 학업과 근무를 5년 동안 반복했다. === [[제1차 세계 대전]] === 1916년 3월 러시아 제국 육군에 징집됐다. 1917년 7월부터 제1보병사단 제1보병연대의 [[중대장]]을 역임했다. 1917년 10월, 제1보병연대장으로 임명됐다. === [[러시아 내전]] === 우랄 전선에서 [[카자크]] 병력을 상태했다. 제51소총대대 제4소총중대장을 역임하다 부상을 입었다. 회복 후 제1소총대대장으로 임명됐다. === 전후 === 1931년 3월부터 모스크바 군관구 모스크바-프롤레타리아 소총사단 제2소총연대장을 역임했다. 이후 1931년 11월 30일부터 [[이반 코네프]] 원수가 지휘하는 제17보병사단 참모장을 역임했다. 동시에 [[프룬제 군사대학]] 야간반에서 공부하다 1933년에 수료했다. 1936년 [[표도르 톨부힌]]이 지휘하는 제1소총군단의 참모장으로 임명됐으며, 1939년부터 우랄 군관구 사령관을 역임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 벨로루시 전선에 파견돼 [[스몰렌스크 전투(1941)|스몰렌스크 전투]]를 치렀다. [[안드레이 예료멘코]] 원수가 자하로프의 리더십을 높이 평가했다. 이후 [[르제프 전투]], [[로스토프 전투]]에서 [[독일 육군(나치 독일)|나치 독일 육군]]의 허를 찔러 요충지를 점령했다. === 전후 === 1945년 7월부터 1946년 6월까지 남부 우랄 군관구 사령관을 역임한 뒤 소련 육군 소총군 감찰관으로 임명됐다. 이후 1957년 1월 사망, 노보데비치 묘지에 매장됐다. == 평가 == >군인으로서는 명장이지만 인간으로서는 악마 같다. 자신의 명령을 따르지 않는 부하들에게 폭언과 폭행을 퍼부었다. >---- >[[안드레이 예료멘코]] 원수 >최전방 부대는 물론 사령부에서도 유명하다. 인간애가 없는 인물로. >---- >[[이반 아노신]] 중장 == 진급 이력 == * 1940년 6월 4일: [[소장(계급)|소장]] * 1942년 12월 20일: [[중장]] * 1944년 5월 16일: [[상장(계급)|상장]] * 1944년 7월 28일: [[대장(계급)|대장]] [[분류:1897년 출생]][[분류:1957년 사망]][[분류:사라토프주 출신 인물]][[분류:러시아 제국의 군인]][[분류:소련의 군인]][[분류:제1차 세계 대전/군인]][[분류:러시아 내전/군인]][[분류:독소전쟁/군인]][[분류:노보데비치 묘지 안장자]][[분류:의문사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