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게오스테른베르기아}}}[br]Geosternbergia}}}'''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teranodon-Triebold-72.jpg|width=100%]]}}} || ||<-2> [[백악기 후기]] ^^{{{-1 코냑절~캄파니아절}}}^^[br]88,000,000 년 전~80,500,000 년 전[* 스텐베르기종^^(''G. sternbergi'')^^: 88,000,000 년 전~85,000,000 년 전[br]마이세이종^^(''G. maiseyi'')^^: 81,500,000 년 전~80,500,000년 전][br][[북아메리카]] || ||<-2> {{{#000 '''학명''' }}} || ||<-2> ''' ''Geosternbergia'' '''[br]Miller, 1978 || ||<-2><#F96> {{{#000 '''분류''' }}} || ||<#fc6>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fc6>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문|척삭동물문^^Chordata^^]] || ||<#fc6> {{{#000 '''계통군'''}}} ||[[석형류|석형류^^Sauropsida^^]] || ||<#FC6>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익룡|익룡목^^Pterosauria^^]]|| ||<#FC6> {{{#000 '''아목'''}}} ||†프테로닥틸루스아목^^Pterodactyloidea^^|| ||<#FC6> {{{#000 '''하목'''}}} ||†에웁테로닥틸루스하목^^Eupterodactyloidea^^|| ||<#FC6> {{{#000 '''계통군'''}}} ||†프테라노돈토이데아^^Pteranodontoidea^^|| ||<#FC6>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프테라노돈과^^Pteranodontidae^^|| ||<#FC6>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게오스테른베르기아속?^^''Geosternbergia?''^^'''||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 * †게오스테른베르기아 스테른베르기(''G. sternbergi'')^^{{{-1 [[모식종]]}}}^^[br]Harksen, 1996 * †게오스테른베르기아 마이세이?(''G. maiseyi'')[br]Kellner, 201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teranodon-sternbergi_jconway.jpg|width=100%]]}}} || || 복원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teranodon_sternbergi_pair.jpg|width=100%]]}}} || || 전신 골격도. 앞쪽에 있는 녀석은 수컷, 뒤쪽에 있는 녀석은 암컷이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대문 게오스턴버기아 투푹수아라.jpg|width=100%]]}}} || || [[서대문자연사박물관]]에 전시된 전신 골격[* 뒤의 골격은 [[브라질]]에 서식한 익룡인 [[투푹수아라]]의 것이다. 과거에는 프테라노돈이라는 이름으로 전시되어 있었으며, 국내에선 [[국립과천과학관]]에도 골격이 전시되어있다.] ||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서 살았던 [[프테라노돈]]과^^(Pteranodontidae)^^의 [[익룡]]. 속명은 1952년 이 녀석의 화석 표본을 최초로 발견한 [[미국]]의 [[고생물학자]] '조지 프라이어 스턴버그^^(George Fryer Sternberg, 1883 ~ 1969)^^'의 이름에서 따왔다. == 특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eosternbergia_scale.png|width=100%]]}}} || || 사람과의 크기 비교 || 전체적인 생김새는 프테라노돈과 매우 흡사하여 화석이 발견되었을 당시에는 프테라노돈의 한 종으로 생각되어서 스턴버기종^^(''P. sternbergi'')^^으로 동정되었다. 다만 생존 연대가 프테라노돈이 살았던 시기와 다소 차이가 있으며,[* 모식종은 8800만년 전부터 8500만년 전까지, 마이세이종^^(''G. maiseyi'')^^은 8150만년 전부터 8050만년 전까지 살았다. 프테라노돈의 생존 연대는 8600만년 전~8450만년 전 정도로 추산되는 편.] '''네모꼴 모양'''의 볏이 달린 두개골을 가졌다는 점이 가장 눈에 띄는 차이점이다. 다만 분류학적 입지는 다소 불분명한데, 비록 2010년에 별도의 속으로 재분류되어 프테라노돈과 가까운 친척 정도로 여겨지지만, 이 익룡을 다시 프테라노돈의 한 종으로 봐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날개폭은 최대 3~6미터 사이에 달한다. 프테라노돈처럼 성적 이형을 갖는데, 수컷에 비해 암컷의 볏이 짧은 편이며, 어린 수컷의 경우 암컷과 비슷한 형태의 볏을 가지고 있다가, 점차 성숙하는 과정에서 성체와 같은 형태로 볏을 발달시켰을 것으로 추정된다. == 등장 매체 == 2010년 이전에 나온 모든 매체에선 상술했던 이유로 인해 프테라노돈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하였다. [[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Pteranodon_Sternbergi.jpg|width=500]] * [[디즈니]]의 영화 [[다이노소어]]에서 등장했다. 다만 이 당시에는 프테라노돈의 일종으로 분류되어 있었기 때문에 프테라노돈이라고 소개된다. * [[잃어버린 세계: 쥬라기 공원]]에 등장한 프테라노돈도 초기에는 당시 프테라노돈 스턴버기 종이었던 게오스테른베른기아가 출현할 예정이었지만 최종적으로 미사용된 애니메트로닉스는 물론 작중에서 등장한 CG 디자인 모두 롱키스 종을 기반으로 등장하게 됐다. 비록 영화 시리즈에는 출현이 없지만 [[쥬라기 월드 에볼루션 2]]에서 사육 가능한 익룡으로 등장하고, 쥬라기 공원 공식 완국 라이센스를 가지고 있는 [[마텔]]에서도 해먼드 컬렉션에서 컨셉아트를 기반으로 출시 했다. * [[가면라이더 덴오]]의 이매진 애니매에서는 프테라노돈의 한 종으로 나왔는데 무려 '''소닉붐을 사용한다.''' [[류타로스]]가 이 녀석의 새끼를 친구로 삼겠다며 덴라이너 안에 태우자 어미가 자신의 새끼를 찾기 위해 도시를 부수고 다녔고, 다른 이매진들이 싸웠으나 전부 이 녀석한테 패배하자 어쩔 수 없이 류타로스는 새끼를 풀어주었다. [[파일:공룡킹 프테라노돈(게오스테른베르기아).webp]] * [[고대왕자 공룡킹]]에서 풀 속성 스킬카드 익룡으로 등장하는데 애니판에선 [[타츠노 마루무]]가 소환하는 풀 속성의 소환수로 등장하였다. 이 때는 역시 프테라노돈의 일종으로 여겨졌던 때라 프테라노돈이라는 이름으로 나왔다. 자세한 내용은 [[프테라노돈(고대왕자 공룡킹)]] 문서 참조. * [[다이노 헌터:죽음의 해안]]에서 등장한다. * [[Wrath of the Goliaths]]에서 등장한다. [[분류:고생물]][[분류:프테라노돈과]]